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기간 풍화가 단청도채된 소나무재의 방염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rt-Term Weathering on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Korean Red Pine Wood Coated with Dancheong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5, 2016년, pp.785 - 808  

손동원 (국립산림과학원) ,  홍종욱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박진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이화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기술과학대학 보존과학과)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한규성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단기간의 인공열화와 옥외폭로의 두 시험조건에 따라 나타나는 목조문화재용 방염제 성능 차이를 비교하여 인공열화시험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결과, 목재 표면에 방염제의 용융으로 인해 생성된 탄화물이 층을 형성함으로써 연소를 지연시키는 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2주간의 인공열화 및 6개월간의 옥외폭로 시험처리를 마친 방염처리 된 단청시편에 대해 열방출률(HRR)총열방출량(THR)을 측정한 결과, 열화 전 후의 방염 성능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결과 6개월간의 옥외폭로 시편과 2주간의 인공열화(6개월의 옥외폭로에 해당한다고 추정한 조건) 시편에서 근사한 연소실험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hort-term weathering on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wood coated with Dancheong. Flame retardants were applied on the Dancheong coated Korean red pine. Flame retardants applied panels were layed at the two conditions of outdo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옥외폭로 및 인공열화 처리를 거친 각각의 방염처리 단청시편에 대해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한 연소시험을 실시한 후, 두 풍화 조건에 따른 방염성능 차이를 비교 검토하여 인공열화시험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목조문화재용 방염제의 성능발현 기작에 대해서는 아직 발표된 사례가 없으며, 본 연구에서는 목조문화재용 방염제의 성능발현 기작에 대한 작업으로서 수행한 것이다. 따라서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수행된 목조문화재 방염성능에 관한 연구는 어떠한가? 그간 국내에서 수행된 목조문화재 방염성능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Kim 등(2009)은 두께 10mm의 육송에 석간주를 도색한 후 인계, 브롬계, 불소인계 방염제를 도포한 결과, 처리한 단청목재 모두 방염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Han (2011)은 45도연소시험을 통해 방염성능 평가에는 변재에서 채취한 10 mm 두께의 판목판재 사용이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었으며, 콘칼로리미터법 연소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착화시간 및 총열방출량과 같은 데이터를 이용한 방염성능의 비교가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Kim(2012)은 소나무재의 촉진열화실험을 실시하여 시험초기에는 고온과 높은 조도에 따른 수분증발로 인해 중량 및 부피의 증가를 보여주지만, 중기 이후는 중량 및 부피 감소가 일어남을 보고하였다. Han (2013)은 목조문화재 방염제의 평가 및 관리에 있어서 콘칼로리미터법은 유용한 시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으며, 방염성능 유지 능력은 광열화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Son 등(2014)은 목조문화재에 사용되는 방염제에 대한 평가방법을 연구하였으며, 목조문화재용 방염제의 연소특성, 흡습성 평가,한계산소지수, 철부식성 테스트, 내후성 테스트 등의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Park 등(2014)은 전통목조건축물의 주재료인 목재에 대하여 인공촉진 열화시험을 실시하고, 초음파 전달속도 측정을 통하여 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초음파 전달속도, 정적탄성계수, 동적탄성계수는 열화시간의 증가에 비례하고, 열화 1,000시간까지 탄성계수가 감소하다가1,500시간 이후 다시 회복한다고 보고하였다. Kim등(2015)은 인공촉진 열화시험에 따라 자외선과 수분에 노출된 목재의 재색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목재의 재색은 초기에 급격히 변화되나 물리적 변화는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른 목재의 재색변화는 500시간 내에 이루어진다고 보고하였다.
국내 목조문화재에 주기적인 방염처리 공사가 실시되는 이유는? 국내 목조문화재는 화재 발생 시 착화를 지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주기적인 방염처리 공사가 실시되고 있다. 목조문화재의 대부분은 목가구를 조립한 후단청으로 장식되어 있기 때문에, 방염제 시공은 사후도포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목조문화재에 방염제 시공이 사후도포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국내 목조문화재는 화재 발생 시 착화를 지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주기적인 방염처리 공사가 실시되고 있다. 목조문화재의 대부분은 목가구를 조립한 후단청으로 장식되어 있기 때문에, 방염제 시공은 사후도포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목조문화재에 도채된 화려하고 장엄한 단청의 진정성과 보존을 고려했을 때, 가급적 방염제의 도포는 최소화 또는 적량화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a, J.M., Kim, I.B., Hyun, S.H. 2011. Study on weather resistance of painted wood treated by flame retardant solution.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Spring Meeting. pp. 408-411.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2. "Flame retardant of wooden cultural heritage probation criteria". 

  3. Han, G.-S. 2011. Fundamental study of performance enhancement of flame retardant for historical wooden building. Research of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R&D) Final report: 83-113. 

  4. Han, G.-S. 2013. Performance assessment and application standard of Flame retardant for fire prevention of historical wooden building(1). Research of Cultural Heritage Convergence (R&D) Final report: 131-138. 

  5. Kim, I.B., Hyun, S.H. 2009. A Study on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and toxicity of the painting wood painted with flame retardant solu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3(5): 66-71. 

  6. Kim, G.C. 2012. Study on the color changing of pine by accelerated weathering test.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ol 23: 152-162. 

  7. Kim, G.C., Park, C.Y. 2015. Analysis of surface color characteristics of wood in accelerated weathering test.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26(3): 262-266. 

  8. Park, C.-W., Hong, S.-W., Lee, J.-K., Lim, N.-G. 2013. Flame retardant and weather proof characteristic of dan-chung treated wooden by flame retardant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3(2): 122-130. 

  9. Park, C.Y., Kim, G.C. 2014. Evaluation of modulus of elasticity of wood exposed to accelerated weathering test by measuring ultrasonic transmission time.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3): 275-281. 

  10. Son, D.W., Han, G.-S. 2014. Evaluation methods of flame retardants for wooden cultural properti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5): 590-596. 

  11. Wang, Q., Li, J. 2005. The fire-retardant mechanism of fire-retardant FRW for wood. Scientia Silvae Sinicae 41(5): 123-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