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산국립공원의 둘레길과 정상정복형 탐방로의 경관 특성 비교 연구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enic landscapes of between the Dulle-gil and the uphill tra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3, 2016년, pp.21 - 31  

이규철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이산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comparative study focused on the scenic landscape preferences derived from visitors's perceptions at the Dulle-gil and the uphill tra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Unlike previous landscape assessment methods, this study contains more direct and on-site analysis with methods of understan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각적 유형 분류는 탐방객이 인식하는 경관을 유형화하여 각 대상지의 경관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또한 대표경관(CP)과 대표시점(PEN)의 분석은 대상지의 구체적인 경관자원이 무엇이고 그 경관을 바라보는 구체적인 장소가 어디이며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립공원 경관에 대한 일반인 인식 평가의 새로운 방법인 VEP 방법을 국내에서 처음 시도한 연구로서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탐방객이 선호하는 경관 유형은 무엇이고, 무엇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지(대표 경관, CP)와 어디에서 주로 바라보는지(대표시점, PEN)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향후 왜 그런 경관을 선호하는 지와 경관을 체험하는 각 개인의 특성 또는 특정 집단의 특성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후속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의 둘레길과 정상정복형 탐방로에서 실제 탐방객이 선호하는 경관을 직접 사진을 촬영하여 선호하는 경관의 유형과 대표경관(CP)을 도출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설문 조사와 차별된 VEP 방법을 활용하여 탐방객이 선호하는 경관에 대해서 경관 유형, 대표경관(CP), 대표시 점(PEN)과 같은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과 정상정복형 탐방로를 대상으로 실제 탐방객이 선호하는 경관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선호 경관의 인식 평가 방법으로 기존의 전문가 평가나 탐방객 대상의 구두에 의한 설문 조사가 아닌 이용자 활용 사진 촬영(visitor employed photographs, 이하 VEP) 방법을 활용하였다.
  • 우선 탐방객이 둘레길 또는 정상정복형 탐방로에서 실제 경험하는 경관에 대해 시각적 유형을 분류하고, 동일한 지점에서 동일한 대상을 촬영한 경관 사진에 대해 참여자의 촬영 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대표경관(CP)과 대표시점(PEN)을 도출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시각적 유형 분류는 탐방객이 인식하는 경관을 유형화하여 각 대상지의 경관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또한 대표경관(CP)과 대표시점(PEN)의 분석은 대상지의 구체적인 경관자원이 무엇이고 그 경관을 바라보는 구체적인 장소가 어디이며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 분석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이다. 우선 탐방객이 둘레길 또는 정상정복형 탐방로에서 실제 경험하는 경관에 대해 시각적 유형을 분류하고, 동일한 지점에서 동일한 대상을 촬영한 경관 사진에 대해 참여자의 촬영 빈도수가 높은 순으로 대표경관(CP)과 대표시점(PEN)을 도출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시각적 유형 분류는 탐방객이 인식하는 경관을 유형화하여 각 대상지의 경관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rthur, Louise M., Terry C. Daniel, and Ron S. Boster. 1977. "Scenic Assessment: An Overview." Landscape Planning 4: 109-29. 

  2. Carlson, A. A. 1977. "On the Possibility of Quantifying Scenic Beauty." Landscape Planning 4: 131-72. 

  3. Carlson, A. A. 1984. "On the Possibility of Quantifying Scenic Beauty - A Response to Ribe." Landscape Planning 11: 49-65. 

  4. Chenoweth, Richard. 1984. "Visitor Employed Photography: A Potential Tool for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Journal 3 (2): 136-43. 

  5. Cherem, Gabriel J., and Beverly L. Driver. 1983. "Visitor Employed Photography: A Technique to Measure Common Perceptions of Natural Environmen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5 (1): 65-83. 

  6. Cho, Woo, Ji-suk Kim, Jong-Yeop Kim, and Kyung-Jae Lee. 2009. "A Study on Nature Trail Considering Ecological Characteristic in Wooiryeong Road, Bukhansan National Park."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19:111-14. 

  7. Cho, Woo-Hyun, and Seung-Bin Im.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references and Visitors' Satisfaction in Bukhansan Dullegi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 (1): 1-11. 

  8. Daniel, Terry C. 2001. "Whither Scenic Beauty? Visual Landscape Quality Assessment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4 (1): 267-81. 

  9. Daniel, Terry C., and Ron S. Boster. 1976. "Measuring Landscape Esthetics: The Scenic Beauty Estimation Method."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10. Han, Bong-Ho, Jin-Woo Choi, Ji-Yeon Hur, Sun-Hee Kim, and Kyung-Jin An. 201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ction Based on Visitor's Satisfactions of the Dul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 (2): 69-82. 

  11. Kim, Jeong-Min. 2011. "Perceptions on the Nature Trail in the National Park in the City: Focused on the Seoulite's Perception on Dul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 (1): 102-10. 

  12. Kim, Sei-cheon. 1996. "The Assessment of Visual Preference and Landscape Imag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 (2): 232-49. 

  13. Kim, Sei-Cheon, and Joon Hur. 2007. "A Study on the Image and Visual Preference for the Seongpanak Districtat at the Mt. Hallas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 (2): 134-40. 

  14.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NPS. 2013. National Park' trails management manual. Korea National Park Service. 

  15.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NPRI. 2013. Analysis of effect on Dulle-gil and its management plan.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16. Kwon, Heon-gyo, Kyu-won Sim, and Sang-yeol Han. 2012. "A Study on Dispersion Effect in the Use of Bukhansan National Park Dulle-Gil."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 (1): 115-20. 

  17. Ribe, Robert G. 1982. "On the Possibility of Quantifying Scenic Beauty - A Response." Landscape Planning 9: 61-75. 

  18. Ribe, Robert G. 1986. "On the Possibility of Strong versus Weak Quantification of Scenic Beauty - A Further Response to Carlson." Landscape Planning 12 (4): 421-29. 

  19. Stewart, William P., and R. Bruce Hull. 1992. "Satisfaction of What? Post Hoc versus Real-time Construct Validity." Leisure Sciences 14 (3): 195-209. 

  20. Suh, Joo-hwan. 1987. "A Study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Forest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5 (1): 39-67. 

  21. Taylor, Jonathan G., Kenneth J. Czarnowski, Natalie R. Sexton, and Sarah Flick. 1995. "The Importance of Water to Rocky Mountain National Park Visitors: An Adaptation of Visitor-Employed Photography to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Journal of Applied Recreation Research 20 (1): 61-85. 

  22. ?田敏志, 小島通雅, 前田豪, and 布施六郞. 1967. "自然風景地計?のための景觀解析II." 觀光 16: 63-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