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보강우 시간분해를 위한 Multiplicative Cascade 모형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of a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Model for Disaggregation of Forecasted Rainfall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8 no.5, 2016년, pp.91 - 99  

김대하 (Climate Application Department, APEC Climate Center) ,  윤선권 (Climate Application Department, APEC Climate Center) ,  강문성 (Department of Rural Systems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Institute of Green Bio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경도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resolution rainfall data at 1-hour or a finer scale are essential for reliable flood analysis and forecasting; nevertheless, many observations, forecasts, and climate projections are still given at coarse temporal resolution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 chaotic method for disaggregation of 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렇게 향상된 MRC모형을 간략화 했을 때 6시간 강우를 1시간으로 분해할 때 충분한 성능을 보이는 지 평가하고 홍수예보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기상청 공식 예보자료의 해상도인 6시간 강우량의 시간분해를 위해 시강우량을 6시간까지 집성하여 프랙탈 특성을 확인하였고 간략화된 MRC모형을 집성된 강우에 다시 적용하여 통계특성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RC 모형을 가장 간단히 적용하는 방법의 한계는 무엇인가? MRC 모형을 가장 간단히 적용하는 방법은 모든 강우셀에 동일한 프랙탈 특성을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강우 셀이 둘로 나뉘는 과정에 완벽한 무작위성을 가정할 경우 기상학적 조건의 시간적 연속성이 무시되게 되므로 비현실적인 시간분해가 나타날 수 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Müller and Haberlandt (2015)는 셀의 위치와 크기 조건을 프랙탈 특성 산정에 고려하였다.
관측 강우으로 홍수 예측을 할 경우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09). 하지만 관측 강우만으로 홍수 예측을 할 경우 첨두유량의 크기와 시간을 강우 관측 이후에만 알 수 있기 때문에 대비책을 마련할 시간이 충분치 않을 가능성이 크다. 예보 강우를 이용한 홍수 모의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기는 하지만 (Lee et al.
우리나라에서 홍수예측은 무엇을 기반으로 하는가? 우리나라에서 홍수예측은 관측 강우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Han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rne, A., G. Belrieu, J. -D. Creutin, and C. Obled, 2004.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 of rainfall measurements required for urban hydrology. Journal of Hydrology 299: 166-179. 

  2. Choi, Y., 2002. Changes on frequency and magnitude of heavy rainfall ev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4: 269-282. 

  3. Gupta, V. J., and E. C. Waymire, 1993. A statistical analysis of mesoscale rainfall as a random cascade.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2: 251-267. 

  4. Han, M. S., C. S. Kim, H. S. Kim, and H. Kim, 2009. A study on the revised methods of missing rainfall data for real-time forecasting syste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2): 131-139 (In Korean). 

  5. Jung, I. W., D. H. Bae, and G. Kim, 2011. Recent trends of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1: 359-370. 

  6. Kim, W., J. -G. Jhun, K. -J. Ha, and Kimoto, M., 2011, Decadal changes in climatological intraseasonal fluctuation of subseasonal evolution of summer precipitation over the Korean Penninsula in the mid-1990s.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8: 591-600. 

  7. Koutsoyiannis, D., and A. Langousis, 2011. Precipitation. In.: P. Wilderer and S. Uhlenbrook, eds. Treatise on water sceince, volume 2. Oxford: Academic Press, 27-78. 

  8. Lee, M. H., I. W. Jung, and D. H. Bae, 2011a. Kore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n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8): 653-666 (In Korean). 

  9. Lee, S. J., C. S. Jeong, J. C. Kim, and M. H. Hwang, 2011b. Long-term streamflow prediction using ESP and RDAPS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12): 967-974 (In Korean). 

  10. Licznar, P., C. De Michele, and W. Adamowski, 2015. Precipitation variability within an urban monitoring network via microcanonical cascade generator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9: 485-506. 

  11. Linznar, P., J. Lomotowski, and D. E. Rupp, 2011. Random cascade driven rainfall disaggregation for urban hydrology: An evaluation of six models and a new generator, Atmospheric Research 99: 563-578. 

  12. Lisniak, D., J. Franke, and C. Bernhofer, 2013. Circulation pattern based parameterization of a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for disaggregation of observed and projected daily rainfall time serie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7: 2487-2500. 

  13. Lombardo F., E. Volpi, and D. Koutsoyiannis, 2012. Rainfall downscaling in time: theoretical and empirical comparison between mutifractal and Hurst-Kolmogorov discrete random cascades. Hydrological Science Journal 57: 1052-1066. 

  14. Mandelbrot, B., 1974. Intermittent turbulence in self-similar cascades-divergence of high moments and dimension of carrier. Journal of Fluid Mechanics 62: 331-358. 

  15. Muller, H., and U. Haberlandt, 2015. Temporal rainfall disaggregation with a cascade model: from single-station disaggregation to spatial rainfall.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20: 04015026. 

  16. Muller, H., and U. Haberlandt, 2016. Temporal rainfall disaggregation using a multiplicative cascade model for spatial application in urban hydrology. Journal of Hydrology, In press. 

  17. Olsson, J., 1998. Evaluation of a scaling cascade model for temporal rainfall disaggregation,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 2: 19-30. 

  18. Onof, C., R. E. Chandler, and A. Kakaou, 2000. Rainfall modelling using Possion-cluster processes: a review of development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14: 384-411. 

  19. Paschalis, A., P. Molnar, S. Fatichi, and P. Burlando, 2014. On temporal stochastic modeling of precipitation, nesting models across scale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63, 152-166. 

  20. Sorup, H. J. D, H. Madsen, and K. Arnbjerg-Nielsen, 2012. Descriptive and predictive evaluation of high resolution Markov chain precipitation models. Environmetrics 23: 623-635. 

  21. Yim, S. -Y., J. -G. Jhun, and S. -W. Yeh, 2008. Decadal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n-western North Pacific summer monsoons and ENSO in the mid-1990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5: L207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