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을 활용한 휠체어 트레드밀과 암에르고미터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심폐기능, 운동자각도 및 젖산농도 비교
A Comparison of Cardiopulmonary Function, RPE, and Blood Lactate following in Wheelchair Treadmill and Arm Ergometer GXT Test through Converg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9, 2016년, pp.553 - 561  

장홍영 (성결대학교 체육교육과) ,  김종혁 (중원대학교 뷰티헬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장애인 휠체어 농구 선수 11명을 대상으로 휠체어트레드밀과 암 에르고미터의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심폐기능, 운동자각도젖산 농도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휠체어트레드밀과 암 에르고미터의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호흡가스분석기와 무선 심박수 측정기를 사용하여 심폐기능을 알아보았으며, 보그 스케일을 이용하여 운동자각도를 측정하였고, 젖산 분석기를 사용하여 안정 시, 운동직후, 회복기 2분, 4분, 6분, 10분의 혈중 젖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하여 종속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폐기능 변인 중 최대산소섭취량은 암 에르고미터가 높게 나타났으며, 호흡교환율은 휠체어트레드밀이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심박수는 휠체어트레드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운동 강도에서는 종료 점에서 암 에르고미터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혈중 젖산 농도는 운동 직후 암 에르고미터에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ardiopulmonary function, RPE(Rating of perceived exertion), and blood lactate when examining the GXT(Graded exercise testing) of wheelchair treadmill and arm ergometer. Participants were 11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with non disability. While examin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있어 두 측정기기 간에 심폐적성 능력 및 젖산농도, 운동자각도(Rating of Perceived Exertion, 이하 RPE)를 측정·분석함으로써 운동 형태 간의 심폐기능과 젖산농도 및 RPE의 요인별 차이를 규명하고, 차이정도를 제시해줌으로써 WT과 AE의 GXT(graded exercise testing)시에 생리적 특성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WT와 AE 운동 중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를 분석해 봄으로써 운동 형태별 장단점을 파악함에 따라 지체장애인들의 운동 중 안정성, 운동 적성 능력 및 향상 등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피험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워 좀 더 명확한 실험 결과를 도출해내기 위해서는 일반화할 수 있는 적정의 피험자 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져야 하며, 트레이닝의 특수성의 원리에 맞게 각각의 피험자들에게 적절한 측정을 실시하기 위해 WT와 AE의 비교가 가능한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휠체어 농구 선수의 WT과 AE의 GXT 측정 시 심폐기능과 RPE 및 혈중 젖산농도를 비교하여 WT과 AE의 생리적인 반응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휠체어 농구선수의 WT와 AE 운동 간의 심폐기능 및 RPE와 혈중 젖산농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심폐기능의 지표로는 최대 산소섭취량, 호흡교환율, 그리고 최대심박수로 국한하여 측정·분석하였고 RPE와 혈중 젖산농도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에르고미터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휠체어 의존자들의 심폐기능 측정은 신체적 장애 특성으로 인하여 주로 암 에르고미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암 에르고미터는 인간의 신경이 비동시적 사지 운동을 선호하고[10], 상지의 굴곡과 신전근 모두가 힘 발생에 이용될 수 있는데[11], 이러한 점에서 다른 운동 부하 방식에 비해 기계적인 효율성이 높게 나타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2].
휠체어 농구선수의 WT와 AE 운동 간의 심폐기능 및 RPE와 혈중 젖산농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최대 산소섭취량은 WT와 AE 간의 유의수준이 .03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WT가 AE 보다 최대 산소섭취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호흡교환율은 WT와 AE 간의 유의수준이 .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WT가 AE 보다 호흡교환율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셋째, 최대심박수는 WT와 AE 간의 유의수준이 .41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WT가 AE 보다 최대심박수가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RPE는 WT와 AE에서 시작점에서는 .311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종료 점에서는 .031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이 종료된 후 주관적 운동 강도가 AE에서 WT 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혈중 젖산 농도는 WT와 AE에서 안정 시, 운동직후, 회복기 2분, 4분, 6분, 10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운동직후 AE가 WT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지체장애인들의 심폐능력은 다른 사람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보건복지가족부[1]에 따르면 지체장애인이 1,191,013명으로 계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지체장애는 다른 장애영역에 비하여 가장 높은 출현 율을 보이고 있다[2]. 이러한 지체장애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휠체어를 사용하고 활동근의 감소로 심혈관계와 심폐기능 및 대사 능력이 현저하게 감소되며[3,4], 일상생활을 거의 팔이나 어깨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리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비해 심폐능력과 에너지 효율이 낮다. 이는 상체의 적은 근육량을사용함으로써상지 근골격계의 조기피로를 유발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Disabilities Investigation,"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olicy reports, pp. 2009-2016, 2008. 

  2.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A study on the work satisfaction of disabled workers," Seongnam: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Policy Development, 2009. 

  3. G. Y.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ization Factors and Participation in Mass Sports of the Physically Handicapped,"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8. No. 1, pp. 317-334, 1997. 

  4. Rimmer, J. H., Braddock, D., & Pitetti, K. H. "Research on physical activity and disability: An Emerging national priority,"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0, pp. 506-592, 1996. 

  5. Van der Woude, L. H., van Croonenborg, J. J., Wolff, I., Dallmeijer, A. J., and Hollander, A. P, "Physical work capacity after 7 weeks of wheelchair training effect of intensity in able-bodied subjects," Medicine and Science Sports and Exercise, Vol. 31, No. 2, pp. 331-341, 1999. 

  6. Pandolf, K. B., Billings, D. S., Drolet, L. L., Pimental, N. A., Sawka, M. N, "Differentiated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and various physiological responses during prolonged upper and lower body exercise,"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53, pp. 5-11, 1984. 

  7. Robertson, R., Caspersen, C., Allison, T. G., & Mets, K, "Differentiated perceptions of exertion and energy cost of young and women while carrying load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44, pp. 69-78, 1982. 

  8. G. D. Kim, G. Y. Kim, E. J. Kim, "Effects of Low and Moderate Intensity Treadmill Exercise on Functional Recovery and Histological Changes After Spinal Cord Injury in the Rats," Physical Therapy Korea, Vol 16, No. 2, pp. 41-49, 2009. 

  9. S. G. Choi, "The Effects of Wheelchair Basketball Training on Hormones and Lipoproteins in Spinal Cord Injured Men,"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33. No. 3, pp. 310-322, 1994. 

  10. Glaser, R. M., Foley, D. M., Sawka, M. N., Brune, M. F. & Wilde, S. W, "Physiological responses to maximal effort on wheelchair and on armcrank ergometery,"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48, No. 6, pp. 1060-1064, 1980. 

  11. Glaser, R. M., Foley, D. M., Laubach, L. L., Sawka, M. N. & Suryaprasad, A. G, "An exercise test to evaluate fitness for wheelchair activity," Paraplegia, Vol. 16, No. 4, pp. 341-349, 1979. 

  12. Martel, G., Noreau, L. & Jobin, J, "Physiological responses to maximal exercise in arm cranking and wheelchair," Paraplegia, Vol. 29, No. 7, pp. 447-456, 1991. 

  13. Whiting, T.B., Dreisinger, T.E. & Hayden, C.R, "Wheelchair exercise testing: comparison of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exercise," Paraplegia, Vol. 22, No. 2, pp. 92-98, 1984. 

  14. Wicks. J. R., Sutton, J. R., Oldridge, N. B. & Jones, N. L, "Comparison of the electrocardiographic changes induced by maximum exercise testing with treadmill and cycle ergometer," Circulation, Vol. 57, No. 6, pp. 1066-1070, 1978. 

  15. K. J. Kim, "Analysis of the Detailed Physiological Capacity with the Graded Maximal Testing in Athletes,"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17. No. 1, pp. 115-123, 1999. 

  16. Veeger, H.E.J., Yahned, L. H. & Rozendal, R.H, "Within-cycle characteristics of the wheelchair push in sprinting on a wheelchair ergometer,"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23, No, 10, pp. 1201-1209, 1991. 

  17. Gayle, G. W., Pohlman, R. L., Glaser, R. M. & Davis, G. M, "Cardiorespiratory and perceptual responses to arm crank and wheelchair exercise using various handrims in male paraplegics," Research Quarterly Exercise Sport, Vol. 61, No. 3, pp. 224-232, 1990. 

  18.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8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ams & Wilkins, 2009. 

  19. Pollock, M. L., Wilmore, J. H., Fox, S. M, "Exercise in Health and Disease: Evaluation and Prescription fo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2nd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1990. 

  20. Myers, J., Buchanan, N., Walsh, D, "Comparison of the ramp versus standard exercise protocol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 17, No. 6, pp. 42-134, 1991. 

  21. Hambrecht, B. P., Schuler, G. C., Muth, T, "Greater diagnostic sensitivity of treadmill versus cycle exercise testing of asymptomatic men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Vol. 70, pp. 141-146, 1992. 

  22. Franklin, B. A, "Exercise testing, training and arm ergometry," Sports Medicine, Vol. 2, No. 2, pp. 100-119, 1985. 

  23. Jonathan, K. E., Paul, M. G., Paul, S. V., Steven, J. K, "Clinical exercise physiology (2nd ed.). Champaign," Illinois: Human Kinetics Books, 2009. 

  24. MacDougall, J. D., Wenger, H. A., Green, H. J, "Physiological testing of the Elite athlete," Canadian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 Vol. 9, pp. 209-213, 1992. 

  25. Shephard, R. J, "Fitness in special populations," Champaign, Illinois: Human Kinetics Books, 1990. 

  26. Dallmeijer, A. J., Zentgraaff, I. D., Zijp, N. I., van der Woude, L. H, "Submaximal physical strain and peak performance in handcycling versus handrim wheelchair propulsion," Spinal Cord, Vol. 42, No. 2, pp. 91-98, 2004. 

  27. Glaser, R. M, "Arm exercise training for wheelchair user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Vol. 21, No. 5, pp. 149-155, 1989. 

  28. Hartung, G. H., Lally, D. A., Blancq, R. J, "Comparison of treadmill exercise testing protocols for wheelchair users,"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66, No. 4, pp. 362-365, 1993. 

  29. Martel, G., Noreau, L. & Jobin, J, "Physiological responses to maximal exercise in arm cranking and wheelchair," Paraplegia, Vol. 29, No. 7, pp. 447-456, 1991. 

  30. Keun-Ok An, "Respiratory Exchange Ratio, Concentration of Blood Lactate and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as Criterion for Verification of Maximal Exercis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2002. 

  31. Gass, E. M., Harvey, L. A., Gass, G. C, "Maximal physiological responses during arm cranking and treadmill wheelchair propulsion in t4-t6 paraplegic men. Paraplegia, Vol. 33, No. 5, pp. 267-270, 1995. 

  32. Sang-Woo Hwang,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Treadmill and Cycle Ergometer in Cardiorespiratory Capacity,"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2008. 

  33. M. Y. Kim,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during Exercise Stress Test,"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Vol. 16. No. 1, pp. 107-112, 1998. 

  34. Fitch, S., and McComas, A, "Influence of human muscle length on fatigu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362, pp. 205-213, 1985. 

  35. Sawka, M. N., Foley, M. E., Pimental, N. A., Toner, M. M., Pandolf, K. B, "Determination of maximal aerobic power during upper-body exercis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Environmental Exercise Physiology, Vol. 54, No. 1, pp. 113-117, 1983. 

  36. Y. S. Chung, C. H. Shin, "Responses to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Upper Body Muscle fatigue during Maximal Arm Ergometer Exercise in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0. No. 1, pp. 409-419, 2001. 

  37. S. G. Back, "Effects of Using Prop for Convergence Pilates Met Exercise on the Immunoglobulin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329-336, 2015. 

  38. H. K. Lee, E. H Shin, Y. K. Kim,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the Stages of Change of Exercis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187-197,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