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청 동네예보의 영농활용도 증진을 위한 방안: V. 하늘상태 기반 기온감률 추정기법의 실용성 평가
Improving the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V. Field Validation of the Sky-condition based Lapse Rate Estimation Scheme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8 no.3, 2016년, pp.135 - 142  

김수옥 (국가농림기상센터) ,  윤진일 (경희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운량 기반 기온감률 추정모형을 이용하여 0600과 1500의 기온감률을 모의하고, 최저 및 최고기온 추정과정에 활용되었던 기존의 단일 기온감률($-6.5^{\circ}C/km$, $-9^{\circ}C/km$)에 비해 추정 기온감률이 0600, 1500 기온의 추정오차를 개선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경남 하동과 전남 구례, 광양 지역의 '하동 2 수위표' 집수역을 기온감률 추정기법의 실용성 평가 지역으로 선정하고, 이 집수역 내 기상관측지점 12곳의 0600, 1500 기온자료를 2015년 한 해에 대해 수집하였다. 또한 2015년의 기상청 하늘상태 초단기예보 5km 격자자료를 이용, 대상 집수역의 0600, 1500 운량(0~10) 공간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온감률을 추정하였다. 검증지점의 0600 기온 추정오차는 기존 기온감률을 적용한 경우 평균 ME $-0.39^{\circ}C$, RMSE $1.45^{\circ}C$ 였으나, 새로운 기온감률로 변경한 결과 ME $-0.19^{\circ}C$, RMSE $1.32^{\circ}C$로 개선되었으며, 맑은 날은 ME $-0.8^{\circ}C$에서 $-0.57^{\circ}C$로, RMSE는 $1.72^{\circ}C$에서 $1.42^{\circ}C$로 감소되었고 흐린 날은 ME $-0.17^{\circ}C$에서 $-0.06^{\circ}C$, RMSE $1.16^{\circ}C$에서 $1.01^{\circ}C$로 줄어들었다. 또한 1500 기온에서 기존의 단일 기온감률과 추정 기온감률의 적용결과를 비교하면 맑은 날은 기온 추정오차에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흐린 날은 기존 ME $-0.69^{\circ}C$, RMSE $1.54^{\circ}C$에서 ME $-0.51^{\circ}C$, RMSE $1.19^{\circ}C$로 개선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for temperature estimation at 0600 and 1500 LST by using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temperature lapse rate modulated by the amount of clouds in comparison with the case adopting the existing single temperature lapse r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 12곳의 검증 지점에 대해 2015년간 추정된 0600, 1500기온을 실측값과 비교하고, 운량 기반의 기온감률 추정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기존에 비해 기온의 추정오차를 개선시킬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 2015년의 기상청 하늘상태 초단기예보(5 × 5km 격자해상도)를 수집하고, Kim and Yun(2015)의 방법에 따라 하늘상태 격자값 1∼4를 10분법 운량(0∼10)으로 변환한 후, 0600와 1500의 운량 5km 격자자료를 ‘하동2수위표’ 집수역과 중첩하여 집수역 내 공간평균값을 계산하였다.
  • 또한 같은 기간에 대해 대관령 기상대에서 0600와 1500에 관측된 운량을 수집하고 10분법 운량값(0∼10)에 따라 날짜를 분류하였다. 각 운량 별로, 해당하는 날짜가 3일 이하인 경우를 제외하고 0600, 1500의 500-600m 기온감률과 추정된 기온감률을 운량별로 평균하여 비교하였다.
  • 경남 하동과 전남 구례, 광양을 아우르는 산간집수역인 ‘하동2수위표’ 표준유역을 새로운 추정 기법에 의한 기온감률과 기존 고정식 기온감률을 이용한 기온 추정 결과의 비교 평가 지역으로 선정하였다(Fig. 2).
  • 또한 2015년의 기상청 하늘상태 초단기예보 5km 격자자료를 이용, 대상 집수역의 0600, 1500 운량(0∼10) 공간평균값을 계산하여 기온감률을 추정하였다.
  • 또한 같은 기간에 대해 대관령 기상대에서 0600와 1500에 관측된 운량을 수집하고 10분법 운량값(0∼10)에 따라 날짜를 분류하였다.
  • 배경기온에는 30 × 30m 격자해상도의 DEM과 가상지형 간의 해발고도 편차값에 기존의 단일 기온감률, 또는 운량 기반으로 추정된 기온감률을 적용, 고도편차에 따른 기온변이를 반영하였다.
  • ‘하동2수위표’ 집수역의 운량 공간평균값으로 추정된 기온감률을 이용, 고도별 0600, 1500 기온 분포를 모의하였다. 배경기온은 하동, 구례, 광양의 기상청 AWS위치의 초단기예보 격자값을 이용하여 거리자승역산가중법(inverse distance squared weighting, IDSW)으로 공간내삽하였으며, 가상지형 역시 기상청 AWS 지점 해발고도값(DEM 기반)을 배경기온과 같은 방식으로 내삽하여 제작하였다. 배경기온에는 30 × 30m 격자해상도의 DEM과 가상지형 간의 해발고도 편차값에 기존의 단일 기온감률, 또는 운량 기반으로 추정된 기온감률을 적용, 고도편차에 따른 기온변이를 반영하였다.
  • 기상청 동네예보의 기상요소 중 운량을 대체할 수 있는 정보인 하늘 상태를 이용한다면, Kim and Yun(2016)의 방법으로 임의 지역의 기온감률을 모의, 기온 예보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Kim and Yun(2016)이 제안한 운량 기반 기온감률 추정모형을 이용하여 0600, 1500 기온감률을 계산, 기온을 추정한 후 기존 방법의 경우와 비교하여 0600과 1500 기온 추정오차의 개선 효과를 검증하였다.
  • 운량 기반 기온감률 추정모형을 이용하여 0600과 1500의 기온감률을 모의하고, 최저 및 최고기온 추정과정에 활용되었던 기존의 단일 기온감률(–6.5°C/km, –9°C/km)에 비해 추정 기온감률이 0600, 1500 기온의 추정오차를 개선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 운량을 기반으로 하는 Kim and Yun(2016)의 기온감률 추정기법을 0600과 1500 기온 모의 과정에 적용하고, 기존의 단일 기온감률에 비해 추정오차를 개선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먼저 대관령의 연직 기온프로파일에서 500-600m 층위의 기온감률과, Kim and Yun(2016) 기법으로 추정한 기온감률을 운량과 비교하였고, 추정 기온감률의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입력자료인 운량을 4이하부터는 값 4로 변환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이 기온감률 추정기법을 적용하여 ‘하동 2 수위표’ 집수역 내 12곳 기상관측지점에 대해 기상청의 초단기예보 기온과 하늘상태 5km 격자자료를 기반으로 2015년 1년동안 0600과 1500 기온감률을 계산, 기온을 추정한 후 기존의 단일 기온감률을 이용한 경우와 비교한 결과, 새로운 기온감률로 0600, 1500 기온의 추정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대상 데이터

  • The weather station locations in a watershed ‘Hadong Watermark2’ on complex terrain and a place of Daegwallyeong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stations in South Korea.
  • 검증 지점은 최저 해발고도 20m부터 최대 1,100m까지 9번 집수역 사면에 분포하고 있는데, 6번과 8번은 각각 해발고도 20m, 50m 지점, 1번과 4번, 7번은 약 100m 전후, 10∼12번은 약 200m 전후, 2번과 3번, 5번은 고도가 300m 전후에 해당한다(Fig. 2).
  • 경남 하동과 전남 구례, 광양 지역의 ‘하동 2 수위표’ 집수역을 기온감률 추정기법의 실용성 평가 지역으로 선정하고, 이 집수역 내 기상관측지점 12곳의 0600, 1500 기온자료를 2015년 한 해에 대해 수집하였다.
  • 기온의 연직분포는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의 고령지농업연구소 옥상에 초단파 온도 프로파일러(Model MTP5H, Kipp and Zonen)를 설치하여 2007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한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였다. 결측일을 제외한 172일에 대해, 지면으로부터 높이 600m까지 50m 간격의 기온 중 500m에서 600m 간의 기온감률을 계산하였는데, 이는 기온감률에서 기온역전의 영향을 최대한 배제하여 최저기온 추정 과정에서 온난대 및 냉기집적효과 모형과 무리없이 결합하기 위함이다.
  • 두 종류의 기온감률에 대한 기온추정 성능을 정량적 으로 평가하기 위해, ‘하동2수위표’ 집수역 내에 위치한 기상관측지점 12곳의 0600, 1500 기온을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수집하였다(Fig.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가 맞춤형 기상위험관리 서비스의 관건은 무엇인가? 국내에서 개별 농지에 재배되고 있는 작물에 대해 기상위험지수를 판단, 농민에게 일대일로 제공하는 ‘농가 맞춤형 기상위험관리’ 서비스가 시범적으로 구현되고 있는데(Yun et al., 2013; Yun, 2015),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해당 지점의 기상조건을 실제에 가깝게 모의하는 것이 관건이다. 특히 산간지와 그 주변에서 작은 규모로 과수⋅농작물을 경작하는 국내 영농 특징에 맞게 복잡지형의 기온변이를 모의하기 위한 기온 상세화 기법이 사용된다.
농가 맞춤형 기상위험관리의 역할은 무엇인가? 국내에서 개별 농지에 재배되고 있는 작물에 대해 기상위험지수를 판단, 농민에게 일대일로 제공하는 ‘농가 맞춤형 기상위험관리’ 서비스가 시범적으로 구현되고 있는데(Yun et al., 2013; Yun, 2015),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해당 지점의 기상조건을 실제에 가깝게 모의하는 것이 관건이다.
0600, 1500 기온 모의 기법의 기온 추정과정에서의 감률 값들은 어떻게 되는가? , 2013; Kim and Yun, 2014). 다만, 0600과 1500 기온 추정과정에서 공통적으로 해발고도편차 보정이 적용되는데, 이때 이용되는 기온감률은 0600의 경우 표준대기기온감률 –6.5°C/km, 1500의 경우 –9°C/km의 단일 값이다(Kim et al., 2013; Kim and Yun,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ung, U., H. H. Seo, K. H. Hwang, B. S. Hwang, J. Choi, J. T. Lee, and J. I. Yun, 2006: Minimum temperature mapping over complex terrain by estimating cold air accumulation potential.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7(1-2), 15-24. 

  2. Geiger, R., R. H. Aron, P. Todhunter, 2009: The climate near the ground (7th e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642pp. 

  3. Kim, S. O., and J. I. Yun, 2011: A quantification method for the cold pool effect on nocturnal temperature in a closed catch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4), 176-1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1.13.4.176 

  4. Kim S. O., and D. J. Kim, J. H. Kim, and J. I. Yun, 2013: Improving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I. Correction for local temperature under the inversion condi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2), 76-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3.15.2.076 

  5. Kim S. O., and J. I. Yun, 2014: Improving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III. Correction for advection effect on determination of daily maximum temperature over sloped surfac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4), 297-3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4.16.4.297 

  6. Kim S. O., and J. I. Yun, 2015: Improving the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IV. Estimation of daily sunshine duration and solar radiation based on 'Sky Condition' produc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4), 281-2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5.17.4.281 

  7. Kim S. O., and J. I. Yun, 2016: Feasibility of the lapse rate prediction at an hourly time interva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1), 55-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6.18.1.55 

  8. Kirchner, M., T. Faus-Kessler, G. Jakobi, M. Leuchner, L. Ries, H. E. Scheel, and P. Suppan, 2013: Altitudinal temperature lapse rates in an Alpine valley: trends and the influence of season and weather pattern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3(3), 539-555. doi: 10.1002/joc.3444 

  9. Lutgens, F. K., and E. J. Tarbuck, 2007: The atmosphere (tenth ed.). Pearson Education, Inc., 520pp. 

  10. Minder, J. R., P. W. Mote, and J. D. Lundquist, 2010: Surface temperature lapse rates over complex terrain: Lessons from the Cascade Mountai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5(D14122), 1-13. doi: 10.1029/2009JD013493 

  11. Yun, J. I., J. Y. Choi, and J. H. Ahn, 2001: Seasonal trend of elevation effect on daily air temperature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2), 96-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Yun, J. I., S. O. Kim, J. H. Kim, and D. J. Kim, 2013: User-specific agrometeorological service to local farming community: A case stud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 320-3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3.15.4.320 

  13. Yun, J. I., 2015: A feasibility study of a field-specific weather service for small-scale farms in a topographically complex watershed.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4), 317-3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5.17.4.3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