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건성안의 착용초기 눈물막 안정성에 인공눈물 성분 조성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tificial Tear Components on Tear Film Stability of Dry Eyes in the Early Stage of Soft Contact Lenses Wear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1 no.3, 2016년, pp.191 - 201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임정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지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변현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성분 조성이 다른 인공눈물들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건성안의 착용 초기 눈물막 안정성 및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Etafilcon A 재질의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한 50안의 건성안에 성분 조성이 다른 3종의 인공눈물 용액 및 식염수를 각각 점안하고 비침습성 눈물막 파괴시간(NIBUT)를 인공눈물 점안한 직후부터 30분까지 5분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점안 30분후의 순목 횟수 및 자각증상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3종의 인공눈물 모두 식염수보다 NIBUT를 더 크게 증가시켰다. 인공눈물 점안 직후의 NIBUT 증가 효과는 점성조절제가 포함된 인공눈물에서 가장 컸으며, 효과지속 시간은 계면활성제와 점성조절제가 모두 포함된 인공눈물이 가장 길었다. 순목 횟수는 인공눈물 용액과 식염수 점안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자각적 증상은 인공눈물 및 식염수 점안으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대부분의 용액에 의해 건조감, 이물감, 피곤감, 뻑뻑함, 눈시림 증상의 향상이 나타났다. 점안 30분 후에는 인공눈물 점안전의 자각증상과 유사한 수준으로 복귀하였다. 결론: 건성안의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초기 자각 증상은 인공눈물과 식염수 모두 완화시켜주지만 눈물막의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는 함유 성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콘택트렌즈 착용 건성안의 착용 초기 안구건조증 개선을 위해서는 적절한 인공눈물의 선택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artificial tears with different ingredients on tear film stability and subjective symptoms of dry eyes in the early stage of soft contact lenses wear was investigated. Methods: The three kinds of artificial tears and saline solution were respectively ap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제조사에서 눈물막 안정성을 위해 주성분으로 사용한 것은 점성조절제 및 계면활성제이며 눈물막 안정성에 대한 작용은 이 두 가지 종류의 성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성조절제와 계면활성제의 효능 비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실제 임상에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조정에 대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추후 인공눈물 성분의 조성을 조절한 용액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수행된다면 점성조절제 및 계면활성제 성분 자체에 대한 효능 비교까지 이루어 질 수 있으리라 보인다.
  • 본 연구에서는 각각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진 인공눈물 들이 건성안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며 성분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식염수, 주성분이 계면 활성제인 인공눈물, 점성조절제인 인공눈물, 계면활성제와 점성조절제가 모두 함유되어 있는 인공눈물이 NIBUT 및 순목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각증상 개선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성안을 대상으로 인공눈물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눈물층은 지질층, 수층, 점액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성안이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 초기에 함유성분이 상이한 인공눈물을 점안하였을 때 NIBUT, 순목 횟수, 자각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보았다. 3종의 인공눈물 용액 모두 식염수보다 NIBUT 값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 [17-21] 이러한 눈물층들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어야 눈물막의 안정성이 유지되게 되며 분비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건성안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분 보충과 눈물막 안정성 유지를 위해 점안하는 계면활성제 또는 점성조절제가 주성분인 인공눈물을 대상으로 눈물막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눈물막 안정성 평가는 건성안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사용 되며, 많은 연구에서 눈물막 안정성 평가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인 NIBUT 측정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점안액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공눈물의 눈물막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인공눈물에는 눈물막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점성조절제와 계면활성제 이외에도 다른 효과 및 작용을 위해 포함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택트렌즈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콘택트렌즈는 각막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관리를 조금만 소홀히 해도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안과에 내원한 콘택트렌즈 합병증 환자들의 주요 질환은 각막미란, 비감염성 각막침윤, 알러지 질환, 결막 충혈, 감염성 각막궤양, 안구건조증이라고 보고된 바 있다.
콘택트렌즈 합병증의 주요 질환은? 콘택트렌즈는 각막에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관리를 조금만 소홀히 해도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안과에 내원한 콘택트렌즈 합병증 환자들의 주요 질환은 각막미란, 비감염성 각막침윤, 알러지 질환, 결막 충혈, 감염성 각막궤양, 안구건조증이라고 보고된 바 있다.[1] 또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콘택트렌즈 착용자 중 54.
안구건조증에도 불구하고 계속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 생기는 문제점은? [3,4] 안구건조증은 또한 안구표면에 상처와 염증을 동반하면서 건조증이 더욱 심화되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기계적인 마찰에 의해 각막미란이나 각막염의 발생률이 더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콘택트렌즈의 착용에 있어 안구건조증은 지속적인 관심과 치료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JH, Song JS, Hyon JY, Chung SK, Kim TJ. A survey of contact lens-related complications in Korea: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20-31. 

  2. Kim TH, Min GR, Sung AY. Study on the contact lenses wear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5;10(2):151-157. 

  3. Kim JS, Cho KJ, Song JS. Influences of computer works on blink rate and ocular dryness in adolesc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07;48(11):1466-1472. 

  4. Kim DJ, Cha JW, Park MC, Lee WJ.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variation on the dry eye for using smart phone. J Korean Vis Sci. 2014;16(3):397-407. 

  5. Kim WJ, Kim HS, Kim MS. Current trends in the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dry eye: A survey of ophthalmologists. J Korean Ophthalmol Soc. 2007;48(12):1614-1622. 

  6. Calonge M. The treatment of dry eye. Surv Ophthalmol. 2001;45(2):S227-S239. 

  7. Kim EC, Joo CK. Efficacy of vitamin A-containing lubricant in dry eye syndrome evaluated by impression cytology.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11):1729-1736. 

  8. Kim EC, Choi JS, Joo CK. A comparison of vitamin A and cyclosporine A 0.05% eye drops for treatment of dry eye syndrome. Am J Ophthalmol. 2009;147(2):206-213. 

  9. Jang SR, Yun IS, Lim HS, Kook KH. Comparison of wettability for ocular prosthesis depending on different kinds of artificial tear eye drops.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2):1745-1751. 

  10. Murube J, Paterson A, Murube E. Classification of Artificial Tears: I: Composition and Properties. Adv Exp Med Biol. 1998;438:693-704. 

  11. Lee SE, Kim SR, Park M. Oxygen permeability of soft contact lenses in different pH, osmolality and buffering solution. Int J Ophthalmol. 2015;8(5):1037-1042. 

  12.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Drug Information. Eyedew ophthalmic solution. http://www.health.kr/drug_info/basedrug/show_detail.asp?idx42409(7 May 2016). 

  13. Lee SH, Hyung SM, Koh SH, Park M, Kim SR. The effect of circle contact lens on the stability of tear film.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2):125-131. 

  14. Park M, Kang SY, Chang JI, Han AR, Kim SR. changes in subjective discomfort, blinking rate, lens centration and the light transmittance of lens induced by exceeding use of daily disposable circle contact lenses in dry ey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2):153-162. 

  15. Kim SR, Park SH, Joo SO, Lee HR, Park M. A comparison of the movements of circle contact lens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on corne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1):27-35. 

  16. Subbaraman LN, Glasier MA, Varikooty J, Srinivasan S, Jones L. Protein deposition and symptoms with daily wear etafilcon lenses. Optom Vis Sci. 2012;89(10):1450-1459. 

  17. Lee BJ, Hong JH, Jung D, Park M. A study on the confidence of dry eye diagnosis method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8;13(1):15-20. 

  18. Schnetler R, Gillan WDH, Koorsen G. Immunological and antimicrobial molecules in human tears: a review and preliminary report. S Afr Optom. 2012;71(3):123-132. 

  19. Nicolaides N, Kaitaranta JK, Rawdah TN, Macy JI, Boswell FM 3rd, Smith RE. Meibomian gland studies:comparison of steer and human lipid.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1;20(4):522-536. 

  20. Bron AJ, Tiffany JM, Gouveia SM, Yokoi N, Voon LW. Functional aspects of the tear film lipid layer. Exp Eye Res. 2004;78(3):347-360. 

  21. Goto E, Endo K, Suzuki A, Fujikura Y, Matsumoto Y, Tsubota K. Tear evaporation dynamics in normal subjects and subjects with obstructive meibomian gland dysfunc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3;44(2):533-539. 

  22. Gilbard JP, Farris RL. Tear osmolarity and ocular surface disease in keratoconjunctivitis sicca. Arch Ophthalmol. 1979;97(9):1642-1646. 

  23. Pflugfelder SC. Management and therapy of dry eye disease: report of the management and therapy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dry eye workshop. Ocul Surf. 2007;5(2):163-178. 

  24. Kim SR, Kang BH, Jung IP, Park M. The change in the parameters of silicone hydrogel lens and objective/subjective symptoms induced by repetitive dryness of len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4):381-388. 

  25. Park M, Lee YN, Kang KE, Lee MH. Changes of lens morphology and TBUT by dehydration of soft contact len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8;13(2):1-7. 

  26. Park M, Yang JH, Kim SM, Park SI, Park SH, Kim SR. Changes in centration of contact lenses on cornea and blink rate associated with overusage of disposable lens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8;13(4):5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