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적인 저항훈련이 운동이상형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설계
Effects of Functional Resistance Training on Gross Motor and Balance Abilities in Children with Dyskinetic Cerebral Palsy : Single Case Desig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4 no.3, 2016년, pp.109 - 119  

권해연 (동의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clinical effects of functional resistance training using weighted vest on gross motor and balance abilities of children with dyskinetic cerebral palsy. Methods : This study selects 3 subjects for 8~12 years old who were diagnosed with children with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운동이상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무게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관절과 닫힌 운동사슬의 기능적인 움직임 패턴을 촉진하는 저항훈련을 적용했을 때 대동작 기능과 수행력,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와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임상 양상 및 활동 능력은 물론 연구 기간이나 방법의 차이로 정확한 비교는 한계가 있겠지만 주로 중재방법과 측정결과의 유사성에 관련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운동이상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무게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관절과 닫힌 운동사슬의 기능적인 움직임 패턴을 촉진하는 저항훈련을 적용했을 때 대동작 기능과 수행력,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와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임상 양상 및 활동 능력은 물론 연구 기간이나 방법의 차이로 정확한 비교는 한계가 있겠지만 주로 중재방법과 측정결과의 유사성에 관련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 따라서 몸통과 팔다리의 근육긴장도 변화와 과도한 불수의적 움직임으로 대동작 운동에 장애를 유발하고, 불안정한 자세와 정서 상태, 감각 사이의 충돌로 균형을 유지하기 어려운 운동이상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무게조끼를 이용한 기능적인 저항훈련이 유용한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운동이상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모래주머니를 넣은 무게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관절과 닫힌 운동사슬의 기능적인 움직임 패턴을 촉진하는 저항훈련이 대동작 기능과 수행력,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뇌성마비 아동은 임상적으로 근육긴장도 동작패턴의 다양한 특성이 나타나고, 작업 성취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질적 움직임에도 손상이 있으므로(Sordahi 등, 2008) 중재의 결과에 대한 운동의 성질이나 활동수행 방법(Gowland 등, 1995)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무게조끼나 저항훈련에 관한 어떤 선행 연구에서도 운동 수행력에 대한 측정을 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의 대동작 수행력에 대한 결과를 위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연구의 대동작 수행평가의 하위영역 중 신체정렬 영역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분리 움직임, 협응성, 체중이동, 안정성 영역을 포함한 전체 대동작 수행평가 점수는 신경발달치료만 실시한 기초선과 제2기초선 단계 보다 신경발달치료 후에 무게조끼를 이용한 기능적인 저항훈련을 12주간 실시한 중재선 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이상형 뇌성마비의 특징은 무엇인가? 운동이상형 뇌성마비는 바닥핵에서 피라미드바깥길 병변(extrapyramidal lesions)이 주된 원인으로 출생 시 질식과 관련이 있다(MacLennan, 1999). 이 유형은 원시 반사의 성숙 지연을 포함하는 다양한 임상적 징후뿐만 아니라 머리와 몸통의 낮은 긴장도, 자세유지의 어려움이 발생하는데 이는 뇌 병변 기간과 부위, 그리고 손상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Yokochi 등, 1993). 또한, 비틀림 경련(torsion spasm), 근육긴장이상(dystonia), 무도병(chorea), 느린비틀림운동(athetosis) 등과 같이 근육 긴장도 변화가 크고 과도한 불수의적 움직임으로 인한 심한 운동장애가 나타나므로 임상에서 치료하기 매우 힘든 유형이다(Hou 등, 2006). 즉, 이러한 운동장애로 인해 목적 있고, 선택적인 움직임이 어려우므로 대동작 운동에 제한이 유발되고, 심한 불수의적 움직임은 자세유지 능력을 감소시키므로 항중력적 균형조절에 장애를 초래 한다. 또한, 근육긴장도 변화와 불수의적 움직임이라는 임상양상이 아동의 정서에 영향을 주므로 심리적인 동요로 이어지게 된다.
운동이상형 뇌성마비의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임상 치료사와 연구원들은 뇌손상으로 인한 근육 긴장도와 운동장애 형태(우세한 비정상적 움직임)에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을 경직형 60∼70%, 운동이상형 또는 곰지락형 20∼30%, 운동실조형 5∼10%로 분류하였다 (Sinha 등, 1997). 운동이상형 뇌성마비는 바닥핵에서 피라미드바깥길 병변(extrapyramidal lesions)이 주된 원인으로 출생 시 질식과 관련이 있다(MacLennan, 1999). 이 유형은 원시 반사의 성숙 지연을 포함하는 다양한 임상적 징후뿐만 아니라 머리와 몸통의 낮은 긴장도, 자세유지의 어려움이 발생하는데 이는 뇌 병변 기간과 부위, 그리고 손상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Yokochi 등, 1993).
무게조끼의 역할은 무엇인가? 임상현장의 치료사와 특수교사들은 장애아동에게 심부압박 감각을 적용하기 위한 중재도구로 모래주머니로 무게저항을 제공하는 무게조끼를 사용하고 있다. 무게조끼는 아동이 안정된 각성수준을 유지하게 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며 일상생활 동작에 변화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발달단계와 심리적 상태에 적합하게 제공할 수 있다(Fertel-Daly 등, 2001). 따라서 불수의적 움직임으로 목적적이고 선택적인 움직임이 어려운 운동이상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모래주머니를 넣은 무게조끼를 착용시켜 기능적인 움직임 양상을 촉진하는 저항훈련을 실시하면 몸통과 팔다리 관절에 고 유수용성 및 운동감각을 더 많이 제공하고(Snow 등, 2000), 몸통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소영, 송병호(2010). 무게감 있는 조끼(weighted vest)의 착용이 취학 전 자폐성 장애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자폐성 장애연구, 10(1), 143-161. 

  2. 김진(2013). 무게조끼를 이용한 선 자세 체중부하이동훈련이 경도 뇌성마비 아동의 기립균형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Anttila H, Autti-Ramo I, Suoranta J, et al(2008). Effectivenes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BMC Pediatr, 24, 8-14. 

  4. Boyce WF, Gowland C, Rosenbaum PL, et al(1995). The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a measure of quality of movement. Phys Ther, 75(7), 603-613. 

  5. Boyd R, Fatone S, Rodda J, et al(1999). High-or low-technology measurements of energy expenditure in clinical gait analysis? Dev Med Child Neurol, 41(10), 676-682. 

  6. Damiano DL, Abel MF(1996). Relation of gait analysis to gross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38(5), 389-396. 

  7. Damiano DL, Abel MF(1998). Functional outcome of strength training in spastic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79(2), 119-125. 

  8. Davis TN, Dacus S, Strickland E, et al(2013). The effects of a weighted vest on aggressive and self-injurious behavior in a child with autism. Dev Neurorehabil, 16(3), 210-215. 

  9. Dodd KJ, Taylor NF, Damiano DL(2002).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strength-training programs for people with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83(8), 1157-1164. 

  10. Faigenbaum AD, Kraemer WJ, Blimkie CJ, et al(2009). Youth resistance training: Updated position statement paper from the national strength and conditioning association. J Strength Cond Res, 23(5 Suppl), S60-79. 

  11. Fertel-Daly D, Bedell G, Hinojosa J(2001). Effects of a weighted vest on attention to task and self-stimulatory behaviors in preschool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m J Occup Ther, 55(6), 629-640. 

  12. Gan SM, Tung LC, Tang YH, et al(2008). Psychometric properties of functional balance assess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2(6), 745-753. 

  13. Gowland C, Boyce WF, Wright V, et al(1995).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Phys Ther, 75(7), 597-602. 

  14. Granata KP, Lee PE, Franklin TC(2005). Co-contraction recruitment and spinal load during isometric trunk flexion and extension. Clin Biomech, 20(10), 1029-1037. 

  15. Hodgetts S, Magill-Evans J, Misiaszek JE(2011). Weighted vests, stereotyped behaviors and arousal in children with autism. J Autism Dev Disord, 41(6), 805-814. 

  16. Hou M, Zhao JH, Yu R(2006). Recent advances in dyskinetic cerebral palsy. World J Pediatr, 1, 23-28. 

  17. Latash ML, Anson JG(1996). What are normal movements in atypical populations? Behav Brain Sci, 19(1), 55-68. 

  18. Lee HS, Song CS(2015). Effects of therapeutic climbing activities wearing a weighted vest on a chil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case study. J Phys Ther Sci, 27(10), 3337-3339. 

  19. Lee JH, Sung IY, Yoo JY(2008). Therapeutic effects of strengthening exercise on gait function of cerebral palsy. Disabil Rehabil, 30(19), 1439-1444. 

  20. Liao HF, Liu YC, Liu WY, et al(2007). Effectiveness of loaded sit-to-stand resistance exercise for children with mild spastic diplegia: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rch Phys Med Rehabil, 88(1), 25-31. 

  21. Lin HY, Lee P, Chang WD, et al(2014). Effects of weighted vests on attention, impulse control, and on-task behavior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 J Occup Ther, 68(2), 149-158. 

  22. MacLennan A(1999). A template for defining a causal relation between acute intrapartum events and cerebral palsy: international consensus statement. BMJ, 319(7216), 1054-1059. 

  23. McGill SM, Grenier S, Kavcic N, et al(2003). Coordination of muscle activity to assure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J Electromyogr Kinesiol, 13(4), 353-359. 

  24. Miller A, Olsen L, Moncayo Z, et al(1999). Children with autism using weighted vests: Two single subject studies. In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Indianapolis, Indiana. 

  25. Mockford M, Caulton JM(2008). Systematic review of progressive strength train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who are ambulatory. Pediatr Phys Ther, 20(4), 318-333. 

  26. Nordmark E, Hagglund G, Jarnlo GB(1997).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in cerebral palsy. Scand J Rehabil Med, 29(1), 25-28. 

  27. Palisano RJ, Hanna SE, Rosenbaum PL, et al(2000). Validation of a model of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80(10), 974-985. 

  28. Peng YC, Lu TW, Wang TH, et al(2011). Immediate effects of therapeutic music on loaded sit-to-stand movement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Gait Posture, 33(2), 274-278. 

  29. Ross SA, Engsberg JR(2007). Relationships between spasticity, strength, gait, and the GMFM-66 in persons with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88(9), 1114-1120. 

  30. Scholtes VA, Becher JG, Janssen-Potten YJ, et al(2012). Effectiveness of functional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walking 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s Dev Disabil, 33(1), 181-188. 

  31. Scianni A, Butler JM, Ada L, et al(2009). Muscle strengthening is not effectiv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Aust J Physiother, 55(2), 81-87. 

  32. Sinha G, Corry P, Subesinghe D, et al(1997). Prevalence and type of cerebral palsy in a british ethnic community: the role of consanguinity. Dev Med Child Neurol, 39(4), 259-262. 

  33. Snow CM, Shaw JM, Winters KM, et al(2000). Long-term exercise using weighted vests prevents hip bone loss in postmenopausal women.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5(9), M489-491. 

  34. Sordahi AB, Moe-Nilssen R, Strand LI(2008). Observer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and the quality of upper extremity skills test, based on video recordings. Dev Med Child Neurol, 50(2), 146-151. 

  35. Unger M, Faure M, Frieg A(2006). Strength training in adolescent learners with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6), 469-477. 

  36. Valvano J, Newell KM(1998). Practice of precision isometric grip-force task by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40(7), 464-473. 

  37. Vandenberg NL(2001). The use of a weighted vest to increase on-task Behavior in children with attention difficulties. Am J Occup Ther, 55(6), 621-628. 

  38. Yokochi K, Shimabukuro S, Kodama M, et al(1993). Motor function of infants with athetoid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35(10), 909-9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