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 추출물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구취억제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oral Malodor Efficacy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against Oral Pathogen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3 = no.155, 2013년, pp.443 - 447  

허남숙 (마산대학교 치위생학과) ,  최혜정 (창원대학교 생명공학협동과정) ,  황수미 (마산대학교 임상병리과) ,  최영환 (부산대학교 원예생명자원학과) ,  이영근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주우홍 (창원대학교 생명공학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미자 추출물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구취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오미자 MeOH 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eOH 추출물의 EA 분획물은 Streptococcus mutans, S. sanguinis, S. salivaris subsp. thermophols 그리고 Porphyromons gingivalis에 대한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미자 2% MeOH 추출물의 항구취 효과를 oral chroma를 이용한 실제실험에서 측정한 결과,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그리고 황화디메틸을 각각 91.15, 78.72 그리고 71.58% 감소시키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오미자 추출물은 몇몇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휘발성 화합물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오미자의 추출물은 항균용 합성약품과 구강위생용품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nd anti-oral malodor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against oral pathogens. S. chinensis methanol (MeOH) extract showed better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oral pathogens than the S. chinensis hot water extract did. In particu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미자의 항균효능은 많은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으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효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보고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구강 내 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항구취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양치액용 항균물질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현재 구취제거 방법은 주로 치실질, 칫솔질, 혀솔질, 껌씹기 그리고 항균물질을 첨가한 구강 양치액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강양치액용 항균물질로는 chlorhexidine, triclosan 및 cetylpyridinium chloride (CPC) 등의 합성물질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시 정상 균총에 영향을 미치며 항균물질에 대한 내성균이 출현하는 등 인체의 안정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13].
세균에 의해 발생되는 구취의 주요 성분은? 세균에 의해 발생되는 구취의 주요 성분은 hydrogen sulfide, methyl mercaptan, dimethylsulfide와 같은 휘발성 황화합물(volatile sulfur compounds, VSCs)이며, 그 외에도 pu-trescine, cadaverine, short-chain fatty acids, butyric acid, propionic acid와 같은 아민류, indole, skatole, pyridine과 같은 페닐화합물이 알려져 있다[7].
MeOH 오미자 추출물과 열수 오미자 추출물 중 구강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더 뛰어난 것은? 본 연구는 오미자 추출물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구취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오미자 MeOH 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eOH 추출물의 EA 분획물은 Streptococcus mutans,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ang, H. S. and Choi, Il. 201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61-269. 

  2. Chen, N., Chiu, P. Y. and Ko, K. M. 2008. Schisandrin B enhances cerebral mitochondrial antioxidant status and structural integrity, and protects against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rats. Biol Pharm Bull 31, 1387-1391. 

  3. Choi, H. D., Koh, Y. J., Choi, I, W., Kim, Y. S. and Park, Y. K. 2007. Anticariogenic activity and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pine needle and tw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36-341. 

  4. Choi, H. J., Heo, N. S., Choi, Y. W., Lee, Y. G., Jeong, Y. K. and Joo, W. H. 2012. Antimicrobial and anti-halitosis effects of Alnus firma extracts. J Life Sci 22, 1071-1076. 

  5. Choi, Y. H., Takamatsu, S., Khan, S. I., Srinivas, P. V., Ferreira, D., Zhao, J. and Khan, I. A. 2006. Schisandrene, a dibenzocyclooctadiene lignan from Schisandra chinensis: structure- 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dibenzocyclooctadiene lignans. J Nat Prod 69, 356-359. 

  6. Eom, G. H. and Kim, J. S. 2007. Deodorizing effect of Cheonggugamrosu. Korean J Orient Int Med 28, 354-362. 

  7. Goldberg, S., Kozlovsky, A., Gordon, D., Gelernter, I., Sintov, A. and Rosenberg, M. 1994. Cadaverine as a putative component of oral malodor. J Dent Res 73, 1168-1172. 

  8. Hung, T. M., Na, M. K., Min, B. S., Ngoc, T. M., Lee, I. S., Zhang, X. F. and Bae, K. H. 2007.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effect of lignans isolated from Schizandra chinensis. Arch Pharm Res 30, 685-690. 

  9. Kim, B. I., Kim, S. N., Chang, S. Y., Moon, J. T., Kim, Y. S., Hwang, J. K., Jeong, S. H., Kim, M. Y., Kim, H. S. and Kwon, H. K. 2005. A highly selective antibacterial effect of Curcuma xanthorrhiza extract against oral pathogens and clinical effectiveness of a dentifrice containing Curcuma xanthorrhiza extract for controlling bad breath. J Korean Acad Dnet Health 29, 222-237. 

  10. Kim, H. D. 2011. Deodorizing Effects and Improvements of Oral Hygiene Status by Dentifrice Containing Ginger Extracts. Ph. D. dissertaion, Inje University, Gimhae, Korea. 

  11. Kim, S. J., Park, I. B., Kang, S. G., Chung, D. O. and Jung, S. T. 2005. Anticariogenic activity and glucosyltransferase inhibition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Culture 20, 603-607. 

  12. McBain, A. J., Bartolo, R. G., Catrenich, C. E., Charbonneau, D., Ledder, R. G. and Gilbert, P. 2003. Exposure of sink drain microcosms to triclosan: population dynamic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ppl Envioron Microbiol 69, 5433-5442. 

  13. Morita, M. and Wang, H. L. 2001. Relationship of sulcular sulfide level and oral malodor in subjects with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72, 79-84. 

  14. Murray, P. R., Baron, E. J., Pfaller, M. A., Tenover, F. C. and Yolke, R. H. 1999.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pp. 1527-1539, 7th eds., ASM, Washington DC. 

  15. Quirynen, M., Zhao, H. and van Steenberghe, D. 2002. Review of the treatment strategies for oral malodour. Clin Oral Investig 6, 1-10. 

  16. Sanbe, T., Tomofuji, T., Ekuni, D., Azuma, T., Tamaki, N. and Yamamoto, T. 2007. Oral administration of vitamin C prevents alveolar bone resorption induced by high dietary cholesterol in rats. J Periodontol 78, 2165-2170. 

  17. Singleton, V. L. and Rossi, J. 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ibdic-phosphotung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8. Woisky, R. G. and Salatino, A. 1998. Analysis of propolis: some parameters and procedures for chemical quality control. J Apic Res 37, 99-105. 

  19. Yim, S. Y., Lee, Y. J., Lee, Y. K., Jung, S. E., Kim, J. H., Kim, J. E., Kim, H. J., Son, B. G., Park, Y. H., Lee, Y. G., Choi, Y. W. and Hwang, D. Y. 2009. Gomisin N isolated from Schisandra chinensis significantly induces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effects in hepatic carcinoma. Mol Med Report 2, 725-7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