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의 A형 간염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예방접종 행태
Knowledge, Health Belief, and Vaccination Behavior on Hepatitis A among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1 no.3, 2016년, pp.119 - 128  

김경자 (영남대학교병원) ,  황태윤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이경수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대학생의 A형 간염 지식, 건강신념, A형 간염 예방접종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구 경북지역의 보건계열을 제외한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3일부터 3월 2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197부를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A형 간염 지식점수는 15점 만점에 $4.59{\pm}3.06$점이었으며, 건강신념 점수는 4점 만점에 $2.39{\pm}0.28$점이었고, A형 간염 예방접종률은 12.7%였다. A형 간염 지식은 A형 간염 검사 경험, 가족 중 A형 간염 예방접종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건강신념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형 간염 예방접종은 A형 간염 검사 경험, 가족 중 간질환, 가족 중 A형 간염 예방접종 경험, A형 간염 교육 경험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A형 간염 예방접종 행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A형 간염 검사 경험과 가족 중 A형 간염 예방접종 경험이었다. 결과적으로 연구대상자들의 A형 간염 지식, 건강신념 수준이 낮았으며 A형 간염 예방접종률 또한 낮았다. 따라서 적절한 보건교육을 통해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하고, 질병 예방행위 실천 및 A형 간염 예방접종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vaccination behavior on hepatitis A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3^{rd}$ to $25^{th}$ March, 2014 and 197 subjects were enrolled in st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대학생의 A형 간염에 대한 지식 및 건강신념, 예방접종 행태를 조사하고 A형 간염 예방접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대학생의 A형 간염 지식, 건강신념, A형 간염 예방접종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A형 간염 발생률의 증가의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최근 A형 간염 발생률의 증가는 소아와 청소년기의 자연 항체 형성의 감소가 주된 원인이다[6]. 위생상태가 좋지 않았던 1980년대까지 국내의 A형 간염 항체 보유율이 20세 미만에서는 90%로 자연 감염을 통해 A형 간염에 대한 면역성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7], 최근 국민 전체의 A형 간염 항체 보유율은 62.
연령에 따른 A형 간염의 발병률과 합병증은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A형 간염은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HAV)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성이 높은 질환으로, 대변-구강 경로를 통한 개인 간의 전파가 가장 흔하다[1]. 6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약 70%에서 무증상 불현성 감염을 보이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현증 감염이 더 많이 나타나고, 합병증의 발생도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2].
A형 간염은 어떤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며, 무엇을 매개로 하여 전파되는가? A형 간염은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HAV)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성이 높은 질환으로, 대변-구강 경로를 통한 개인 간의 전파가 가장 흔하다[1]. 6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약 70%에서 무증상 불현성 감염을 보이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현증 감염이 더 많이 나타나고, 합병증의 발생도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ong YB, Lee JH, Choi MS, Koh KC, Paik SW, Yoo BC. The Age-specific seroprevalence of hepatitis A virus antibody in Korea. Korean J Hepatol 2007;13(1):27-33 (Korean) 

  2. WHO. WHO position paper on hepatitis A vaccines. Wkly Epidemiol Rec. 2012;87(28-29):261-267 

  3. Franco E, Meleleo C, Serino L, Sorbara D, Zaratti L. Hepatitis A: Epidemiology and prevention in developing countries. World J Hepatol 2012;4(3):68-73 

  4. Jung YK, Kim JH.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hepatitis A: from the domestic perspective. Korean J Hepatol 2009;15(4):483-445 (Korean)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Korea Center for Infectious Disease Control [cited 2014 May 20].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 

  6. Kim TY, Sohn JH, Ahn SB, Son BG, Lee HL, Eun CS, Jeon YC, Han DS. Comparison of recent IgG Anti-HAV prevalence between two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Korean J Hepatol 2007;13(3):363-369 (Korean) 

  7. Hong WS, Kim YC. Seroepilemiology of type A and type B hepatitis in Seoul area. Korean J Med 1982;25(1):9-26 (Korean) 

  8. Lee AN, Lim HS, Nam CM, Song SM, Yoon HR, Lee KR. An epidemiological analysis of hepatitis A virus serologic markers during the recent four years in Korea. Korean J Lab Med 2009;29(6):563-569 (Korean) 

  9. Lee H, Cho HK, Kim JH, Kim KH. Seroepidemiology of hepatitis A in Korea: changes 7 over the past 30 years. J Korean Med Sci 2011;26:791-796 (Korean) 

  10. Gwak YW. A study on health care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the health concern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area[dissertation]. Ulsan, Ulsan University, 2010 (Korean) 

  11. Kim MJ, Park J.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beliefs and receiving hepatitis B Vaccination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2;10(4): 309-316 (Korean) 

  12. Park JH. A study on mothers'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children's hepatitis A vaccination rate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0 (Korean) 

  13. Yoon SH, Lee HY, Kim HW, Kong KA, Kim KH. Adolescents' and parental knowledge, health beliefs toward hepatitis A vaccination.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13;20(3):147-160 (Korean) 

  14. Oh HY, Park JY. Immunization, knowledg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s to hepatitis A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1;28(5):83-95 (Korean) 

  15. Park JY. Preventive behavior and health belief about hepatitis A of adults in their twenties to thirties. Korean J Adult Nurs, 2011;23(4):403-411 (Korean) 

  16. Rosenstock IM.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Educ Behav 1974;2(4):328-335 

  17. Baek JS, Han MA, Park J, Yun NR. Hepatitis A virus vaccination status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Health Promot 2014;14(3):103-111 (Korean) 

  18. Zhuang FC, Qian W, Mao ZA, Gong YP, Jiang Q, Jiang LM, Mao JS. Persistent efficacy of live attenuated hepatitis A vaccine(H2-strain) after a mass vaccination program. Chin Med J 2005;118(22):1851-1856 

  19. Daniels D, Grytdal S, Wasley A. Surveillance for acute viral hepatitis-United States.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MWR). 2009;58[cited 2014 May 10]. Available from: http://www.cdc.gov/mmwr/pdf/ss/ss5803.pdf. 

  20. Hanna JN, Hills SL, Humphreys JL. Impact of hepatitis A vaccination of indigenous children on notifications of hepatitis A in north Queensland. Med J Aust 2004;181(9):482-485 

  21. Lopez EL, Controni MM, Mistchenko A, Debbag R. Long-term immunity after two dose of inactivated hepatitis A vaccine Argentinean children. Pediatr Infect Dis J 2010;29(6):568-570 

  22. Chung MH. Hepatitis A Virus Vaccination. Korean J Med 2008;75(2):S661-S667 (Korean) 

  23. Lee BS, Kim MY, Kim MH, Kim SK.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J Korean Acad Nurs 2000;30(1):213-224 (Korea) 

  24. Oh SJ, Kam S, Han CH. Behavioral intention and behavior for hepatitis B vaccination in rural residents. Korean J Rural Med 2002;27(1):125-142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