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생식물 나문재의 여러 가지 환경 조건 하에서의 종자 발아 및 초기생장특성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1 no.3, 2016년, pp.222 - 226  

권혁규 (전북대학교 작물생명과학과) ,  정재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승재 (전북대학교 화학과) ,  정남진 (전북대학교 작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토양 염농도의 변이가 큰 간척지에서 염생식물 나문재의 안정적인 재배와 생산을 위한 연구의 하나로, 나문재 종자의 발아특성과 초기생육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나문재 종자는 무배유 쌍자엽 구조를 가지며 별 모양의 황색 화피에 싸여 있다. 종자크기는 길이가 4.7 mm, 너비가 4.4 mm, 그리고 두께가 3.1 mm이며, 천립중은 1.58 g이다. 종자의 발아는 $5{\sim}40^{\circ}C$의 온도범위에서 8~65%의 변이를 보이며, $15^{\circ}C$에서 가장 높았다. 염농도에 따른 발아율은 증류수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염농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종자에서 화피를 제거했을 때의 발아율은 온도나 염농도에 관계 없이 모든 처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종자발아에서 광의 영향을 보면, 0~300 mM의 염농도 범위에서 광조건이 암조건보다 5~20% 정도 발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염농도 따른 나문재의 초기생장을 초장, 경수, 생체중, 건물중, 근장 등으로 조사한 결과, 모든 특성들이 50~100 mM의 염농도에서 양호하였고, 증류수나 높은 농도의 염수에서는 생장이 크게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나문재의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화피를 제거한 종자를 증류수에 침종하여 $15^{\circ}C$ 정도의 저온과 광 조건에서 발아시키는 것이 유리하며, 식물체의 생장은 50~100 mM의 염농도 하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under various salt concentrations, temperatur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ght S. asparagoides has a non-endospermic dicotyledonous seed structure that is go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토양 염농도의 변이가 큰 간척지에서 염생식물 나문재의 안정적인 재배와 생산을 목적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나문재 종자의 발아특성과 초기생장특성을 구 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생식물이란? 염생식물은 해안염습지에서 생육이 가능한 일년생 또는 다년생식물로, 퉁퉁마디, 칠면초, 해홍나물, 나문재, 갈대, 번행초 등 약 40~100종의 다양한 염생식물이 우리나라 서남해안 갯벌에 분포하고 있다(Min, 1998). 과거에는 염생 식물의 가치와 기능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잡초와 같은 활용성이 없는 식물로 여겨졌으며, 기껏해야 땔감으로 사용되는 정도였다.
현재 염생 식물은 어떻게 활용되는가? 과거에는 염생 식물의 가치와 기능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잡초와 같은 활용성이 없는 식물로 여겨졌으며, 기껏해야 땔감으로 사용되는 정도였다. 그러나 지금은 다양한 염생식물들이 소득 작물로 활용되고 있고, 생태공원, 자연학습장, 염생식물원 등의 관광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과거 염생 식물은 어떻게 활용되었는가? 염생식물은 해안염습지에서 생육이 가능한 일년생 또는 다년생식물로, 퉁퉁마디, 칠면초, 해홍나물, 나문재, 갈대, 번행초 등 약 40~100종의 다양한 염생식물이 우리나라 서남해안 갯벌에 분포하고 있다(Min, 1998). 과거에는 염생 식물의 가치와 기능이 잘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잡초와 같은 활용성이 없는 식물로 여겨졌으며, 기껏해야 땔감으로 사용되는 정도였다. 그러나 지금은 다양한 염생식물들이 소득 작물로 활용되고 있고, 생태공원, 자연학습장, 염생식물원 등의 관광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W. Y., C. H. Yang, J. H. Lee, T. K. Kim, J. H. Jeong, M. K. Cho, and S. J. Kim. 2011. Establishment of Perfect-Drainage Period for Reduction of Salt Injury and Improvement of Grain Filling Ratio in the Newly Reclaimed Land.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6(2) : 177-181. 

  2. Chung, N. J. and N. C. Paek. 2003. Photoblastism and ecophysiology of seed germination in weedy rice. Agronomy Journal 95 : 184-190. 

  3. Kang, C. H., W. Y. Choi, Y. J. Yoo, K. H. Choi, H. J. Kim, Y. J. Song, and C. K. Kim. 2014. The growth phase and yield difference of kenaf (Hibiscus cannabinus L.) on soil salinity in reclaimed land.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9(4) : 511-520. 

  4. Khan, M. A., B. Gul, and D. J. Webber. 2002. Seed germination in the great basin halophytes Salsola iberica. Canadian Journal of Botany 80 : 650-655. 

  5. Kim, C. H. 2009. Studies on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alt marche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Germination strategies and character of halophyte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8(4) : 451-462. 

  6. Kim, D. G. 2010. Native tree species of tolerance to saline soil and salt spray drift at the coastal forests in the West-Sea,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4(2) : 209-221. 

  7. Kim, H. W. and J. K. Son. 2013. Analysis of Soil Characteristics of Farming Sites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Master thesis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8. Koo, S. C., M. G. Jeon, Y. H. Lee, H. Y. Kim, B. K. Kang, J. M. Go, I. Y. Baek, H. T. Yun, I. Y. Baek, and M. S. Choi. 2014. Screening of soybean germplasm with high starch content. Korean Journal of Breading Science, 46(1) : 52-57. 

  9. Lee, B. H., Y. H. Moon, B. C. Jeong, K. S. Kim, and S. N. Ryu. 2003. Growth characteristics and it's potentiality of use of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MIQ.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14 : 87-93. 

  10. Lee, S. J., H. J. Jeon, J. H. Jeong, and N. J. Chung. 2016. Germination enhancement by removing the funiculus in halophyte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seeds. Hor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57(4) : 323-329. 

  11. Min, B. M. 1998. Vegetation on the west coast of Korea. Ocean Res. 20 : 167-178. 

  12. Nam, Y. K., J. A. Baik, and M. Chiang. 2007. Effects of Different NaCl Concentrations on the Growth of Suaedu asparagoides, Suaeda maritima, and Salicornia herbac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0(5) : 349-353. 

  13. Ungar, I. A. 1995. Seed germination and seed-bank ecology of halophytes. In: Kigel, K., Galili, G. (EDS.), Seed Development and Germination. Marcel Dekker, New York Comment: p. 853. 

  14. Wei, Y., M. Dong, Z. Y. Huang, and D. Y. Tan. 2008. Factors influencing seed germination of Salsola affinis (Chenopodiaceae), a dominant annual halophyte inhabiting the deserts of Xinjiang, China. Flora 203(2) : 134-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