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청 동네예보의 영농활용도 증진을 위한 방안: 복잡지형의 낮 기온 상세화 기법
Improving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Correction Method for Daytime Hourly Air Temperature over Complex Terrain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1 no.4, 2019년, pp.221 - 228  

윤은정 (국가농림기상센터) ,  김수옥 (국가농림기상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출 이후부터 일몰 전까지 매시 간격으로 태양 일사로 인한 지표부근 기온상승 효과와 풍속이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고자, 동향사면과 서향사면 간 대표 기상관측지점에 대하여 매시 일사량 편차에 따른 관측기온의 편차(기온변화량)을 풍속별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일사편차 1 MJ/㎡ 당 기온변화량으로 일사효과를 표현하여 풍속과의 경험식을 구하고, 이것을 토대로 201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농산촌의 복잡지형에 위치한 기상관측지점 25곳에 대해 주간(06:00~19:00) 매시 기온을 추정한 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추정값과 관측값의 평균 ME는 -0.98~0.67℃, 평균 RMSE는 0.95~2.04℃ 나타났다. 오후 3시 기준의 한낮기온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기존 모형과 추정신뢰도를 대조하였는데, 기존 모형의 추정오차(ME -0.91℃, RMSE 1.47℃)를 ME -0.45℃, RMSE 1.22℃까지 개선시킬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wind speed on the temperature change during day time could be insignificant in a region with a complex terr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solar radiation and hourly temperature under a windy condition for the period from sunrise to sunse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m/s 이하의 미풍조건 하에 적용해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풍속에 따른 일사효과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정량식으로 나타내었다. 일사편차(MJ/m2)에 의한 기온 상승효과(℃)를 기울기로써 풍속 구간별로 도출하였을 때 바람이 셀수록 일사편차-기온편차 간 유의성이 감소되었으나, 도출된 1차식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정량식을 일사효과에 적용, 주간(06:00∼19:00) 매시 기온을 모의하고 추정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평균오차(ME)는 -0.
  • 그러나 바람이 약한 맑은 날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현장적용 및 검증기간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점을 보완하여 시간단위 낮기온과 바람이 일사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 하고 연구지역에 위치한 기상관측지점의 매시 기온을 모의하여 추정신뢰도를 확인하였다.
  • 25개 기상관측지점 중 4번과 7번 지점은 한 집수역에서 서로 반대편 사면에 설치된 개활지 경사면의 관측장소로써, 선행연구에서 일사효과 정량화에 활용된 바 있다. 이 두 지점으로부터 매시 일사효과에 미치는 풍속(한 시간 평균값)의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두 지점의 풍속을 구간에 따라 나누어 일사편차와 기온편차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급증하고 있는 기상이변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최근 급증하고 있는 기상이변은 전지구적인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점차 가속화 되고 있다. 이로 인한 농업 분야의 직접적인 피해와 과도한복구비용은 농가소득 감소와 지역경제 침체로 이어져 만성적인 사회문제로 이어 질 수 있다(Shim et al.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의 구축 목적은 무엇인가?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기상이변에 대응하기 위해, 농장의 지형조건과 토양특성 및 재배 작목의 생육단계를 기반으로 기상위험을 예측하고 농민에게 전달하기 위해 구축되었다(Shim et al., 2017; Yun,2014).
태양 일사로 인한 지표부근 기온상승 효과와 풍속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와 개선사항은 무엇인가? 일사편차 1 MJ/㎡ 당 기온변화량으로 일사효과를 표현하여 풍속과의 경험식을 구하고, 이것을 토대로 201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농산촌의 복잡지형에 위치한 기상관측지점 25곳에 대해 주간(06:00~19:00) 매시 기온을 추정한 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추정값과 관측값의 평균 ME는 -0.98~0.67℃, 평균 RMSE는 0.95~2.04℃ 나타났다. 오후 3시 기준의 한낮기온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기존 모형과 추정신뢰도를 대조하였는데, 기존 모형의 추정오차(ME -0.91℃, RMSE 1.47℃)를 ME -0.45℃, RMSE 1.22℃까지 개선시킬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onan, G., 2015: Ecological climatology : Concepts and applications (3r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4pp. 

  2. Chung, U., H. C. Seo, J. I. Yun, S. J. Jeon, K. H. Moon, H. H. Seo, and Y. S. Kwon, 2009: Extrapolation of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a mountainous terrai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5, 473-482. 

  3. Gates, D. M., 2011: Biophysical ecology. Springer Verlag, 611pp. 

  4. Goudriaan, J., and H. H. Van Laar, 1994: Modelling potential crop growth process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8pp. 

  5. Jeong, J. W., S. S. Kim, I. K. Lee, N. H. So, and H. S. Ko, 2018: Negative effect of abnormal climate on the fruits productivity - focusing on the special weather report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4), 305-312. 

  6. Kim, H. Y., S. W. Choi, and J. Kim, 2015: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and forest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3), 236-247. 

  7. Kim, S. O., and J. I. Yun, 2013: Relationship between midday air temperature and solar irradiance over sloping surfaces under cloudless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 291-2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3.15.4.291 

  8. Kim, S. O., and J. I. Yun, 2014: Improving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III. Correction for advection effect on determination of daily maximum temperature over sloped surfac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4), 297-303. DOI: 10.5532/KJAFM.2014.16.4.297 

  9. Kim, S. O., and J. I. Yun, 2015: Improving the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IV. Estimation of daily sunshine duration and solar radiation based on 'Sky Condition' produc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7(4), 281-289. DOI: 10.5532/KJAFM.2015.17.4.281 

  10. Kim, S. O., and J. I. Yun, 2016: Feasibility of the lapse rate prediction at an hourly time interva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1), 55-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6.18.1.55 

  11. Park, J. H., Y. S. Shin, S. K. Kim, W. S Kang, Y. K. Han, J. H. Kim, D. J. Kim, S. O. Kim, K. M Shim, and E. W. Park, 2017: Speed-up techniques for high-resolution grid data processing in the early warning system for agrometeorological disaste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9(3), 153-163. 

  12. Regniere, J., 1996: Generalized approach to landscapewide seasonal forecasting with temperature- driven simulation models. Environmental Entomology 25(5), 896-881 

  13. Sagong, D. H., H. J. Kweon, M. Y. Park, Y. Y. Song, S. H. Ryu, M. J. Kim, K. H. Choi, and T. M. Yoon, 2013: Impacts of urban high temperature events on physiology of apple trees: a case study of 'Fuji'/M.9 apple trees in Daegu,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3), 130-144. 

  14. Seo, H. C., S. J. Jeon, and J. I. Yun, 2008: Azimuthal distribution of daily maximum temperature observed at sideslopes of a grass-covered inactive parasitic volcano ("Ohreum") in Jeju Island.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1), 25-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Shim, K. M., J. T. Lee, Y. S. Lee, and G. Y. Kim, 2003: Traits of agro-meteorological disasters in 20th century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4), 255-260. 

  16. Shim, K. M., H. K. Jeong, Y. A. Lim, Y. S. Shin, Y. S. Kim, I. T. Choi, M. P. Jung, and H. J. Kim, 2017: Cost-benefit analysis of a farmsteadspecific early warning service for agrometeorological disaster risk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9(3), 195-202. 

  17. Yun, E. J., and S. O. Kim, 2018: Estimation of hourly daytime air temperature on slope in complex terrain corrected by hourly solar radi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4), 376-3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8.20.4.376 

  18. Yun, J. I., 2014: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A service infrastructure for climate-smart agricul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4), 403-4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