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공공디자인 측면에서의 국립공원 환경개선의 효과성 및 만족도 분석 - 탐방로 진입부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National Parks' Public Space Design - Focusing on Trail Entry Areas -원문보기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with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on national parks' trail entry areas. A surve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proposal framework based on the data.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6400 respondents who used 28 n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with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on national parks' trail entry areas. A surve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proposal framework based on the data.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6400 respondents who used 28 national park offices at 32 national park trail entry areas. The field research was collected in 3200 surveys, divided between pre- and post-implement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study variables consisted of socio-demographics, visitors' perceptions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rail entries,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visitor satisfaction. Several important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environment of trail entr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images and user satisfaction of national parks. Second, the influence of the trail entry improvement showed that 71.8% of visitors rated the trail entry as environmentally friendly afte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compared to 48.5% of visitors rated the trail entry as environmentally friendly before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 top priority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he trail entries needs to be the install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rest areas, restrooms, and direction boards (pre: 34.5%, post: 32.6%). Third, functionality and the other nine variables were shown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he trail entries at the 1%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inally,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with the park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t-value=25.741, p=.000), showing the satisfaction score was higher afte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e: 3.51, post: 4.12),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1 % level.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rail entries, which have influenced the image of the national park and satisfaction.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manage and design a national park as a public spac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with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on national parks' trail entry areas. A surve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proposal framework based on the data.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6400 respondents who used 28 national park offices at 32 national park trail entry areas. The field research was collected in 3200 surveys, divided between pre- and post-implement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study variables consisted of socio-demographics, visitors' perceptions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rail entries,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visitor satisfaction. Several important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environment of trail entr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images and user satisfaction of national parks. Second, the influence of the trail entry improvement showed that 71.8% of visitors rated the trail entry as environmentally friendly afte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compared to 48.5% of visitors rated the trail entry as environmentally friendly before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a top priority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he trail entries needs to be the install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rest areas, restrooms, and direction boards (pre: 34.5%, post: 32.6%). Third, functionality and the other nine variables were shown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the trail entries at the 1%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inally,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with the park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t-value=25.741, p=.000), showing the satisfaction score was higher after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e: 3.51, post: 4.12),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1 % level.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rail entries, which have influenced the image of the national park and satisfaction.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manage and design a national park as a public space.
이에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 국립공원 탐방로 입구의 무질서하고 복잡·산만한 환경을 자연경관과 조화되고 쾌적한 공간으로 개선하고 국립공원 품격과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탐방로 입구에 노후되고 혼잡한 안내판 140 개를 철거·정비하였으며, 국립공원의 주변 자연환경 및 정체성을 반영한 공공디자인을 활용하여 종합게시판 15 개, 쉼터 12개, 문주 25개 등을 설치·조성하였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로 진입부의 환경개선사업의 효과성 및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립공원 환경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2015년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실시한 국립공원 탐방로 진입부 공간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32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Table 3). 환경개선사업 대상지 선정은 28개 국립공원사무소당 탐방로 진입부 공간 1개소를 원칙으로 하였으며, 그 외 대상지는 공원사무소의 우선 개선 필요성이 높은 4개소를 추가하였다.
자료수집은 탐방로 진입부 공간의 환경개선이 실시되기 전인 2015년 5월과 실시된 후인 2015년 10월에 각공원사무소별 탐방객 200명(사전조사 100명, 사후조사 10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현지조사는 면접에 의한 자기기입형 설문지조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총 조사규모는 6,400명으로 집계되었다.
데이터처리
본 연구 수행을 위해 해당 공원을 방문한 탐방객의 사회․경제적 특성, 탐방로 진입부 환경에 관한 인식, 환경개선효과,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SPSS WIN 21.0을 활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첫째, 탐방로 진입부의 환경은 탐방객에게 국립공원에 대한 이미지 형성,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탐방로 진입부 환경의 친환경성 여부는 개선 후 (後)가 71.8%로 개선 전(前) 48.5%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탐방로 진입부의 환경개선을 위해 쉼터, 화장실, 안내판 등 탐방객 편의시설 설치(전 34.5%, 후 32.6%)가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탐방로 진입부 환경개선 전․후 효과를 분석한 결과 기능성, 보편성, 상징성, 쾌적성, 접근성, 안전성, 연속성, 환경성1 , 환경성2 등 9개 항목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모두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탐방로 진입부 환경개선 전․후 탐방객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환경개선 후(後)가 4.12로 환경개선 전(前) 3.5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 개선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검증한 결과(t-값=25.741, p=.000)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 사무소별 탐방로 진입부 환경개선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로는 대부분의 사무소에서 환경개선 후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탐방로 진입부 환경개선 후 9개의 효과성 항목과 전반적인 만족도 간의 회귀분석 결과 안전성을 제외한 8개 항목이 탐방로 진입부 환경개선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공공디자인을 적용한 국립공원 공공공간의 환경개선은 물리적 환경의 질적 향상뿐 만 아니라 국립공원 이용자의 감성적 및 체험적인 공존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 국립공원 탐방로 진입부 환경개선 사업 추진 시 탐방객 및 지역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국립공원 환경개선 사업의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여 공원관리자들의 활용성과 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추가 적인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탐방로 진입부 공간의 효과성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탐방객들에게는 공공디자인을 적용한 공간 개선이 국립공원에 대한 이미지 상승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다주는 결과를 고찰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공원 탐방로는 어떤 디자인이 도입 되어야 하는가?
국립공원의 경우 연간 약 5천만 명이 찾는 국민 여가․ 휴양공간인 동시에 자연자원을 기반으로 한 대표적인 공공 공간이다. 특히 국립공원 탐방로는 탐방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공원시설이 있는 진입부에는 공공공간으로서의 가치를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이 도입이 되어야 하지만, 안내판, 게시물, 쉼터, 파고라 등 다양한 탐방편의시설들이 혼재되어 있어 국립공원의 특징 및 장소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공공디자인적 요소를 갖추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유럽에서 공공디자인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특히 여러 나라의 수많은 도시가 공공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저마다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중앙정부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하듯 공공디자인 관련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유럽에서 공공디 자인은 산업구조 혹은 도시구성의 급격한 변화 등에 따른 도시재생 및 재구성의 해결도구로 사용되어 왔으며 (Choi, 2010), 관광자원개발, 도시이미지 및 품격제고, 이를 통한 도시마케팅 등의 상승효과를 가져다주는 도시경쟁력 강화의 도구로 쓰이고 있다. 이렇듯 공공디자인은 기능적인 공간을 만들어낼 뿐만 아니라(Hwang, 2008) 물리적 환경을 쾌적하고 매력적으로 조성하고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환경 재생 및 개선의 부가가치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Choi, 2013).
Hannah Arendt에 의하면 공공성은 어떤 특성을 지니는 것인가?
여기에서 말하는 ‘공공(Public)’의 사전적 의미는 국가나 사회의 구성원에게 두루 관계되는 것을 의미한다. Hannah Arendt에 의하면 공공적인 것의 특성은 첫째, 누구나 볼 수 있고 들을 수 있으며, 따라서 가능한 한 가장 폭넓은 공개성을 지닌다. 둘째, 우리 모두가 공동으로 구축하여 그 안에 거주하고 있는 공동성을 갖는 세계이다. 따라서 공공성을 기반으로 한 공공디자인은 특정한 개인을 위한 디자인이 아니라 여러 사람을 위한, 즉 대중들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공적 공간 에서 현실화시키고 디자인의 공공성이라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고려하는 모든 행위로, 국가 공공기관의 관리 안에서 국민의 다양한 사회·문화적 가치와 요구를 조절 하는 것을 의미한다(Rhee, 2012).
참고문헌 (19)
An, H.S., 2012, Effect of Public Design on City Brand Image and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Urban Folly in Gwangju,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5(2), 303-323.
Architecture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2008, A study on the concept and current issue of urban public space.
Back, S.K., Kim, J.Y. and Lee, S.H., 2009, A Study on the Design Types of Sustainable Public Spaces upon Urban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8(6), 158-165.
Choi, M.J., 2010, The Public Design and The Integrated Design,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54(5), 48-51.
Choi, K.R., 2013, Urban regeneration of commercial streets in old downtown area through public design projects: 'Gwangbok-ro cultural street'in the city of Busan.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1), 231-265.
Hwang,, S.Y., 2008, The function of public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al image, Journal of Basic Design and Art, 9(1), 795-803.
Kang, M.N., Hwang, Y.S, 2015, A study on experienc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brand experience spac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Proceedings(Spring).
Kim, D.G., Moon, J.M., 2013, User Satisfaction in an Evaluation of Public Space,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27, 45-56.
Kim, M.Y., Moon, J.M., 2011, An Analysis of Character for Community Vitality in Urban Public Space: Focus on the Urban Square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0(6), 291-299.
Kim, H,S., Yi, S.J., Chanf, Y.R., Yim, H.Y., 2012, A Study on Public Desig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Public Design Policy of Seoul City, Archives of design research, 5(3), 28-38.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5,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National Parks Main Trail Entries(Internal data).
Lee, H.G., Lee, J.H., 2003,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Public Places in Seoul, Korea Planning Association Conference Proceedings.
Lee, H.G., Lee, J.H., 2015, Planning Indicators for Spati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Urban Public Space: the Weight Analysis for Activation of Public Spac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9), 588-598.
Lee, K.O.,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deign for making cutural street, Journal of basic Design and art, 161-170.
Moon, H.S., 2015, The study on public facility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street environment: focused on the Seoul city stronghold pickup zone public trash cans,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8(4), 123-132.
Rhee, Y.H,, 2012, Analysis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 publicness in Public Space: Focus on space regeneration and open spaces in Manhattan, New York City, Journal of Digital Design, 12(2), 469-48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0, Seoul Public Design of Public Facilities, 42-45.
Seo, H.O., 2009, A proposal of evaluation model in public design area for the implementation of city identity: based on the cultural value of public space, Journal of Commodity Science and Technology, 27(3), 61-72.
Yoon, H.Y., Han, Y.H., 2011, A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space around the subway station sphe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8, 9-1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