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문대학 보건계열학과 전공학생의 NCS 기반 교과내용 개발 적용에 따른 직무능력 단위요소의 전공교육 적합성 평가
A Study on Fitness Evaluation for Major Education of Competency Unit Element b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bject Contents Based on NCS of Health Majoring Students at Junior Colleg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8, 2016년, pp.508 - 516  

김민자 (원광보건대학 치위생과) ,  양희정 (여주대학 보건의료행정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문대학 보건계열학과의 NCS 기반 신규 교과 개발적용에 따른 전공교육에의 적합성 여부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2016년 3월 11일부터 3월 30일까지 전문대학 보건계열학과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을 바탕으로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계열 전문대학생의 NCS에 대한 인지도와 통합취지 및 교과내용 이해도가 기존 교육과의 연계접목에 대한 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새로 개발된 NCS 기반 직무능력 단위요소의 전공교육에 대한 직무, 일, 자격, 훈련 표준화가 잘 연계됨을 의미한다. 또한 이를 받아들이는 학생들이 새로 도입된 교과내용에 대체적으로 빠르게 동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기존교재와 다르게 3개 전공학과 간 표준화된 교과의 통합개발에 따른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지식 통합 교육의 높은 인지도와 이해도로 인해 보건계열 교과 적용수업 효과가 매우 긍정적이며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보건계열 NCS 체제의 조기 정착을 시사하고 NCS 개발내용의 현장 적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itness of major cours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ew curricula based on the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f health-related departments at junior colleges. To accomplish this, 300 students of the health-related departments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보건계열학과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NCS에 기반으로 한 새로 수립된 전공교재의 적용에 따른 적합성이 어느 정도인지 이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7]. 이를 위해 NCS 기반의 일+교육+자격의 통합취지와 직무능력 단위요소와 전공교재의 적합성, 신규개발교재와 기존 교재와의 차이, NCS 기반 교육과정으로 수업했을 때 기존 교육방식과의 구성 내용이 보건계열 학과전공(병원 안내, 의료정보관리, 병원행정) 간의 차이를 검증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표본들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 성별에 따라서 현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NCS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교 보건계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전문대학교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한 전공교재를 개발하여 적용함에 있어 적합성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가설 설정

  • 가설 : 보건계열학과 전공학생들의 NCS에 대한 인식수준은 전공교육의 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직무능력 표준의 개발 과정은? 이 같은 시대적 요구와 환경변화의 요구에 따라 노동부와 교육부는 현행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대학교와 산업체 인력양성에 있어 산학협력 확대와 일-학습 병행 및 맞춤형·전공 교육과정의 운영을 통해 현장 기능 중심의 경쟁력 있는 인재를 배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2002년 부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정부출연기관 및 산업별 인적 자원협의체(Sector Coulcil: SC)와 제휴하여 산업분야별 국가직무능력 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이하 ‘NCS’로 혼용함)을 개발하여 전공 수업에 적용하고 있다[1]. 스펙보다는 실력과 능력이 존중받는 사회 구현과 교육, 자격, 기능, 통합 연계성 차원에서 추진하기 시작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2002년부터 2012년까지 11년간 331개 개발되었으며 2013년에 NCS 250개전공별 직무교재를 새로 개발하고, 2014년에 557개 전공별 직무 수준이 수립(288개 개발, 269개 보완) 되었다.또한 NCS 외에 NCS 전공 작업수행에 필요한 실습 교재인 학습모듈 777개도 개발 완료되었다[1]. 이 같은 NCS 의 표준화된 교재개발은 최근 3년 사이 대부분의 NCS 및 NCS 학습모듈이 개발완료 됨으로써 전문대학의 현장 수업에 적용하고 있다[2].
국가 경쟁력의 원천은? 글로벌 경쟁 시대를 맞이하여 실무에서 높은 성과를낼 수 있는 핵심 인재의 양성과 활용은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다. 이 같은 시대적 요구와 환경변화의 요구에 따라 노동부와 교육부는 현행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대학교와 산업체 인력양성에 있어 산학협력 확대와 일-학습 병행 및 맞춤형·전공 교육과정의 운영을 통해 현장 기능 중심의 경쟁력 있는 인재를 배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2002년 부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정부출연기관 및 산업별 인적 자원협의체(Sector Coulcil: SC)와 제휴하여 산업분야별 국가직무능력 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이하 ‘NCS’로 혼용함)을 개발하여 전공 수업에 적용하고 있다[1].
산업분야별 국가직무능력 표준 개발의 목적은? 글로벌 경쟁 시대를 맞이하여 실무에서 높은 성과를낼 수 있는 핵심 인재의 양성과 활용은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다. 이 같은 시대적 요구와 환경변화의 요구에 따라 노동부와 교육부는 현행 직업교육을 담당하는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대학교와 산업체 인력양성에 있어 산학협력 확대와 일-학습 병행 및 맞춤형·전공 교육과정의 운영을 통해 현장 기능 중심의 경쟁력 있는 인재를 배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2002년 부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정부출연기관 및 산업별 인적 자원협의체(Sector Coulcil: SC)와 제휴하여 산업분야별 국가직무능력 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이하 ‘NCS’로 혼용함)을 개발하여 전공 수업에 적용하고 있다[1]. 스펙보다는 실력과 능력이 존중받는 사회 구현과 교육, 자격, 기능, 통합 연계성 차원에서 추진하기 시작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2002년부터 2012년까지 11년간 331개 개발되었으며 2013년에 NCS 250개전공별 직무교재를 새로 개발하고, 2014년에 557개 전공별 직무 수준이 수립(288개 개발, 269개 보완)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 K. Park,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Focused on Curriculum Based on NCS in Meister High Schools and Technical Specialized, pp. 15-26, 2014. 

  2. J. E Kim, Study of Development for Competency Standards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A Master's Thesis from Specialized Graduate School of Records and Information at Myongji University. pp. 56-77, 2011. 

  3. H. S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ization strategic factor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orea, Ulji University, pp. 71-84. 2012. 

  4. R. S Huckman, D. E. Zinner, Does focus improve operational performance? Lesson from the management of clinical trial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 29, no. 2, pp. 173-193. 2008. DOI: http://dx.doi.org/10.1002/smj.650 

  5. M. S. Sohn, M. K, Choi, Association between Efficiency and Quality of Healthcare in South Korea Long-term Care Hospitals: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Matrix ANALYSIS, J.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4, no. 4, pp. 418-427, 2014.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4.44.4.418 

  6. H. J. Lee, Y. K. Ko, M. W. Kim, The effects of medical staffing level on length of stay, Jod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3, pp. 327-335.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3.327 

  7. E. J. Kim, Teaching materials of health education, seoul: dongmunsa, 2006 

  8. O. Y. Woo, the plans to introduce a college of health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vol. 1, no. 1, pp. 51-83, 2015. 

  9. Y. H. Kim, The Model Development of College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College Health Instruc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9, no. 2, pp 103-120, 1992. 

  10. J. B. Choi, Development of a Competency Scale for Korean Health.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vol. 1, no. 1, pp. 105-130,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