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정상성 강우모의기법을 이용한 가뭄 예측기법 개발
Development of Drought Forecasting Techniques Using Nonstationary Rainfall Simulation Method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8 no.5, 2016년, pp.1 - 10  

김태정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박종현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장석환 (Daejin University,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권현한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ught is a slow-varying natural hazard that is characterized by various factors such that reliable drought forecasting along with uncertainties estimation has been a major issu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stochastic simulation technique based scheme for providing a set of drought scenarios. M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강우모의기법을 활용한 수문해석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에서 유출분석 및 빈도해석에 적용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는 아직 가뭄분석과 연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을 분석함에 있어 가장 주요한 입력 자료인 강우량을 추계학적 모의기법에 적용하여 가뭄 시나리오 생산기법을 개발하고 다양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에 대하여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추계학적 강우모의기법과 연계한 가뭄 시나리오 생산기법을 적용하고자 장기간의 수문자료가 확보된 댐 유역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최근 가뭄현상이 극심히 발생했던 주요 권역별 다목적 댐을 선정하여 ‘국가 수자원관리 종합정보 시스템 (www.
  • 이를 위해 분야별로 가용자료 및 사용목적에 맞추어 가뭄의 경향이나 정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가뭄지수 (drought index)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 시나리오를 생산하기 위하여 비정상성 은닉 마코프 모형을 통하여 산정된 강우모의결과를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가뭄 시나리오를 산정하는데 있어 국내의 수문기상학적 자료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우모의기법과 연계한 가뭄 시나리오를 생산하기 위하여 일종의 관측자료 기반의 Perfect Forecasting 기법을 통해 모형을 구축하고 최종적으로 구축된 모형을 기반으로 강우량 예측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모의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즉, 기상예보는 일반적으로 아노말리 형태로 제공되며,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관측 자료 기반으로 모형을 구축하고 향후 예측정보가 확보되면 이를 다시 예측인자로 입력시켜 강우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형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비정상성 강우모의기법을 이용한 가뭄예측기법은 가뭄지수 산정에 있어 주요 입력 자료인 강우량을 모의발생 함으로 기존의 관측강우로부터 산정되는 가뭄지수에 비하여 다량의 시나리오 형태의 가뭄지수 산정이 가능하다. 앞서 서술한 연구배경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동성을 고려한 비정상성 강우모의기법에 근거한 가뭄 시나리오 생산기법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추가적으로 가뭄 시나리오 생산결과가 과거 각 댐 유역에서 발생한 가뭄사상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각 댐에 대해 산정된 가뭄 시나리오에서 극심한 가뭄을 나타내는 시기에 실제로 가뭄이 있었는지 확인하였다. 주암댐의 경우 시나리오분석결과에서 가뭄을 나타내는 시기에 실제로 가뭄사상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심한 가뭄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2008년 가을에 실제로 댐의 바닥을 보일 정도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문변량 시나리오 기반 모의결과의 장점은 무엇인가? , 1996; Hewitt and Griggs, 2004). 시나리오 형태의 모의결과는 확률적으로 발생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1회 발생시 사회·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극치사상과 모형매개변수의 조합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발생가능성을 효율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은닉 마코프 모형은 무엇인가? 은닉 마코프 모형은 마코프 연쇄 (markov chain)을 기반으로 하는 확률론적 모형으로서 은닉상태 (hidden state)를 예측하기 위하여 관측 자료로부터 추론 (inference)된 통계적인 특징을 확률적으로 모델링하는 기법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기술하는 은닉 마코프 모형은 Kwon et al.
국내외적으로 가뭄현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어떤 지수를 사용하여 평가하는가? 국내외적으로 가뭄현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미국가뭄경감센터에서 활용하고 있는 방법으로서 주로 일정기간 동안의 강우량을 활용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강우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출을 활용한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사용한다 (Wilhite and Glantz, 1985). 그밖에도 농업에 영항을 주는 토양수분을 활용한 농업적 가뭄지수가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ngio, Y., and P. Frasconi, 1995. An input output HMM architecture.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427-434. 

  2. Bracken, C., B. Rajagopalan, and E. Zagona, 2014. A hidden markov model combined with climate indices for multidecadal streamflow simul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50(10): 7836-7846. 

  3. Edward, D., and T. McKee, 1997. Characteristics of 20th century drought in united state at multiple time scales. Climatology Report,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4. Hewitt, C. D., and D. J. Griggs, 2004. Ensembles-based predictions of climate changes and their impacts (ENSEMBLES). Eos 85(52): 566. 

  5. Hughes, J. P., and P. Guttorp, 1994. Incorporating spatial dependence and atmospheric data in a model of precipitation.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3(12): 1503-1515. 

  6. Pai, D. S., L. Sridhar, P. Guhathakurta, and H. R. Hatwar, 2011. District-wide drought climatology of the southwest monsoon season over India based on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Natural hazards 59(3): 1797-1813. 

  7. Kim, G. S., and H. G. Park, 2010. Estimation of drought index using CART algorithm and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 128-141 (in Korean). 

  8. Kim, T. J., K. Y. Kim, and H. H. Kwon, 2015. Development of multisite spatio-temporal downscaling model for rainfall using GCM mulit model ensemb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5(2): 327-340 (in Korean). 

  9. Kim, T. J., H. H. Kwon, D. R. Lee, and S. K. Yoon, 2014. Development of stochastic downscaling method for rainfall data using GC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7(9): 825-838 (in Korean). 

  10. Kwon, H. H., T. J. Kim, S. H. Hwang, and T. W. Kim, 2013a. Development of daily rainfall simulation model based on homogeneous hidden markov ch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5): 1861-1870 (in Korean). 

  11. Kwon, H. H., T. J. Kim, O. K. Kim, and D. R. Lee, 2013b. Development of multi-site rainfall simulation based on homegeneous hidden markov chain model coupled with chow-liu tree Structur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10): 1029-1040 (in Korean). 

  12. Lardet, P., and C. Obled, 1994. Real-time flood forecasting using a stochastic rainfall generator. Journal of Hydrology 162(3): 391-408. 

  13. Mallya, G., S. Tripathi, S. Kirshner, and R. S. Govindaraju, 2012. Probabilistic assessment of drought characteristics using hidden Markov model.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18(7): 834-845. 

  14.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In Proceedings of the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7(22): 179-183. 

  15.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In Proceedings of the 9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233-236. 

  16. Meila, M. and M. I. Jordan, 1996. Markov mixtures of experts. Multiple Model Approaches to Modelling and Control: 145-166. 

  17. Molteni, F., R. Buizza, T. N. Palmer, and T. Petroliagis, 1996. The ECMWF ensemble prediction system: methodology and validation.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122(529): 73-119. 

  18. Palmer, W. 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Washington, DC, USA: US Department of Commerce, Weather Bureau. 

  19. Posada, D. and T. R. Buckley, 2004. Model selection and model averaging in phylogenetics : advantages of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nd bayesian approaches over likelihood ratio tests. Systematic biology 53(5): 793-808. 

  20. Silburn, D. M., and R. D. Connolly, 1995. Distributed parameter hydrology model (ANSWERS) applied to a range of catchment scales using rainfall simulator data I : Infiltration modelling and parameter measurement. Journal of Hydrology 172(1): 87-104. 

  21. Thornthwaite, C. W., and J. R. Mather, 1955. The water budget and its use in irrigation. In Water, The Yearbook of Agricultur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346-358. 

  22. Wilhite, D. A., and M. H., Glantzb, 1985. Understanding : the Drought Phenomenon: The Role of Definitions. Water International 10(3): 111-120. 

  23. Willeke, G., J. R. M. Hosking, J. R. Wallis, and N. B. Guttman, 1994. The national drought Atlas. Institute for water resources rep. U.S. Army Corps of Engineers. 

  24. Yoo, J. Y., J. Y. Kim, H. H. Kwon, and T. W. Kim, 2014b. Sensitivity assessment of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using bayesian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6): 1787-1796 (in Korean). 

  25. Yoo, J. Y., H. H. Kwon, T. W. Kim, and S. O. Lee, 2014a. Probabilistic assessment of drought characteristics based on homogeneous hidden markov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1): 145-15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