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예보와 단순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한 확률적 홍수해석
A stochastic flood analysis using weather forecasts and a simple catchment dynamic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11, 2017년, pp.735 - 743  

김대하 (APEC 기후센터, 응용사업본부) ,  장상민 (APEC 기후센터, 응용사업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대한 우려와 함께 증가하고 있는 극한호우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호우사상 발생 이전에 홍수위험을 미리 파악하여 피해를 대비할 시간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동네예보를 기반으로 하는 간단한 확률적 홍수위험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예보강수를 조건부로 하는 6시간 강수량의 확률밀도함수를 이용해 다수의 임의 강수량을 생성한 후 추계학적 모형으로 1시간 단위로 분해하여 간단한 강우-유출모형에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보청천 유역의 2017년 주요 강우사상에 제안된 방법을 적용한 결과, 7월 4일 최대홍수량이 나타났던 사상에 대해서는 예보강수를 이용한 모의는 홍수위험을 과소평가하였음을 확인하였고 반면 8월 15일 사상에 대한 동네예보는 강수량을 다소 과대추정 하였지만 홍수위험을 충분히 알릴 수 있는 정보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확정론적 모형과 확률론적 강수량을 결합하여 기상예보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자료기반 홍수위험도 산정방법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growing concerns about ever-increasing anthropogenic greenhouse gas emissions, it is crucial to enhance preparedness for unprecedented extreme weathers that can bring catastrophic consequenc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stochastic framework that considers uncertainty in weather forecasts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제안된 강우-유출과정의 가장 간단한 형태라 할 수 있는 Kirchner (2009)가 제시한 유역 모형을 예보강수에 적용해 자료기반 추계학적 홍수예보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Kirchner (2009) 모형의 적용성을 관측 유출량을 이용해 확인하였고 기상예보와 시간분해기법을 이용해 발생된 다수의 추계학적 모의강우를 수문모형에 입력하여 유출수문곡선의 범위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 적용된 방법은 lead time을 최대 48시간으로 가정하는 것이므로 lead time을 줄이고 관측강우를 이용해 유출모의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한다면 예측력은 당연히 올라가게 된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은 강우가 실제로 일어나기 전에 기상예보를 기반으로 홍수 위험도를 평가하는데 있다. 제안된 방법은 기상예보를 기반으로 이틀 동안 나타날 유출수문곡선의 범위를 확률적으로 찾아내는 도구이지 정확히 홍수 유무를 가리는 기준은 아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 사용된 강우-유출 모형은 Kirchner (2009)가 제안한 유출 민감도함수를 이용하는 간단한 Catchment Dynamics 모형이다(이하 Kirchner 모형). Kirchner 모형은 유출량이 유역 저류량과 가역적인 비선형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Kirchner (2009)는 유역 저류량을 유출량으로 변환시키는 하는 경험적 유출민감도 함수의 사용을 제안하였고 이 유출민감도 함수를 간단한 멱함수로 가정할 경우(Dingman, 2015; Melson et al.
  • (1)을 이용해 강우-유출과정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실제증발산량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증발산량 추정을 위해 Oudin et al. (2005)의 평균기온 기반 잠재증발산량 공식을 이용하였고 실제증발산량은 잠재증발산량에 비례한다고 가정하였다. 이를 고려하여 모형을 다시 구성하면 Eq.
  • , 2017). 본 연구에서는 홍수예보에 적용할 수 있는 예보강수의 lead time을 48시간으로 가정하였고 48시간 동안의 홍수수문곡선 예측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언급한 예보된 강수량과 실제 강수량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보완하는 방법은? 다시 말하면 기상예보에는 큰 불확실성이 있고 이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는 1개의 확정론적 예측은 사용자에게는 큰 위험부담이다. 이를 보완하는 방법 중 하나는 추계학적 모의를 통해 수문곡선의 범위와 첨두 유량의 확률밀도함수를 제시하는 것이다. 예보에 대한 조건부 확률밀도함수에서 다수의 강우량을 임의적으로 샘플링해서 수문모형에 입력해 수문곡선의 범위를 정량화하는 간단한 Monte-Carlo 모의가 한 예가 될 수 있다.
기상관측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한국의 기상학적 홍수는 어떨 것으로 예상되는가? 기상관측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한국의 기상학적 홍수 위험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Lee et al., 2011).
본 연구에서 언급한 기상학적 홍수 위험을 줄이는 비구조적 방법은? 이렇게 커지고 있는 기상학적 홍수 위험을 줄이는 비구조적 방법 중 하나는 홍수 피해를 사전에 알리는 예보시스템을 갖추는 것이다. 기상예보를 기반으로 하는 홍수해석은 피해를 사전에 대비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damovic, M., Braud, I., Branger, F., and Kirchner, J. W. (2015). "Assessing the simple dynamical systems approach in a Mediterranean context: application to the Ardeche catchment (France)."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19, No. 5, pp. 2427-2449. 

  2. Bae, D.-H., Jeong, C.-S., and Kwon, W.-T. (2004). "Effectiveness of high resolution GCM simulation for Korean water resources management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40, No. 4, pp. 409-418. 

  3. Brown, C., Ghile, Y., Laverty, M., and Li, K. (2012). "Decision scaling: linking bottom-up vulnerability analysis with climate projections in the water secto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8, No. 9, W09537, doi: 10.1029/2011WR011212. 

  4. Choi, Y. (2002). "Changes on frequency and magnitude of heavy rainfall event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4, No. 3, pp. 269-282. 

  5. Clark, R. A., Gourley, J. J., Flamig, Z. L., Hong, Y., and Clark, E. (2014). "CONUS-Wide evaluation of national weather service flash flood guidance products." Weather and Forecasting, Vol. 29, No. 2, pp. 377-392. 

  6. Dingman, L. S. (2015). Physical hydrology. Chapter 1, Waveland Press, Inc. IL. ISBN 1-4786-1118-9. 

  7. Han, M. S., Kim, C. S., Kim, H. S., and Kim, H. (2009). "A study on the revised methods of missing rainfall data for real-time forecasting syste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2, pp. 131-139. 

  8.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auri and L.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151 pp. 

  9. Jung, I. W., Bae, D. H., and Kim, G. (2011). "Recent trends of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1, No. 3, pp. 359-370. 

  10. Kang, B., and Moon, S. (2010). "Realtime streamflow prediction using quantitative precipitation model output." Journal of Korean Socieity of Civil Engineers, Vol. 30, No. 6, pp. 579-587. 

  11. Kang, B., Rieu, S.-Y., and Ko, I.-H. (2007) "Long-term probabilistic streamflow prediction using weather outlook weighted ensemble streamflow predi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2B, pp. 183-191. 

  12. Kim, D., Yoon, S.-K., Kang, M. S., and Lee, K.-D., (2016). "Applicability of a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model for disaggregation of forecasted rainfa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8, No. 5, pp. 89-97. 

  13. Kim, J. H., Yoon, W. J., and Bae, D. H. (2005) "Real-time application of streamflow forecast using precipitation forecas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8, No. 1, pp. 11-23. 

  14. Kirchner, J. W. (2009), "Catchments as simple dynamical systems: catchment characterization, rainfall-runoff modeling, and doing hydrology backward."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5, No. 2, W02429, doi: 10.1029/2008WR006912. 

  15. Lee, M. H., Jung, I. W., and Bae, D. H. (2011). "Kore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n climate chan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8, pp. 653-666. 

  16. Lorenz, E. N. (1963). "Deterministic nonperiodic flow."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42, No. 2, pp. 433-471. 

  17. Melsen, L. A., Teuling, A. J., van Berkum, S. W., Torfs, P. J. J. F., and Uijlenhoet, R. (2014). "Catchments as simple dynamical systems: A case study on methods and data requirements for parameter identific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50, No. 7, pp. 5577-5596, doi: 10.1002/2013WR014720. 

  18. Muller, H., and Haberlandt, U. (2015). "Temporal rainfall disaggregation with a cascade model: from single-station disaggregation to spatial rainfall."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20, No. 11, 04015026. 

  19. Nash, J. E., and Sutcliffe, J. 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doi: 10.1016/0022-1694(70)90255-6. 

  20. Oudin, L., Hervieu, F., Michel, C., Perrin, C., Andreassian, V., Anctil, F., and Loumagne, C. (2005). "Which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input for a lumped rainfall-runoff model?: Part 2 - Towards a simple and efficient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model for rainfall-runoff modelling." Journal of Hydrology, Vol. 303, No. 1-4, pp. 290-306. 

  21. Teuling, A. J., Lehner, I., Kirchner, J. W., and Seneviratne, S. I. (2010). "Catchments as simple dynamical systems: experience from a Swiss prealpine catchment."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6, No. 10, W10502, doi: 10.1029/2009WR008777. 

  22. White, C. J., Carlsen, H., Robertson, A. W., Klein, R. J. T., Lazo, J. K., Kumar, A., Vitart, F., Coughlan de Perez, E., Ray, A. J., Murray, V., Bharwani, S., MacLeod, D., James, R., Fleming, L., Morse, A. P., Eggen, B., Graham, R., Kjellstrom, E., Becker, E., Pegion, K. V., Holbrook, N. J., McEvoy, D., Depledge, M., Perkins-Kirkpatrick, S., Brown, T. J., Street, R., Jones, L., Remenyi, T. A., Hodgson-Johnston, I., Buontempo, C., Lamb, R., Meinke, H., Arheimer, B., and Zebiak, S. E. (2017). "Potential applications of subseasonal-to-seasonal (S2S) predictions." Meteorological Applications, Vol. 24, No. 3, pp. 315-3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