$\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쇼핑성향, 이용동기 및 선호 이미지 유형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Fashion Curation Users' Shopping Orientation, Usage Motives and Preferred Image Types on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5, 2017년, pp.796 - 808  

김지우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  정혜정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  김영삼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  오경화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shows how fashion curation service consumers (both fashion and image consultants) reveal different aspects towards a preferred image type among the correlation of fashion curation service usage motivation and fashion shopping propensity. These preferences also included the purchase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에서는 패션큐레이션 이용자들의 패션쇼핑성향, 패션 큐레이션 이용동기, 선호 이미지 유형이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를 활용한 패션브랜드의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패션 큐레이션 이용동기 및 패션쇼핑성향이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패션 큐레이션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이미지 유형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그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에서 다루어질 세부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디지털 데이터가 급증하는 인터넷 · 모바일 이용환경에서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를 활용하는 패션브랜드가 게시한 이미지 유형 및 이와 관련된 각각의 이미지 선호 유형별 소비자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동기, 쇼핑성향 및 구매의도를 분석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현대의 정보 이용환경에서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의 활용이 중요한 마케팅 방안으로 대두됨에 따라,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를 실제로 사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동기, 쇼핑성향, 구매의도, 선호 이미지 유형의 관계를 분석하여 기업-소비자 간의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도록 하는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상기 연구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1. 연구문제

    연구에서는 패션큐레이션 이용자들의 패션쇼핑성향, 패션 큐레이션 이용동기, 선호 이미지 유형이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를 활용한 패션브랜드의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패션 큐레이션 이용동기 및 패션쇼핑성향이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패션 큐레이션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이미지 유형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그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디지털 데이터가 급증하는 인터넷 · 모바일 이용환경에서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를 활용하는 패션브랜드가 게시한 이미지 유형 및 이와 관련된 각각의 이미지 선호 유형별 소비자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동기, 쇼핑성향 및 구매의도를 분석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하여 패션브랜드의 효과적인 큐레이션 이미지 유형을 제안하고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동기에 따른 세분화된 마케팅 방안을 모색하여 궁극적으로 패션상품 구매력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는 데에 연구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패션 큐레이션 이용자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동기, 쇼핑성향, 선호 이미지 유형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패션 큐레이션 서비스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패션 큐레이션 이미지 유형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고 집단별로 패션 큐레이션 이용행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 연구문제 2. 패션 큐레이션 이용자의 패션쇼핑성향, 패션 큐레이션 이용동기, 패션 큐레이션 선호이미지 유형이 패션큐레이션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큐레이션이란 무엇인가? Rosenbaum(2011)은 오늘 날의 큐레이션 개념에 대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용어 의 의미가 변화된 것으로, 수집하거나 구성하려는 대상에 인간의 질적 판단, 취향이 개입되어 과잉된 정보를 선별 및 재구성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작업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요약하자면 정보 과잉의 시대에서 품질을 식별하는 과정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다. 즉, 큐레이션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들을 개인이 의도한 바에 따라 구성하여 색다른 가치가 부여된 정보의 생산 및 교환의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큐레이션 행위가 이루어지는 플랫폼인 큐레이션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이용자는 정보의 효율적 공유,  과도한 정보로 인한 피로도의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큐레이션 서비스가 글로벌 패션브랜드 마케팅 방안으로 적극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17). 특히 사진, 동영상의 시각적 이미지를 이용하는 큐레이션 서비스는 글로벌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 활동을 전개함에 있어 비언어적 수단의 활용을 통하여 우수한 정보 전달력을 지니고 있기에 글로벌 패션브랜드의 마케팅 방안으로 적극 사용되고 있다. 패션분야에서의 큐레이션 환경은 사진과 동영상을 주축으로 이루 어지고 있으며, 큐레이션 서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공식 계정을 통하여 패션브랜드가 생산하는 정보에 대해 소비자의 심리적 · 물리적 접근성이 용이해짐에 따라 신뢰성 높은 콘텐츠를 제공하고, 브랜드 로열티가 높은 고객층을 유인하여 흡수한다는 측면에서 큐레이션 서비스는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새로운 마케팅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Villi et al.
큐레이션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오늘날 패션분야의 유행주기가 점차 가속화되고 다양한 트렌드의 병존 현상, 막대한 양의 디지털 정보가 양산되는 시장환경은 소비자들로 하여금 패션상품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때로는 구매의사 결정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러한 소비환경에서 등장한 새로운 의미의 ‘큐레이션’은 기업-소비자 또는 소비자-소비자 간의 능동적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추세는 기업들의 대량맞춤 생산(Mass-customization) 시스템에도 반영되어 온라인 플랫폼 상에서 소비자 개인의 미적 선호 방식과 취향에 적합한 제품을 제안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Li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aker, J. 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3), 347-356. doi:10.2307/3151897 

  2. Cho, J. (2013). 패션업체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마케팅 방안에 관한 연구-SPA(Special ref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브랜드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shion companies marketing plan of utilizing SNS (Social Network Service)-Focusing on the SPA (Special ref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 Cho, S. B. (1996). 구매의도에 미치는 서비스품질과 소비자만족의 영향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purchase intention].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4(2), 55-81. 

  4. Choi, M. J., & Kim, W. G.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use motivation, evaluation and selection of SNS mobile marketing services; Focused on the 'KakaoTalk PlusChingu'.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5(2), 85-110. 

  5. Hansen, T., & Jensen, J. M. (2009). Shopping orientation and online clothing purchases: the role of gender and purchase situa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3(9/10), 1154-1170. doi:10.1108/03090560910976410 

  6. Howell, R. D. (1979). A multivariate examination of a patronage model: the impact of values and life styles on shopping orient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kansas, Fayetteville. 

  7. Hwang, J. S., & Joung, J. H. (2005). The internet and TV homeshopping perceived risk segments: Shopping orientations,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5), 637-648. 

  8. Joo, M. Y. (2014). Fashion curation for women in their thirties through online shopp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Jung, I. H. (2014). A study in image-based social curation interface improvement to build self ident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Jung, J. E. (2012). The effects of word-of-mouth about fashion product in a mobile S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 Kang, Y. S. (2013). A study on the web user interface design of image-based Social Network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2. Kim, B. S., Shin, M. H., Lim, D. K., & Lee, I. H. (2013). Motivation and types of social media users in their social network activitie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9(2), 105-134. 

  13. Kim, J. U., & Oh, K. W. (2016). A study on the image types and user's preference on image-based fashion cur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SPA brand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4), 477-488. doi:10.5805/SFTI.2016.18.4.477 

  14. Kim, S., & Rhee, E. (2004). Development of conceptual structure fo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6), 830-841. 

  15. Kim, S., & Rhee, E. Y. (1994). A study 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of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3), 429-439. 

  16. Ko, J., Shin, J., Ko, E., & Chae, H. (2014). The effects of image based fashion brands' SNS toward flow and brand attitude: Focus on pleasure emotion as mediator.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6), 908-920. doi:10.5805/SFTI.2014.16.6.908 

  17. Lee, H. J. (2013). A study on social curation services: Focused on analyzing content ca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8. Lee, H. P. (2002). The relationship of irrational gambling belief, gambling motive, and risk taking with pathological gambl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9. Lee, K. M., & Hwang, S. J. (2015). Case analysis on imagebased marketing Pinterest of global SPA brands - Focusing on platforms of Uniqlo, Zara and H&M on Pinteres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5(2), 129-146. 

  20. Lee, S. (2016). The effects of fashion curation service quality attributes on satisfacti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Liang, Y., Liu, C., & McRoberts, L. B. (2017). College students' acceptance of online mass-customized athletic shoes. Fashion and Textiles.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10.1186/s40691-017-0095-z 

  22. Moye, L. N., & Kincade, D. H. (2003). Shopping orientation segments: Exploring differences in store patronage and attitudes toward retail store environments among female apparel consu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7(1), 58-71. doi:10.1046/j.1470-6431.2003.00260.x 

  23. Mull, I. R., & Lee, S. E. (2014). "PIN" pointing the motivational dimensions behind Pinteres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3, 192-200. doi:10.1016/j.chb.2014.01.011 

  24. Noh, G. Y. (2008, December). 뉴미디어의 의사소통성과 쌍방향성 [Communication and interactivity of new media]. Gwacheon: Korea Information Strategy Development Institute. 

  25. Noh, Y. (2015). A study on SNS usage motivations affecting flow-Focus on facebook users-. The e-business Studies, 16 (1), 287-304. 

  26.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NY: MaGraw-Hill. 

  27. Oh, E. H. (2012).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motive of social media use on social media's interaction and user satisfac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7(1), 49-74. 

  28. Oh, M. H., & Kim, I. (2014). The effect of consumer attitude toward fashion products on SNS's characteristics to purchase intention and on-line word of mou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4(1), 101-120. 

  29. Park, J. Y. (2014). Effects of SNS interaction word of mouth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motivations for use of Faceboo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30. Park, J. Y., Chung, S., & Jeon, Y. (2012). A study on intention to use and word-of-mouth for fashion social network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1), 36-45. doi:10.5850/JKSCT.2012.36.1.36 

  31. Rosenbaum, S. (2011). Curation nation: How to win in a world where consumers are creators. New York, NY: McGraw-Hill. 

  32. Schmitt, B., & Simonson, A. (1997). Marketing aesthetics: The strategic management of brands, identity, and image (1st ed.). New York, NY: The Free Press. 

  33. Seock, Y. K., & Sauls, N. (2008). Hispanic consumers' shopping orientation and apparel retail store evaluation criteria: An analysis of age and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2(4), 469-486. doi:10.1108/13612020810906137 

  34. Song, H. J. (2015). UI analysis and design parameter proposal of SNS - Focus on: Mobile, Facebook, Twitter, Instagram, Pinterest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35. Toshinao, S. (2012). 큐레이션의 시대: 매일 쏟아지는 정보 더미 속에서 꼭 필요한 정보를 얻는 방법 [The age of curation: How to get the information you need in the daily pile of information] (S. J. Han, Trans.). Seoul: Minumsa. (Original work published 2011) 

  36. Villi, M., Moisander, J., & Joy, A. (2012). Social curation in consumer communities: Consumers as curators of online media cont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40, 490-4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