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향성 공간적 조건부 자기회귀 모형의 베이즈 분석 방법
Bayesian analysis of directional conditionally autoregressive model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5, 2016년, pp.1133 - 1146  

경민정 (덕성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간통계 방법 중 지역에 대한 어떤 집합체 자료나 평균자료들을 분석하는데 일반적으로 공간적 자기회귀 (conditionally autoregressive) 모형을 사용한다. 공간적 자기회귀 모형에 정의되는 공간적 이웃 소지역들은 중점의 거리나 근접성으로 정의된다. Kyung과 Ghosh (2009)는 방향에 따라서 이웃간 자기상관성의 크기가 다른 확장된 공간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향적 조건부 자기회귀 (directional conditionally autoregressive) 모형은 고유 이방성을 모형화하여 기존의 CAR과정을 일반화한다. 제시한 방향적 조건부 자기회귀모형의 모수추정으로 마르코프 체인 몬테 카를로 방법을 기반으로 한 베이즈 추정법을 제시한다. 제시한 모형을 스코틀랜드 그레이터 글래스고우의 로그변환된 부동산 가격에 적용하여 조건부 자기회귀모형과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unts or averages over arbitrary regions are often analyzed using conditionally autoregressive (CAR) models. The spatial neighborhoods within CAR model are generally formed using only the inter-distance or boundaries between the sub-regions. Kyung and Ghosh (2009) proposed a new class of models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공간 임의 효과 ηi에 적용할 유연한 모형인 DCAR 모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베이지안 추정법을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에 적용하여 활용성을 연구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분산행렬 Σ(ω)에 대해 이방성을 고려한 모형을 살펴본다.
  • 이 절에서는 내재된 공간과정 Zi의 가우스 DCAR 모형에 대하여 베이지안 추정법에 근거한 모수 추정법과 관련측도의 추정법에 대해 살펴본다.

가설 설정

  • 한가지 제안할 수 있는 방법은 근접성의 방향을 보고 직관적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각 소그룹의 이웃지역 인덱스 집합을 방향성을 지닌 부분집합으로 분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 부동산가격에 자연로그 변환을 적용한 변수를 반응변수 Zi = ln(Yi)로 사용하고 가우스 분포를 가정한다. 각 변수들간 산점도행렬을 살펴보면 선형모형의 적용을 위하여 범죄율과 쇼핑센터까지의 운전시간에 자연로그변환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자연로그변환된 범죄율과 운전시간을 설명변수로 대신 사용한다.
  • 연구 공간의 추세와 경향성을 설명하는 고정효과인 대규모 변화를 모형화하기 위하여 어떤 일반성의 손실없이 정준적 일반화된 선형 모형 #을 가정한다.
  • 1)에서 정의한 내제된 공간과정 Zi의 공간적 고유 이방성을 모형화하여 기존의 CAR 과정을 일반화한 방향성 자기회귀 모형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해와 표기의 편의를 위해 소지역 Si는 이차원 공간에 정의되었다 가정한다. 즉, #, ∀i.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블러의 첫 번째 법칙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지리학에서 이러한 특성은 ‘토블러의 첫 번째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Miller, 2004). 통계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특성은 거리상 가까운 지역들로부터 수집된 관측치들 사이의 자기상관관계가 먼 거리의 관측치들과의 자기상관관계보다 높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보여 진다. 그러므로 격자 또는 지역자료 (Cressie, 1993)로 알려진 지역에 대한 어떤 집합체 자료나 평균자료들이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관측되고 있으며 공간통계 방법을 사용한 분석이 사용되고 있다.
토블러의 첫 번째 법칙이란 무엇인가? 지리학적 지역 집합이 주어졌을 때, 가까운 지역에서 수집된 관측치들은 거리상 먼 지역 자료의 관측치에 비해 서로 비슷한 특성을 띄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지리학에서 이러한 특성은 ‘토블러의 첫 번째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Miller, 2004).
DCAR 모형이란 무엇인가? 그러므로 방향적 조건부 자기회귀 (directional conditionally autoregressive) 모형은 고유 이방성을 모형화하여 기존의 CAR 과정을 일반화 시킨 모형이다. 즉, 모든 방향으로 일정한 공간적 자기상관 무게를 부여하는 CAR모형의 한계에 대하여 강한 방향적 직교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공간 임의 효과에 포함하여 일반화 시킨 것이 DCAR 모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sag, J. (1974). Spatial interaction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lattice systems (with discuss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B, 36, 192-236. 

  2. Besag, J. (1975). Spatial analysis of non-lattice data. The Statistician, 24, 179-195. 

  3. Besag, J and Kooperberg, C. (1995). On conditional and intrinsic autoregression. Biometrika, 82, 733-746. 

  4. Breslow, N. E. and Clayton, D. G. (1993). Approximate inference in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8, 9-25. 

  5. Cliff, A. D. and Ord, J. K. (1981). Spatial processes: Models & applications, Pion Limited, London. 

  6. Cressie, N. (1993). Statistics for spatial data, Wiley, New York. 

  7. Cressie, N. and Chan, N. H. (1989). Spatial modeling of regional variabl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4, 393-401. 

  8. Griffith, D. A. and Csillag, F. (1993). Exploring relationships between semi-variogram and spatial autoregressive models. Papers in Regional Science, 72, 283-295. 

  9. Ha, J. and Kim, S. (2015). Comparisons of the corporate credit rating model power under various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207-1216. 

  10. Hrafnkelsson, B. and Cressie, N. (2003). Hierarchical modeling of count data with application to nuclear fall-out.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tatistics, 10, 179-200. 

  11. Kyung, M. and Ghosh, S. K. (2009). Bayesian inference for directional conditionally autoregressive models. Bayesian Analysis, 4, 675-706. 

  12. Kyung, M. and Ghosh, S. K. (2010).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directional conditionally autoregressive models. Journal of Statistical Planning and Inference, 140, 3160-3179. 

  13. Lee, D. (2013). CARBayes: An R package for Bayesian spatial modeling with conditional autoregressive prior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55, 1-24. 

  14. Lee, W. J. and Park, C. (2015). Prediction of apartment prices per unit in Daegu-Gyeongbuk areas by spatial regression mode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561-568. 

  15. Lindgren, F., Rue, H. and Lindstrom, J. (2011). An explicit link between Gaussian fields and Gaussian Markov random fields: The stochastic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approach.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B, 73, 423-498. 

  16. Miller, H. J. (2004). Tobler's first law and spatial analysi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94, 284-295. 

  17. Reich, B. J., Hodges, J. S. and Carlin, B. P. (2007). Spatial analyses of periodontal data using conditionally autoregressive priors having two classes of neighbor rel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102, 44-55. 

  18. Rue, H. and Tjelmeland, H. (2002). Fitting Gaussian Markov random fields to Gaussian fields. Scandinavian Journal of Statistics, 29, 31-49. 

  19. Schabenberger, O. and Gotaway, C. A. (2005). Statistical methods for spatial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Boca Raton. 

  20. Spiegelhalter, D. J., Best, N. J., Carlin, B. P. and van der Linde, A. (2002). Bayesian measures of model complexity and fit (with discuss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B, 64, 583-639. 

  21. Song, H. R., Fuentes, M. and Ghosh, S. (2008). A comparative study of Gaussian geostatistical models and Gaussian Markov random field models. Journal of Multivariate Analysis, 99, 1681-1697. 

  22. Sturtz S., Ligges U. and Gelman, A. (2005). R2WinBUGS: A package for running WinBUGS from R.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12, 1-16. 

  23. van der Linde, A., Witzko, K.-H. and Jockel, K.-H. (1995). Spatio-temporal anlaysis of mortality using spline. Biometrics, 4, 1352-1360. 

  24. Wahba, G. (1977). Practical approximate solutions to linear operator equations when the data are noisy. SIAM Journal on Numerical Analysis, 14, 651-667. 

  25. White, G. and Ghosh, S. K. (2008). A stochastic neighborhood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for spatial data. Computational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53, 3033-30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