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loSea5 모델의 자료처리 시스템 구축 및 시·공간적 재현성평가
Data processing system and spatial-temporal reproducibility assessment of GloSea5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9, 2016년, pp.761 - 771  

문수진 (수문기상협력센터) ,  한수희 (수문기상협력센터) ,  최광순 (K-water 연구원) ,  송정현 ((주)에스이랩)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상청에서 운영하고 제공하는 전지구 계절예측시스템 GloSea5 (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version 5)자료를 활용하여 용담댐유역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GloSea5는 예측자료(Forecast; 이하 FCST)와 과거재현자료(Hindcast; 이하 HCST)로 제공되며 공간 수평해상도는 N216 ($0.83^{\circ}{\times}0.56^{\circ}$)으로 중위도에서 약 60km이다. 이를 유역단위 물관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 공간적인 상세화가 필요하므로 통계적 상세화 기법을 수행하여 변수가 갖는 계통적인 지역 오차를 보정함으로써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HCST자료는 앙상블 형태로 주어지며 용담댐 유역의 앙상블 평균에 대한 6번 격자의 통계적인 상관성($R^2=0.60$, RMSE=88.92, NSE=0.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계절분석시 여름철의 경우 원시 GloSea5 강우량이 600.1mm로 관측값인 816.1mm 대비 -26.5%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상세화 후 GloSea5 강우량은 -3.1%의 오차율을 보였다. 대부분의 과소 모의된 결과가 여름철 홍수기에 해당되는 강우로 상세화 이후 강우가 회복되는 매우 중요한 결과를 보였다. 계절별 Moran's I 지수를 이용한 공간적 자기상관분석 결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공간적인 분포를 나타냄으로써 자료의 불확실성을 개선하고 시 공간적인 정확도와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HCST기간에 대한 GloSea5의 앙상블 강우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수문학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서의 충분한 가능성을 확보하였으며 이러한 시 공간적인 재현성에 대한 평가결과는 향후 유역단위 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loSea5 (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version 5) is provided and operated by the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GloSea5 provides Forecast (FCST) and Hindcast (HCST) data and its horizontal resolution is about 60km ($0.83^{\circ}{\times}0.56^{\circ}$) in the mid-lat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세화하지 않은 원시자료에 대하여 각 관측소별 모델 평가를 수행한 결과 상당히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냈으며 모두 6번 격자에서 가장 통계치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 중에서도 앙상블을 평균한 결과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6번격자의 앙상블 평균자료를 이용한 상세화를 수행하여 용담댐 유역에 대한GloSea5의 재현성을 더욱 높이고자 하였다.
  •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계절예보모델인 GloSea5의 유역단위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자료의 전처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통계적인 상세화를 수행하여 계통적 오차를 보정하고 우리나라 여름철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간적인 분포에 따른 자기상관을 분석하여 시·공간적인 경향성을 모두 고려하여 향후 물관리를 위한 수문모델의 입력자료로서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loSea5 모델에 대한 1·3개월 예보 앙상블 멤버를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통계적 상세화기법을 적용하여 최적화한 GloSea5 모델의 시·공간적 재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또한 공간적인 분포에 따른 자기상관을 분석하여 시·공간적인 경향성을 모두 고려하여 향후 물관리를 위한 수문모델의 입력자료로서의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57)를 통해 관측과 모델 사이의 전반적인 통계적 특성이 충분히 반영된 것으로 보였지만 월별 및 계절별, 공간적인 재현성 등은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따라 원시자료가 과소모의 되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계절별 분석을 수행하여 절대량 및 오차율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HCST 기간을 사용한 용담댐 유역의 원시 GloSea5는 1,163.
  • 또한 원시자료의 형식은 FF (Field Format)이며 유저들에게는 Grib2 (GRIdded Binary or General Regularly-distributed Information in Binary form) 형식으로 제공되지만 수문모델 및 유역모델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loSea5의 HCST, FCST 전지구 예보모델 자료를 입력자료에 의한 특정 영역의 경위도로 추출하고 이를 상세화하기 위한 시계열자료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구축하였다. 또한 원활한 파일의 입출력을 위해 각 데이터 자료들은 txt파일 포맷형태로 생성된다.
  • 하지만 지역기후모형을 통한 기후자료 내에 상당한 편이가 존재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시한번 편이보정을 실시하는 등 아직은 응용분야에 직접 사용하기에는 신뢰도가 만족스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계산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통계학적 상세화 기법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지역 스케일의 기후 영향을 모델링하기 위해 필요한 적절한 스케일에서의 자료가 부족하고, 개괄적인 관점에서만 제공하기 때문에 수문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지역 스케일에서의 프로세스를 해결할 수 없어 스케일 상세화가 꼭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loSea5 모델과 같은 생산 시스템의 장점과 단점은 각각 무엇인가? GloSea5 모델은 계절예측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해 FCST (Forecast)와 HCST (Hindcast)를 동시에 생산한다는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생산 시스템은 계절예측시스템의 성분모델 중 하나라도 개선이 되었을 때 현업에 적용하는 루틴을 가지며 모델 개선에 있어서는 장점을 가질 수 있으나, 장기예보관이 모델 예측결과를 올바르게 해석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KMA, 2015). GloSea5 모델은 Fig.
GloSea5 모델의 특징은 무엇인가? GloSea5 모델은 영국 기상청의 최신 계절예측시스템에 사용되고 있으며 영국 기상청 기후 모델인 HadGEM3 (Hadley Centre Global Environment Model version 3)에 기초해서 구축되었고 국내 기상청에서 2014년부터 현업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GloSea5 모델은 계절예측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해 FCST (Forecast)와 HCST (Hindcast)를 동시에 생산한다는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생산 시스템은 계절예측시스템의 성분모델 중 하나라도 개선이 되었을 때 현업에 적용하는 루틴을 가지며 모델 개선에 있어서는 장점을 가질 수 있으나, 장기예보관이 모델 예측결과를 올바르게 해석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KMA, 2015).
GloSea5 모델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GloSea5 모델은 Fig. 2와같이 대기(UM), 지면(JULES), 해양(NEMO), 해빙(CICE) 모델들이 커플러(OASIS)에 의해 결합된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기의 물리적인 현상을 수치모델에서 모의하기 위하여 영국 기상청에서 개발한 GA3.0 버전의 물리과정 패키지를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batzoglou, J.T., and Brown, T.J. (2011). "A comparison of statistical downscaling methods suited for wildfire ap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32, No. 5, pp. 772-780. 

  2. Anselin, L., and Bera, A. (1998). "Spatial dependence in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an introduction to spatial econometrics." Handbook of Applied Economic Statistics. 

  3. Anselin, L., Syabri, I., and Smirnow, O. (2002). "Visualizing multivariate spatial correlation with dynamically linked windows." Urbana, Vol. 51, 61801. 

  4. Benestad, R.E., and Mezghani, A. (2015). "On downscaling probabilities for heavy 24-hour precipitation events at seasonal-to-decadal scales." Tellus A, Vol. 67. 

  5. Bowler, N.E., Arribas, A., Beare, S.E., Mylne, K.R., and Shutts, G.J. (2009). "The local ETKF and SKEB: Upgrades to the MOGREPS short-range ensemble prediction system."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468, No. 640, pp. 767-776. 

  6. Feddersen, H., and Andersen, U. (2005). "A method for statistical downscaling of seasonal ensemble predictions." Tellus A, Vol. 57, No. 3, pp. 398-408. 

  7. Hwang, S., and Graham, W.D. (2013). "Development and comparative evaluation of a stochastic analog method to downscale daily GCM precipitation."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EGU, Vol. 17, No. 11, pp. 4481-4502. 

  8. Jung, M.I., Son, S.W., Choi, J., and Kang, H.S. (2015). "Assessment of 6-Month Lead Prediction Skill of the GloSea5 Hindcast Experiment."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Atmospher), KMS, Vol. 25, No. 2, pp. 1-15. 

  9. Jung, Y.Y., Moon, I.J., Jang, P.H., Lim, B.H., and Lee, J.H. (2015). "Assessment of accuracy of the ocean-sea meteorological objective of GloSea5." Proceeings of the Autumn Meeting of KMS, pp. 702-703. 

  10. Kim, M.H., Kim, B.H., Kang, H.S., and Byun, Y.H. (2015). "A study on improvement of resolution of GloSea5(TRIP)." Proceeings of the Autumn Meeting of KMS, pp. 619-620. 

  11.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 "A Forecast characteristics analysis technical report of GloSea5", KMA Report. 

  12. Lee, S.M., Lim, S.M., Park, J.K., Kang, H.S., and Cho, C.H. (2015). "Verification of forecast skill between 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version 5 and unified model to MJO and tropical cyclone." Proceedings of the Spring Meeting of KMS, pp. 144-145. 

  13. MacLachlan, C., Arribas, A., Peterson, K.A., Maidens, A., Pereday, D., Scaife, A.A., Gordon, M., Vellinga, M., Williams, A., Corner, R.E., Camp, J., Xavier, P., and Madec, G. (2015). "Global seasonal forecast system version 5 (GloSea5): a highresolution seasonal forecast system."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141, No. 689, pp. 1072-1084. 

  14. Moon, S.J. (2015). "Ensemble projection of hydrological extremes using bayesian model averaging scheme."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Dankook, Gyeonggido, Korea. 

  15. Palmer, T.N., Alessandri, A., Andersen, U., and Cantelaube, P. (2004). "Development of a european multimodel ensemble system for seasonal-to-interannual prediction (DEMETER)."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85, No. 6, pp. 853. 

  16. Ramanarayanan, T.S., Williams, J.R., Dugas, W.A., Hauck, L.M., and McFarland, A.M.S. (1997). "Using APEX to identify alternative practices for animal waste management." ASAE Paper, No. 972209. 

  17. Seo, E.K., Lee, M.I., Jeong, J.H., Kang, H.S., and Won, D.J. (2016). "Improvement of soil moisture initialization for a global seasonal forecast system."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Atmospher), KMS, Vol. 26, No. 1, pp. 35-45. 

  18. Son, K.H., Bae, D.H., and Jung, H.S. (2015). "Construction & evaluation of GloSea5-Based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system."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Atmospher), KMS, Vol. 25, No. 2, pp. 271-281. 

  19. Wood, A.W., Leung, L.R., Sridhar, V., and Lettenmaier, D. (2004). "Hydrologic implications of dynamical and statistical approaches to downscaling climate model outputs." Climatic Change, Springer, Vol. 62, No. 1-3, pp. 189-2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