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활동적 생활환경 조성을 통한 신체활동증진
Physical activity promotion through active living environmen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3 no.4, 2016년, pp.55 - 65  

고광욱 (고신대학교 예방의학) ,  김혜숙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이명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  강민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  김건엽 (경북대학교 예방의학) ,  김은정 (계명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김현준 (경남대학교 체육교육학과) ,  이부옥 (희연병원) ,  고성현 (고신대학교 예방의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Members of Korean Healthy Cities Partnership(KHCP)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06 and adopted Active Living Environments(ALE) as common theme in 2015. Academic definition and categorization, needs assessment and operational planning for making active living environments were requir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에 소속된 회원 도시를 중심으로 활동적인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신체활동 증진방법에 대한 부분을 살펴 봄으로써 현재 건강도시에 가입된 회원 도시들의 현황과 앞으로 요구되어지는 부분들에 대한 부분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 된다. 향후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차원으로만 이루어지는 활동적인 생활환경 조성이 아닌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적인 생활환경 조성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방법과 합리적인 운영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본 연구는 활동적 생활환경의 개념과 정의, 현황과 전략, 지표와 운영방안 그리고 교육과 기술지원 방안 등을 수립하여 신체활동증진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자료는 문헌연구와 다학제간 연구진 회의를 통해 개념과 정의를 결정하였다.
  • 그리하여 이에 대한 운영 방안을 계획하고, 공동정책에 대한 교육 및 기술을 지원하며, 협의회 사무국과 회원도시의 환류를 통해 향후 공동 정책의 운영 및 발전을 모색하고 공동정책의 배경과 목적 및 당위성을 명시하여 연차적으로 공동정책 추진을 희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활동적 생활환경의 개념과 정의, 현황과 전략, 지표와 운영방안 그리고 교육과 기술지원 방안 등을 수립함으로써 신체활동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활동이란 무엇인가? 신체활동은 골격근의 에너지 소모를 통한 신체의 모든 움직임을 말하며, 신체활동부족은 전 세계적 사망의 주요한 위험요소이며 흡연, 음주, 과체중과 비만, 대기오염에 이어 5번째 기여도를 보이는 한국인의 건강결정요인이다 (Jeong, 2003), 그러나 2013년 제정된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준수율은 유산소 신체활동 30.6%로 감소하는 추세이며, 근력운동 지침 준수율은 22.
미국에서는 신체활동증진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는가? 국내와 달리 외국에서는 신체활동증진을 위한 환경조성을 포함하여 종합적인 기획을 하여오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모든 미국인이 규칙적 신체활동을 지원하고 격려하는 환경에서 살고 일하고 놀려는 비전하에 신체 활동적 생활습관을 지원하는 국가적 분위기조성을 목적으로 다분야간 국가신체활동연맹을 결성하여 2010년부터 사회 생태적 모형에 따른 효과적 근거에 기초한 국가신체활동계획을 참여적 과정을 통해 작성하여 실행하고 있다(National physical activity plan, 2016). 호주심장재단의 신체 활동적 호주를 위한 청사진에서는 신체활동, 교통, 기획과 보건 분야의 선구자들이 13가지 활동영역에 걸쳐 정부와 지역사회의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National Heart Foundation of Australia, 2014).
한국인의 건강결정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신체활동은 골격근의 에너지 소모를 통한 신체의 모든 움직임을 말하며, 신체활동부족은 전 세계적 사망의 주요한 위험요소이며 흡연, 음주, 과체중과 비만, 대기오염에 이어 5번째 기여도를 보이는 한국인의 건강결정요인이다 (Jeong, 2003), 그러나 2013년 제정된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준수율은 유산소 신체활동 30.6%로 감소하는 추세이며, 근력운동 지침 준수율은 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ull, F. C., Milton, K., & Kahlmeier S. (2011). Health-enhancing physical activity (HEPA) policy audit tool.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 Caspersen C. J., Powell K. E., & Christensen G. M. (1985). Physical activity,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for health-related research. Public Health Reports 100, 126-131.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9).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 Guide for Community Action 1st Edition. Atlant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Strategies to Prevent Obesity and Other Chronic Diseases. The CDC Guide to Strategies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the Community. Atlant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5. Department of Health, Physical Activity, Health Improvement and Prevention. (2004). At least five a week Evidence on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ionship to health. London: A report from the Chief Medical Officer. 

  6. Edwards P., & Tsouros A. D., (2008). A healthy city is an activie city a physical activity planning guide.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7. Jeong, Y. H., (2006). Health determinants analysis of Korean. Seoul;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8. Kim, S. Y. (2014). Adults physical activity in Korea. Public Health Weekly, 7(5), 103-104. 

  9. Kim, T. H., Kim, E. J., & Chun, H. S. (2014). Directions of Establishing a Guideline for Healthy Cities. Korea Planners Association, 49(6), 127-143. 

  10. Koh K. W. (2010).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s and guidelines based on a new paradigm. J Korean Med Assoc, 53(12), 1139-1146. 

  11. Kohl. H. W., & Murrar. T. D. (2012). Foundations of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Dallas: Human Kinetics. 

  12. Korean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6). Healthy city symposium proceeding, Seoul:Korean Health Promotion Foundation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 Fourth national health promotion plan 2016-2010.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The Physical Activity Guide for Korean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guide[physical activit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6.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of Japan. (2006).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guide for fealth promotion. Tokyo :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of Japan. 

  17. National Heart Foundation of Australia. (2014). Blueprint for an active Australia. 2nd edn. Melbourne: National Heart Foundation of Australia. Retrieved from http://www.thecommunityguide.org/pa/index.html . 

  18. Schoeppe S., Bauman A., & Bull F. (2004). International review of national physical activity policy. Sydney: New South Wales Center for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19. The community guide what works to promote health. (2016).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20. WHO WPRO. (2015). Health cities-good health is good policies: Toolkit for local governments to support healthy urban development. 

  21.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5). Report of the inter-agency meeting on advocacy strategies for health and development: Development communication in action. Geneva, Switzerland. WH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