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망분석 모형을 이용한 국내 신선농산물 수출과 조직화 효과 분석
Study of Trade Network among Agricultural Product and Export Attribute Effect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3, 2016년, pp.107 - 118  

은상규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김수진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배승종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nsure revenue of agricultural products which have encountered the dramatic decline of prices in distribution, the export of the domestic farm produce was started and it has been considered to play the significant role to make fundamentals for securing the stable revenue of farms and f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농산물 수출 정책 목적은 수출 체계 선진화를 위해서 수직계열화를 통한 선도 조직을 양성하여 수출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는 수출 체계 선진화를 통해 선도 조직이 수출하는 품종의 교역 증가뿐만 아니라 선도 조직에서 취급하지 않는 품종으로 수출이 확대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개별 요소의 관계 분석과 개별 요소의 변화로부터 전체의 변화 양상을 해석할 수 있는 사회망 분석 모형(Social Network Analysis, SNA)을 이용하여 국내 농산물 수출 지역 범위와 수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회망분석 모형의 군집분석과 응집력 분석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노드들의 범위와 이들의 결속력 정도를 도출하는 방법으로써 국내 신선 농산물 수출 구조의 변화 정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 농산물 수출 활성화 정책 수립은 현지 물가, 환율, 국내 유통 가격의 등락, 작황 상황 등 예측이 어려운 요인으로 인하여 어려움이 있으며 불확실한 요인들을 토대로 현 교역 상황 특징을 도출하려는 모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관련 정책 중 선도 조직 육성이 미치는 영향력을 도출하기 위해서 국내 농산물 무역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연결정도 및 아이겐벡터 중심성 분석과 계층도를 사용하여 핵심 및 주변지역을 도출하여 선도 조직 정책의 유효성을 도출하였으며, 최대흐름 분석을 농산물 무역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선도 조직 관련 정책이 선도 조직 이외 미치는 영향력 범위를 산출하였다. 이로부터 국내 농산물 수출 관련 수직계열화를 토대로 한 선도 조직은 조직 구성 이후 수출의 핵심으로 작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선도 조직 이외 품종의 수출이 증가할 수 있도록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책에 따른 국내 농산물 수출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서 농산물 교역을 토대로한 무역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중심성 분석과 최대흐름 분석을 이용하여 수출을 위한 조직화가 국내 신선농산물 수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드 간 최대흐름의 특징은 무엇인가? flow)은 지역 간 변화가 무역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지역으로 확산 가능성을 정략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최대 흐름은 지역에서 지역으로 가는 다양한 경로의 수를 의미하며 출발 노드에서 도착 노드에 이르는 모든 경로를 이용하는 최대의 이용 가능한 총 경로의 수이다. 특정한 농산물 수출 관련 정책이 매개 노드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다른 지역으로 미칠 수 있는 경로의 수를 통해 최대흐름을 산출할 수 있다.
농산물 수출의 특징은 무엇인가? 농산물 수출은 국내 유통 가격의 등락, 소규모 영농 규모 등에서 발생하는 농가소득의 불확실성을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한필 등, 2011; 박현희, 2014). 국가는 정책적으로 농산물 수출을 장려하고 있으며 ‘14년에 이어, ‘16년 5월 농산물 수출을 미래성장 산업으로 지정함으로써 수출 확대 노력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군집분석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회망분석 모형의 군집분석과 응집력 분석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노드들의 범위와 이들의 결속력 정도를 도출하는 방법으로써 국내 신선 농산물 수출 구조의 변화 정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사용하였다. 군집분석 방법에는 walktrap, edge betweenness, fast greedy, spinglass, leading, label propagation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높은 중심성을 가진 노드들을 연결하여 노드들의 응집력이 가장 높도록 군집을 구성하는 fast greedy를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ang, B., N., Ko, G., I., Lee, D., S. and Ki,, D., C.,, 2004, Study of Complex Network Structure and Dynamic Ohenimena,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48(2): 115-141.(in Korean) 

  2. Kim, K., P., Lee, J., Y., Uh, M., K, and Han, J., H., 2011, Study of Preference about Gamgyul from Customers in Russia, KREI, 34(4): 83-102.(in Korean) 

  3. Kim, K., P. and Han, J., H., 2015, Operation Condition and Training Plan of Group about Agricultural Product Export, KREI. R745.(in Korean) 

  4. Moon, H., P., 2014, Implementation of Index on Agricultural product, KREI.(in Korean) 

  5. Moon, H., P., Kim, K., P., Uh, M., K. and Jyun, H., J., 2011, Key Figure of Increase in export about Agricultural Product and Economy Effect, KREI, 3: 1-22.(in Korean) 

  6. Moon, H., P., Kim, K., P., Uh, M., K. and Lee, J., Y., 2012, Factors Influencing the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Effects of Export Support Programs in Korea, KREI, 35(1): 69-90.(in Korean) 

  7. Park, J., K., Lee, M., K., Park, K., H., Sung, J., I., Ma, S., J., Kim, T., G. and Jung, H., Y., 2014, Agricultural Industry to Become a Future Growth, KREI, M127.(in Korean) 

  8. Park, J., J.,, 2003, Empirical Analysis on Import Flows of Korea, China, and Japan Using Dynamic Panel Gravity Model, KEBA, 21(3).(in Korean) 

  9. Park, H., H., 2014, Analysis of economic effect of export logistics support system for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Kore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16(5): 275-294.(in Korean) 

  10. Suh, J., K., Lee, J., W. and Kim H., H., 2011, The Determinants of Price Volatility in Food Crops and Policy Implcations for Korea, KIEP.(in Korean) 

  11. Jung, J., K., Uh, M., K., Im, C., H. and Lee, S., D., 2015, Study of Possibility about Agricultural Product Export and Change on Supply and Demand in China, KIEP.(in Korean) 

  12. Jo, O., S., Kang, B., H. and Lee, B., S., 2013, Korean agroindustry in 2013, RDA Interrobang, 93.(in Korean) 

  13. Lee, S., H., Jung, D., H., An, S., J. and Yoon, Y., S., 2015, Study of Competitiveness in Exports about Agricultural Product, KREI, R770.(in Korean) 

  14. Lee, B., H., Jang, C., S. and Song, S., H., 2013, Study of Influencing Factor about Export Wood using Spatial Gravity Model, KREI, 36(2): 49-63.(in Korean) 

  15. Lee, B., H., Uh, M., K., Jung, D., H., Park, H., W., Yoon, Y., S., Han, B., H. and Suh, J., K., 2014, Study of Strategy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 Export using FTA, KREI, R739.(in Korean) 

  16. Im, J., B., An, D., H. and Sung, J., H., 2011, Factors Influencing the Exports of Horticultural Sector In Korea, Korean Association of Livestock Management, 38(1): 66-77.(in Korean) 

  17. Im, B., H., 2012, A Study on Contagion Effect of Country Shock Through Core-periphery and Influence Analysis of Intra-regional Trade Networks among European Countries, Asia-Europe Participation Association, 9(1): 93-117.(in Korean) 

  18. aTcenter, 2016, Tendency of Import and Export about Food, Agriculture, and Fisher at 2015.(in Korean) 

  19. Bela, B., 1965, Trade Liberalisation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The Manchester School, 33: 99-123. 

  20. Boccalettia, S., Bianconic, G., Criadod, Criado, R., Go,ez-Gardenes, J., and Wang, Z. 2014,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multilayer networks, Physics Reports, 544(1):1-122. 

  21. De Benedictis, L. and Tajoli, L., 2011, The World Trade Network, The World Economy, 34(8): 1417-1454. 

  22. Eppli, Mark J. and James D. Shilling, 1996, How Critical Is a Good Location to a Regional Shopping Center, Journal of Real Estate Research, 12: 459-468. 

  23. Garlaschelli, D. and Loffredo, M., 2004, FitnessDependent Topological Properties of the World Trade Web, Physical Review Letters, 93. 

  24. Jeroen Bruggeman, 2013, Network Diversity and Economic Development: a Comment, Cornell University Library. 

  25. Mutl, J. and Pfaffermayr, M., 2011 The Hausman Test In a Cliff and Ord Panel Model, Econometrics Journal, 14:48-76. 

  26. Nathan, E., Mechael, M., and Rob, C., 2010, Network Diversity and Economic Development, Science, 328: 1029-1030. 

  27. Porojan, A., 2001, Trade Flows and Spatial Effects: The Gravity Model Revisited, Open Economies Review, 12(3): 265-280. 

  28. Serrano, A. and Bogunia, M., 2003, Topology of the World Trade Web, Physical Review E, 6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