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털다닥냉이(십자화과)와 들괭이밥(괭이밥과)
Two unrecorded alien plants of South Korea: Lepidium pinnatifidum Ledeb. (Brassicaceae) and Oxalis dillenii Jacq. (Oxalidaceae)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6 no.3, 2016년, pp.331 - 335  

홍정기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다양성연구실) ,  김종환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최지은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진석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인 털다닥냉이(십자화과)와 들괭이밥(괭이밥과) 2종을 인천시 월미도와 경서동에서 각각 발견하였다. 털다닥냉이는 경생엽이 줄기를 감싸지 않고, 수술이 4개라는 형태적 특징에 의해 근연종들과 구분된다. 들괭이밥은 화경과 소화경에 강모가 밀집하며, 종자에 흰색의 능선이 있다는 형태적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구분된다. 본 연구는 미기록 외래식물 2종에 대한 기재와 화상자료를 제공하고,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newly recorded alien plants, Lepidium pinnatifidum Ledeb. (Brassicaceae) and Oxalis dillenii Jacq. (Oxalidaceae), were found on Wolmido Island, Incheon-si and in Gyeongseo-dong, Incheon-si, of South Korea, respectively. Lepidium pinnatifidum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Korean taxa by l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새롭게 발견된 십자화과 및 괭이밥과의 미기록 귀화식물 2분류군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기재와 화상자료 제공, 국명부여 및 국내에 분포하는 근연분류군들과의 검색표를 작성하여 그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경생엽은 이저로 줄기를 감싼다.
  • 1. 경생엽은 줄기를 감싸지 않는다.
  • 1. 알뿌리가 없이 지상부의 줄기 혹은 포복성 지하경이 발달한다.
  • 1. 알뿌리가 있다.
  • 2. 근생엽은 2−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 2. 근생엽은 갈라지지 않는다. 꽃은 백색 또는 황백색이다.
  • 7. 열매는 원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털다닥냉이가 해로를 통해 직접 유입되었을 것이라 판단한 근거는? 국내에서는 인천시 월미도와 대연평도에서 확인되었다. 한국과 인접한 중국, 일본 등의 동북아시아권에 귀화되지 않 은 점과 국내 분포가 인천지역에 한정된 것을 미루어 서남아시아로부터 해로를 통해 직접 유입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털다닥냉이가 근연종들과 구분되는 점은?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인 털다닥냉이(십자화과)와 들괭이밥(괭이밥과) 2종을 인천시 월미도와 경서동에서 각각 발견하였다. 털다닥냉이는 경생엽이 줄기를 감싸지 않고, 수술이 4개라는 형태적 특징에 의해 근연종들과 구분된다. 들괭이밥은 화경과 소화경에 강모가 밀집하며, 종자에 흰색의 능선이 있다는 형태적 특징으로 근연종들과 구분된다.
괭이밥과는 어떤 지역에 분포하는가? Br.)는 약 6−8속 780여 분류군이 열대와 아열대, 그리고 온대지역에 분포하며, 그 중 괭이밥속(Oxalis L.)은 전 세계적으로 700여 분류군이 분포 하고 있다(Liu and Mark,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mad, K. S., W. K. Kayani, M. Hameed, F. Ahmad and T. Nawaz. 2012. Floristic diversity and ethnobotany of Senhsa, District Kotli, Azad Jammu & Kashmir (Pakistan). Pakistan Journal of Botany 44: 195-201. 

  2. Bush, N. A. 1939. Lepidium. In Flora of the U.S.S.R. Vol. 8. Komarov, V. L. (eds.), Izdatelstvo Akademii Nauk SSSR, Moskva-Leningrad. Pp. 374-391. 

  3. Cheo, T. Y., L. L. Guang, I. A. Al-Shehbaz and D. Vladimir. 2004. Brassicaceae. In Flora of China. Vol. 8. Brassicaceae through Saxifragaceae. Wu, Z.-Y. and P. H. Raven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Pp. 1-33. 

  4. Geltman, D. V. 2001. Lepidium. In Flora of Russia. Vol. 9. Fedorov, A. A and A. A. Balkema (eds.), Rotterdam, Brookfield, VT. Pp. 79-86. 

  5. Haq, F., H. Ahmad, R. Ullah and Z. Iqbal. 2012. Species diversity and ethno botanical classes of the flora of Allai Valley District Battagram Pakistan. International Journal of Plant Research 2: 111-123. 

  6. Ilyinska, A. P. 2014. Lepidium s. str. (Brassicaceae) in the flora of Ukraine. Biodiversity Research and Conservation 35: 25-29. 

  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Korean Plant Names Index. Retrieved Jul. 22, 2016,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8. Lee, B. Y., G. H. Nam, J. Y. Lee, C. H. Park, C. E. Lim, M. H. Kim, S. J. Lee, T. K. Noh, J. A. Lim, J. E. Han and J. H. Kim.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633 pp. (in Korean) 

  9. Lee, Y.-M., S. H. Park, J. C. Yang and H.-J. Choi. 2008.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 Carduus natans and Lepidium latifolium.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8: 187-196. (in Korean) 

  10. Liu, Q. and F. W. Mark. 2008. Oxalidaceae. In Flora of China. Vol. 11. Oxalidaceae through Aceraceae. Wu, Z.-Y., P. H. Raven and D. Y. Hong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Pp. 1-6. 

  11. Mahmood, A., A. Mahmood, G. Mujtaba, M. S. Mumtaz, W. K. Kayani and M. A. Khan. 2012. Indigenous medicinal knowledge of common plants from district Kotli Azad Jammu and Kashmir Pakistan. Journal of Medicinal Plants Research 6: 4961-4967. 

  12. Nesom, G. L. 2009. Again: taxonomy of yellow-flowered caulescent Oxalis (Oxalidaceae) in Eastern North America. Journal of the Botanical Research Institute of Texas 3: 727-738. 

  13.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p. 106-119. (in Korean) 

  14. Shimizu, T. 2003. Naturalized Plants of Japan. Heibonsha, Tokyo. Pp. 124-126.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