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경관정책의 실효성을 위한 평가요소 도출
Evaluation Elements for Effectiveness of Rural Landscape Policy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3, 2016년, pp.81 - 96  

박지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이용학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강은지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김용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rural landscape management to run in virtuous circle, the present study has paid attention to the roles and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and administration, which are the main sectors of managing landscape.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aimed to arrange the roles of local residents and admin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경관관리의 실질적 주체라 할 수 있는 요소는? 농촌지역의 주민은 농촌경관을 생산하고 관리하는 주체로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주민의 자발적 참여가 선행되어야 하며(Bromley, 1996; 김민정, 2011), 주민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농촌경관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갖춘 전문가와 경관계획이나 사업을 추진하는 행정의 역할도 역시매우 중요하다. 특히, 주민과 행정은 농촌경관관리의 실질적 주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들의 지속적인 참여가 농촌경관정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농촌경관관리를 위해 주민, 행정의 역할을 정립하고 각 주체별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써 평가지표가 필요한 시점이다.
제도적 장치로써 평가지표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평가지표는 공공정책의 수립 및 시행 평가 등 전 단계에 걸쳐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준거를 제공하여 목적을 구체화하고 효과적인 수단을 강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평가를 통해 관련 주체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Kushner, 1993). Ammons(1996)는 평가지표의 기능으로 행정책임성 제고, 계획 및 예산기능의 제고, 조직운영 개선, 목표관리 및 성과평가의 기능, 자원의 재배분 기능이라고 제시한 바 있어 국내 농촌경관정책의 추진과정상에서 이러한 평가지표의 활용을 통해 선순환적인 경관관리 체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농촌의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적 지원사업이 추진되어 오면서 생긴 문제점은 무엇인가? 국내의 농촌은 1958년 지역사회개발사업을 시작으로 도시와 농촌의 균형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사업이 추진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주민의 소득과 생활수준 등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큰 효과가 있었지만, 농촌지역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농촌경관을 훼손하는 결과를 야기해 왔다(이유직과 정재현, 2015). 그러다 최근 농촌경관을 활용한 지역축제, 도농교류에서 농촌지역 활성화의 핵심자원으로서 농촌경관이 그 중요성을 인정받게 되었고, 이를 보전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책의 시도가 증가하 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M. J., 2011, A Study on the Assessment and the Vitalization of Town Space Projects through the Resident Participation : Based on the Ulsan, Nam-ku case, Master Degree Thesis, University of Ulsan. 

  2. Kim, S. B., Son, H. K., Kim, E. J., Lee, D. G., 2012,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Rural Landscape Plann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4), 35-44. 

  3. Kim, J. J., 2010, Study on the Local Officials' Awareness for Direction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9(4), 603-610. 

  4. Park, Y. H., Kim, G. I., Sung, H. C., Lee, G. G., Park, S. H., Choe, J. Y., 2007, Recognition and Improvement of Rural Landscape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3(3), 103-110. 

  5. Park, J. H., Hwang, H. C., 2012, A Study on the Stakeholder's Consciousness Analysis and the Task Ahead towards Rural Landscape Management Pol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3), 123-135. 

  6. Song, T. G., Kim, S. B., An Effective Scenery Improvement Plan Considering Resource Characteristic of Forest Landscap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Development Society, 37(2), 23-38. 

  7. Shin, I. S., 2013, The study of Laws Connected with Public Participation for Sight Management, Journal of the Industrial Technology, 19(1), 1-8. 

  8. Song, M. R., Park, G. C., 2005, Policy Trends and Implication for Conservation of Rural Landscape,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28(3), 121-137. 

  9. An, D. C., Oh, H. E., Park, J. H., Kang, E. J., Kim, Y. G., 2015,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Rural Landscap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1(3), 121-129. 

  10. An, Y. J., 2013, The Legal Reform Measure to Ensure the Effectiveness for Landscape Management, Public Law Journal, 14(1), 303-324. 

  11. Yoon, S. H., 2007, A Study on the Landscape Management in Coastal Area,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0(3), 51-75. 

  12. Lee, D. G., Ok, J. H., Hong, C. S., Yoon, S. W., Park, C. S., Yoo, H. S., 2005, A Study on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bout Rural Landscape Resources - Centered on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 of Rural Villag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1(2), 21-34. 

  13. Lee, S. C., Park, H. C., Lee, S. J., Lee, S. H., 2011, A Study on the Schem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rban Landscape Management of Seoul - Comparing the Urban Landscape Plans of Main Japanese Cities , The Journal of Korean Architecture, 27(5), 211-220. 

  14. Lee, S. C., Park, H. C., Kim, S. J., Lee, S. J.,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through Operation Assessment and Survey of Landscape Self Check System as Landscape Management System of Seoul City, Seoul Studies, 13(2), 141-153. 

  15. Lee, Y. J., Jung, J. H., 2015,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between Subjects for the Improvements of Rural Landscape Management,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7(4), 41-48. 

  16. Lee, J. W., 2013, A study on activating plans for community participation in rural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Doctoral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7. Lee, H. S., Do, G. Y., Lee, J. J., Kim, N. Y., 2002, A Study on Improvement of Coastal Landscape Management Systems in Busan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26(1), 85-94. 

  18. Lim, C. H., 2012, Improvement and Analysis on Operational Conditions of Cityscape Management-Focused on Detailed Cityscape Plan of IFEZ , The Journal of Korean Architecture, 28(3), 177-186. 

  19. Jeong, C. M., 2008,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cenic Agriculture Zone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ural Scent Landscape, The Study of Regional Development, 40(1), 29-41. 

  20. Ju, S. H., 2008, A Proposal of Rural Landscape Policy for Preservation, Formation and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4(4), 77-86. 

  21. Chae, B. S., Seo, J. J., 1998, A Study on the Administration and System to Improve Urban Landscape, Urban and Environment of Joenbuk University, 13(1), 99-113. 

  22. Chae, H. S., 2011, Evaluation of Rural Landscape - for and Extended Direct Payment Program for Rural Landscape in Korea, Doctoral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3. Choe, J. S., Lee, H. J., 200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andscape Management System in terms of Co - relationship with Urban Planning System in Korea - Focused on the Comparative Study with the Landscape Management System in Japan,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7(2), 57-72. 

  24. Kushner, S., 1993, Nauralistic Evaluation : Practical Knowledge for Policy Development, Research Evaluation, 3(2) 

  25. Han, S. U., 2003, Landscape management of Chungchungnamdo, The Chungnam Review, 25, 108-1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