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 및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ral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9, 2016년, pp.1265 - 1272  

박경란 (장안대학교 호텔조리과) ,  강성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민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희경 (장안대학교 건강과학부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구강질환 세균에 대한 죽엽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죽엽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76.26%, 조회분 10.61%, 조단백질 5.10%, 수분 6.30%, 조지방 1.73%였고, 비타민 A 및 E의 함량에 비하여 비타민 C 함량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formic acid 순으로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1.66 mg/g, 42.78 mg/g으로 나타났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 죽엽 추출물 0.04% 이상에서, Streptococcus sobrinus에 대해서는 0.16% 이상에서, Porphyromonas gingivali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해서는 0.02% 이상에서 강한 항균 활성이 인정되었다. S. mutans, S. sobrinus, P. gingivalis, P. intermedia는 죽엽추출물 0.32% 농도에서 각각 60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죽엽 에탄올 추출물이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죽엽이 구강질환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anti-oral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leaves.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were 6.30%, 5.10%, 1.73%, 10.61%, and 76.26%, respective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죽엽(P. nigra var. henonis Stapf)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성분을 분석하고 충치균의 일종인 S. mutans, S. sobrinus와 구취균의 일종인 P. gingivalis, P. intermedia에 대한 항균성을 측정하여 향후 항충치 및 구취 예방 효과를 지닌 죽엽 차 제품의 제조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죽엽(솜대)의 항산화 성분을 조사하고 구강질환 세균에 대한 죽엽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죽엽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76.

가설 설정

  • 1)Total phenolic content was expressed as mg tannic acid equivalent/g.
  • 1)Values represent an average of three determinations.
  • 2)Means with different letters in a column differ significantly(P<0.05).
  • 2)Total flavonoid content was expressed as mg rutin hydrate equivalent/g.
  • 3)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세균들을 억제하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할 때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세균들을 억제하기 위해서 화학제재를 사용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항생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항생제는 인체에 위해작용이 있고 내성균을 만들 수 있으며, 균교대증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15). 최근에는 구강 상주균을 건강하게 유지한 채로 병원균만을 억제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천연 추출물의 활용이 추천되고 있다(16).
예로부터 죽엽은 주로 어떻게 이용되어 왔는가? 대나무는 벼과의 상록 교목으로 아열대, 열대 및 온대 지방까지 널리 퍼져 있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있는 대나무는 왕대속(Phyllostachys), 조릿대속(Sasa) 및 해장죽속(Arundinaria) 등으로 분류된다. 예로부터 대나무는 죽재로 주로 이용되었으며 죽엽은 고혈압, 발한, 중풍 등의 치료를 위한 민간약으로 주로 이용되어 왔다(3). 일반가정에서는 김치를 담근 후 대나무 잎으로 덮거나 동치미의 경우 죽엽을 띄워서 보관기관을 연장하는 데 사용하기도 하였다(4).
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있는 대나무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대나무는 벼과의 상록 교목으로 아열대, 열대 및 온대 지방까지 널리 퍼져 있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 자라고 있는 대나무는 왕대속(Phyllostachys), 조릿대속(Sasa) 및 해장죽속(Arundinaria) 등으로 분류된다. 예로부터 대나무는 죽재로 주로 이용되었으며 죽엽은 고혈압, 발한, 중풍 등의 치료를 위한 민간약으로 주로 이용되어 왔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ae JH, Kim KJ, Kim SM, Lee WJ, Lee SJ. 2000.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beverage containing the Prunus mum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13-719. 

  2. Choi W, Choi JY, Yon HS. 2013. A study on purchasing characteristics on health functional beverage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J Hotel & Resort 12: 179-196. 

  3. Natural Product Research Institute. 2003. Encyclopedia of orient medical science. Dowon Press, Seoul, Korea. p 379. 

  4. Kim MJ, Byun MW, Jang MS. 1996. Physiological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bamboo (Sara corean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5: 135-142. 

  5. Kim NK, Cho SH, Lee SD, Ryu JS, Shim KH. 2001. Function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Phyllostachys sp.) extracts. J Korean Postharvest Sci Technol 8: 475-480. 

  6. Kim MJ, Kim BK, Jang MS. 1996. Effect of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on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J Food Sci Nutr 1: 159-167. 

  7. Chung DK, Yu R. 1995.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leaves extract on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035-1038. 

  8. Jung LH. 2007. Anticancer and immune modulation effects of Korean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sis. PhD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9. Lee MJ, Kim EY, Jeong KO, Park KY, Moon GS. 2004.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and inhibitory effect of hepatic toxicity of bamboo extracts coat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79-1258. 

  10. Hwang SJ. 2011. Physical properties of dough with bamboo leaf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8: 517-526. 

  11. Lee SY, Kim JG, Baik BJ, Yang KM, Lee KY, Lee YH, Kim MA. 2009. Antimicrobial effect of essential oils on oral bacteria. J Korean Acad Pediatr Dent 35: 1-11. 

  12. Lee KY, Cho HS, Yoon JW, Hea TR. 1993.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agent of dental caries from biological active materials: I. Development of disc PAHA for an artificial tooth and preventive effect on dental caries from plant extrac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81: 126-132. 

  13. Kwon HJ, Park JW, Yoon MS, Chung SK, Han MD.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halitosis in Korean patients. J Korean Acad Dent Health 32: 231-242. 

  14. Lopez NJ. 2000. Occurrence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Prevotella intermedia in progressive adult periodontitis. J Periodontol 71: 948-954. 

  15. Chae GC, Auh QS, Chun YH, Hong JP. 2009.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a capillaris Thunb on oral bacteria. Korean J Oral Med 34: 169-177. 

  16. Lis-Balchin M. 1977. Essential oils and 'aromatherapy': their modern role in healing. J R Soc Health 117: 324-329. 

  17. Ju IO, Jung GT, Ryu J, Choi JS, Choi YG. 2005.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Starf)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42-548. 

  18. Baek JW, Chung SH, Moon GS. 200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bamboo culms and leaves. J Korean Food Sci Technol 34: 1073-1078. 

  19.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7th ed. Association of Analytical Communities, Gaithersburg, MD, USA. p 1-26. 

  20. Jung BM, Kang EA, Shin TS. 2009. Food components by kinds of Bigum spinach growing in Jeonnam Shin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97-1405. 

  21. Kim DO, Jeong SW, Lee CY. 2003.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phytochemicals from various cultivars of plums. Food Chem 81: 321-326. 

  2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Method 976.16. 

  23.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 phomolybdic comp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24. Chae SK, Kang GS, Ma SJ, Bang KW, Oh MW, Oh S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 381-382. 

  25. Takarada K, Kimizuka R, Takahashi N, Honma K, Okuda K, Kato T. 2004. A comparison of the antibacterial efficacies of essential oils against oral pathogens. Oral Microbiol Immunol 19: 61-64. 

  26. SAS Institute. 2009.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9.3.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7. Kang CO. 2002. Effect of the addition of powdered-bamboo leaves on the quality and preservations of breads.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8th Food Composition Tabl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Suwon, Korea. p 433-434. 

  29. Jackson MJ, Edwards RH, Symons MC. 1985. Electron spin resonance studies of intact mammalian skeletal muscle. Biochim Biophys Acta 847: 185-190. 

  30. Kim NK, Cho SH, Lee SD, Ryu JS, Shim KH. 2001. Chemical proper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bamboos (Phyllostachys sp.). J Korean Postharvest Sci Technol 8: 469-474. 

  31. Pollak RK, Zayas JF, Kastner CL, Fung DYC. 1995. Reduction of Listeria monocytogens,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during storage on beef sanitized with fumaric, acetic, and lactic acids. J Food Saf 15: 283-290. 

  32. Fernandes CF, Flick GJ, Cohen J, Thomas TB. 1998. Role of organic acids during processing to improve quality of channel catfish fillets. J Food Prot 61: 495-498. 

  33. Chuyen NV, Kurata T, Kato H, Fujimaki M. 1982. Antimicrobial activity of Kumazasa (Sasa albo-marginata). Agric Biol Chem 46: 971-978. 

  34. Chung KC, Goepfert JM. 1970. Growth of Salmonella at low pH. J Food Sci 35: 326-328. 

  35. Osawa T. 1994. Novel natural antioxidants for utilization in food and biological systems. In Post Harvest Biochemistry of Plant-Food Materials in the Tropics. Japan Scientific Societies Press, Tokyo, Japan. p 241-251. 

  36.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 Park IB, Kim SW, Kang SG, Park YK, Jung ST.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Preserv 11: 207-213. 

  37. Hertog MGL, Hollman PCH, Katan MB. 1992.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of 28 vegetables and 9 fruits commonly consumed in the Netherlands. J Agric Food Chem 41: 1242-1246. 

  38. Rice-Evans CA, Miller NJ, Bolwell PG, Bramley PM, Pridham JB. 1995. The relative antioxidant activities of plantderived polyphenolic flavonoids. Free Radic Res 22: 375-383. 

  39. Tabanca N, Kirimer N, Demirci B, Demirci F, Baser KH. 2001.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of Micromeria cristata subsp. phrygia and the enantiomeric distribution of borneol. J Agric Food Chem 49: 4300-4303. 

  40. Song JH, Kwon HD, Lee WK, Park IH. 1998. Antimicrobial activity and composition of extract from Smilax china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574-584. 

  41. Clark AM, El-Feraly FS, Li WS. 1981.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 constituents of Magnolia grandiflora L.. J Pharm Sci 70: 951-952. 

  42. Kang SJ, Han YS. 2012. Studies on the anti oralmicrobial activity and selected functional component of small red bean extract. Korean J Food Cook Sci 28: 41-49. 

  43. Jung DW, Park SI. 2005.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growth inhibition of oral bacteria in yoghur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500-506. 

  44. Young KM, Foegeding PM. 1993. Acetic, lactic and citric acids and pH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and the effect on intracellular pH. J Appl Bacteriol 74: 515-5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