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림체험 프로그램이 스마트폰에 노출된 미취학아동의 정서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on Emotional Changes in Preschool Children Exposed to Smartphone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9, 2016년, pp.1323 - 1328  

이주영 (산림청)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eneficial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on emotional changes in young children who are exposed to smartphones in daily lif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41 children aged five and six years at a kindergarten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체험 활동이 아동들의 스마트폰 의존성과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스마트폰에 노출되어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불안감과 같은 부정적 심리 완화와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번 연구에서는 5개월에 걸친 다양한 산림체험 활동이 스마트폰에 노출된 미취학아동들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평소 스마트폰 노출이 많은 아동일수록 불안, 충동, 우울과 같은 부정적 심리증상이 더 크게 나타나며 산림체험은 이러한 부정적 증상을 낮춰주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체험 활동이 스마트폰에 노출된 미취학아동들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은? 이번 연구에서는 5개월에 걸친 다양한 산림체험 활동이 스마트폰에 노출된 미취학아동들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평소 스마트폰 노출이 많은 아동일수록 불안, 충동, 우울과 같은 부정적 심리증상이 더 크게 나타나며 산림체험은 이러한 부정적 증상을 낮춰주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에서의 다양한 활동은 아동들로 하여금 주변 환경에 대해 호감을 가지고 집중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불안감과 같은 부정적 증상을 완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은? 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아동들이 스마트폰 노출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유아기 아동의 경우 주로 부모에 의해 스마트폰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이 많을수록 아동의 주의집중문제와 공격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Hyun et al., 2013), 스마트폰 등을 통한 영상물 과몰입은 아동의 집중력 장애 및 언어 발달 지연 등 정서사회적 발달 저하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Lee et al.
자연을 통한 체험 중 산림체험의 효과는? , 2012)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산림체험 활동은 아동들의 스트레스와 우울감,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높여준다고 알려져 있다(Cho et al., 2011;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 Y. M., Shin, W. S., Yeon, P. C., 2011,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length on sociality and psychology stability of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Kor. Instit. Forest Recreation Welfare, 15(4), 97-103. 

  2. Choliz, M., 2010, Mobile phone addiction: A point of issue, Addiction, 105(2), 373-375. 

  3. Hyun, E. J., Park, E. M., Cho Mary, M. H., Kim, T. Y., 2013, Relationship among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maternal depression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J. Early Childhood Edu., 33(5), 181-205. 

  4. Kang, H., Son, C.,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s, Kor. J. Health Psychol., 14(3), 497-510. 

  5. Kaplan, R., Kaplan, S., 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177-200. 

  6. Keum, C. M., 2013, Research into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mental health program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at Korea,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7. Kim, D. I., Ahn, H. H., 2006, A validation study of NEO Personality Assessment System (NEO-PAS) for adolescents, Kor. J. Youth Counsel., 14(1), 77-91. 

  8. Kim, S. A., Joung, D. W., Yeom, D. G., Kim, G. W., Park, B. J., 2015, The effects of forest activities on attitudes toward forest, stress,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J. Kor. Instit. Forest Recreation., 19(3), 51-58. 

  9. Kim, W., Woo, J. M., Lim, S. K., Chung, E. J., Yoo, R. H., 2009, The effect of psychotherapy using forest environment on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 preliminary study, J. Kor. Forest Soc., 98(1), 26-32. 

  10. Kwon, Y. L., 2013, Effect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on the personality cultivation of elementary students,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Cheonan, Korea. 

  11. Lee, J., Li, Q., Tyrvainen, L., Tsunetsugu, Y., Park, B. J., Kagawa, T., Miyazaki, Y., 2012, Nature therapy and preventive medicine, In: Ed. Maddock, J., Public health-Social and behavioral health, Intech. Online access publisher, 325-350. 

  12. Lee, J. H., Jang, H. J., Lee, S. B., 2009, Nature-friendly program for youth, Kyomunsa, Paju, 230. 

  13. Lee, K. S., Jeong, S. J., Kim, M. S., 2015, The influence of infants'(1-3 years) visual media overindulgence on their gener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Kor. J. Dev. Psychol., 28(1), 117-132. 

  14. Louv, R., 2008, Last child in the woods: Saving our children from nature-deficit disorder, Algonquin Books, Chapel Hill, NC, USA, 7-36. 

  1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2011,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NIA, Seoul, 81-130. 

  16. Shin, J. Y., Park, Y. W., Lee, J. Y., 2015, Forest Kindergarten Program, Shinjeong, Seoul, 433. 

  17. Son, J. W., Ha, S. Y., Kim, J. J.,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forest and aggression in young people, J. Kor. Forest Soc., 102(1), 74-81. 

  18. Taylor, A. F., Kuo, F. E., 2009,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s concentrate better after walk in the park, J. Attention. Disorder, 12(5), 402-409.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