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al Satisfaction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2 no.3, 2016년, pp.117 - 127  

정혜민 (군산간호대학교) ,  김혜영 (전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degrees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al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atisfaction of mothers who had preschool children.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6 mothers. A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선행연구에서 보고되었던 영향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부모역할만족 도와의 관련성 정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확인함으로써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부모역할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여 부모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를 높이고 더불어 긍정적인 가족체계를 이루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자녀를 애정적으로 대하고 양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합리적으로 지도하는 긍정적 양육행동과 양육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자녀와의 정서적으로 느끼는 심리적 행복감인 정서적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긍정적 양육행동과 정서적 효능감이 부모역할만족도를 41.
  •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부모역할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양육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정서적 효능감이나 긍정적인 양육행동이 부모역할만족도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부모역할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정서적 효능감을 증진시키고,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유도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 등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모 역할만족도란? 최근 부모역할만족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부모 역할만족도란 결혼한 성인이 출산과 함께 경험하게 되는 새로운 역할로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즐거움, 보람, 그리고 만족감을 의미한다[4]. 이러한 부모역할만족도가 높은 경우 양육하면서 느끼는 만족감을 통해 일상적인 긴장과 갈등 요소가 경감되며, 전반적인 생활만족도가 높아지고, 나아가서 가족체계의 긍정적인 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5].
미취학 연령인 학령전기를 겪는 아동들의 특징은? 아동의 발달단계 중 미취학 연령인 학령전기는 인간의 발달 과정 중에서 가장 역동적이며 급속한 발달을 보여주는 시기이다[1]. 이 시기의 특징은 자기중심적인 생각과 의사소통, 직관적인 판단으로 고집부리기와 공격성을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는 다른 연령의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보다 심리적으로 긴장감이 증가하고, 더 많은 양육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부모역할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2]. 부모는 아동의 강력한 모델로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성, 도덕성 및 가치관을 형성하고 자녀가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해 나가는데 있어 강한 영향력을 가지며, 특히 어머니는 직접적이고 광범위하며 지속적인 자극을 제공하는 주 양육자로 아버지의 역할 보다 강조된다[3].
선행연구에서 부모역할만족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변인으로 무엇이 있나? 지금까지 보고된 선행연구에서 부모역할만족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변인으로는 양육 스트레스[7-10], 양육 효능감[6,11,12], 양육행동[13-15] 등이다. 양육 스트레스는 자녀를 양육함으로써 어머니가 지각하는 부담감이나 불편감으로[16] 부모역할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ockenberry MJ, Wilson D.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9th ed. Kim YH, Kwon BS, Nam HK, translator. Philadelphia, PA: Mosby; 2013. 

  2. Creasey G, Reese M.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parenting hassles: Associations with psychological symptoms, nonparenting hassles, and child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996;17(3):393-406. 

  3. Song SM, Song JS. A study on parenting beliefs, parental satisfaction, and child rearing stres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07;16(5):933-944. 

  4. Halverson CF, Duke HP. Parent satisfaction scale. In: Touliatos J, Perlmutter BF, Straus MA, editors. Handbook of family measurement techniques. California: Sage Publication; 2001. p. 169-170. 

  5. Guidubaldi J, Cleminshaw HK. The development of the Ceminshaw Guidubaldi Parent Satisfaction Scale.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85;14(4):293-298. 

  6. Park HS, Kim YY. The effects of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parent-child relational satisfactio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9;18 (3):297-304. 

  7. Yang YJ. Comparative study on parenting stress and role satisfaction between mothers who have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master's thesis]. Asan: Soonchunhyang University; 2005. 

  8. Noh AM. The influences of parenting stress and self-differentiation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in mothers with infant. The Journal of Education. 2009;20(5):35-51. 

  9. Lee MJ, Kim YM. A comparative study of parental competency, parenting practices, and social support between late and young parents.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07;49:289-309. 

  10. Park KI, Oh SE. Effects of active parenting today based on goal attainment theory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atisfaction in mothers of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5):659-670. 

  11. Jeong MH. A study on validity of the parenting efficacy scale-a base study on development of the parenting efficacy. Korea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2010;7(1):45-58. 

  12. Kim GH, Lee JM. A study on the structure model of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Child Welfare. 2011;9(3):19-39. 

  13. Moon HJ. A study of parental satisfaction and child rearing practic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01;39(1):205-219. 

  14. Kim SH.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temperament,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003;17(4):1-12. 

  15. Lee JS, Chung MJ.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atisfaction as a parent and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07;45(5):85-94. 

  16. Abidin RR. Parenting stress index. 3r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5. 

  17. Bogenschneider K, Small SA, Tsay JC. Child, parent,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among parents of adolescen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1997; 59(2):345-362. 

  18. Ren RX, Hyun OK.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Yanbian Korean-Chinese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child-rearing practic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2;40(11):23-37. 

  19. Kim AN, Kwon YS. Effect of employed mother's work-mother role conflict on parenting stress: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10):375-384. 

  20. Kim IJ, Lee SH. Motherhood ideology and parental satisfaction among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05;10(3):1-25. 

  21. Kim HE, Chung OB. Effect of the empowering parents training program on mothers and thei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999;20(4):179-193. 

  22. Chung KM, Lee KS, Park JA, Kim HJ.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 (K-PSI).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8;27(3):689-707. 

  23. Gibaud-Wallston J, Wandersman LP.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86th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78 September; Toronto, Ontario, Canada. 

  24. Shin SJ, Chung MJ.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998;19(1):27-42. 

  25. Park SY, Lee 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1990;28(1):141-156. 

  26. Kim MS.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among mothers: The case of those with preschoolers and school-aged children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5. 

  27. Seo HY, Lee SH. The effect of father's job satisfaction and family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Family and Culture. 2002; 14(3):27-51. 

  28. Jung IK. The relating factors on parenting satisfaction among mothers of preschoolers [dissertation].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3. 

  29. Hong GO.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elfefficacy and gender, age, temperament, mothers' temperaments, and parental behavio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3;23(4):5-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