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작물의 기상재해 발생위험 판정기준 설정 및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준기상위험의 변화 전망
An Agrometeorological Reference Index for Projecting Weather-Related Crop Risk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8 no.3, 2016년, pp.162 - 169  

김대준 (경희대학교 농업기상연구실) ,  김진희 (경희대학교 농업기상연구실) ,  윤진일 (경희대학교 농업기상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준기상위험이란 한 지역의 평년기후조건이 작물재배에 미칠 수 있는 '농업기상학적 피해가능성'으로서, 동일 작물 재배 시 지역에 따른 재해위험을 비교하는 기준이 된다.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겨울 온도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상이변의 빈도 또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미래 기후조건에서 과수의 동해, 상해 등 저온에 의한 재해위험이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기후의 변화는 과수 생물계절도 변화시키므로 기상조건에 근거한 단순한 재해위험 전망은 기후변화적응의 실용측면에서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주요 지역의 과거 및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배, 복숭아, 사과의 생물계절을 예측하고 생육단계별 기온과의 상호작용에 근거하여 저온 유래 기준기상위험을 계산함으로써 미래의 재해가능성을 전망하였다. 휴면해제일은 미래로 갈수록 늦어질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발아일과 개화일의 경우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대구, 전주, 목포의 경우 휴면해제일의 지연 정도가 미래로 갈수록 커졌으며 발아일과 개화일의 경우 서울, 인천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늦게 나타났다. 서울과 인천, 대구와 전주, 부산과 목포가 서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휴면기 동안에는 전 지역이 동해에 안전하였으나 휴면해제-발아기 동안에는 전 지역이 동해에 취약하였고, 발아기-개화기의 위험은 미래로 갈수록 대체로 낮아졌지만 지역에 따라 위험이 커지는 곳도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grometeorological reference index means 'the agrometeorological damage possibility' or the possibility of the normal year climate condition to damage the crop cultivation in a certain region. It is a reference used to compare the cultivation risk of a crop by region. The global climate warm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발육 모델을 이용하여 현재 평년 및 미래의 휴면기-개화기까지의 생육단계를 추정하고, 이에 대해 기준기상위험을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현재 평년에는 지역적으로 현재와 미래 간에 생육단계의 종류와 작목 별로 변화에 일정부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주요 지역의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주요 과수(배, 복숭아, 사과)의 생물 계절의 미래 변화를 예측하고, 각 생육단계별 기온과의 상호작용에 근거하여 저온 유래 기준기상위험을 계산함으로써 미래의 재해가능성을 전망하였다.

가설 설정

  • 가상 작물이 해당 생육단계에서 동해를 입을 수 있는 임계 온도는 -10°C라고 가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약 30년에 한번 정도 발생할 수 있는 빈도인 –2σ를 위험수준으로 설정하였으며, 그 이상을 위험지역이라 가정하였다.
  • 실험을 통해 찾은 동해 위험온도 기준이 이 정규분포 상 -2σ에 해당되는 위치라 가정하였을 때, 다른 지역의 다른 온도 분포에서도 -2σ에 해당되는 온도가 있을 것인데, 각각의 온도 분포 상 –2σ에 해당되는 각각의 온도가 해당 지역의 위험 기준이 될 수 있다는 가정이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란 무엇인가? 기후는 어떤 장소에서 장기간의 대기 현상을 종합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시간에 따라 반복되어 뚜렷하게 표현되는 해당 장소 특유의 환경조건이라 할 수 있다. 이 지역에서 오랜 기간 동안 재배된 작물은 해당 지역의 기후에 잘 적응해서 다른 지역과 차별화 되는 기후생태형 혹은 특산물이 되기도 한다.
기준기상위험이란? 기준기상위험이란 한 지역의 평년기후조건이 작물재배에 미칠 수 있는 '농업기상학적 피해가능성'으로서, 동일 작물 재배 시 지역에 따른 재해위험을 비교하는 기준이 된다.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겨울 온도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상이변의 빈도 또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미래 기후조건에서 과수의 동해, 상해 등 저온에 의한 재해위험이 주목 받고 있다.
겨울철 포도의 휴면병을 비롯하여, 작물의 이상개화 등이 생기는 이유는? 하지만, 최근의 기후변화는 흔히 온난화와 함께, 지역기후의 정상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기상이변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면서(Min et al., 2006; Moon et al., 2008; NIMS, 2011; 2012; Lee et al., 2012), 한 지역에서 오랜 기간 적응해온 작물들은 그에 따른 기상재해를 입을 확률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온난화에도 불구하고, 미래의 기후조건 하에서 과수의 동해, 상해 등 저온에 유래한 재해의 위험성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겨울철 포도의 휴면병을 비롯하여, 작물의 이상개화 등 기후의 변화는 생물계절(phenology) 또한 변화 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esaraccio, C., D. Spano, R. L. Snyder, and P. Duce, 2004: Chilling and forcing model to predict bud-burst of crop and forest speci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6, 1-13. 

  2. Kim, M. K., M. S. Han, D. H. Jang, S. G. Baek, W. S. Lee, Y. H. Kim, and S. Kim, 2012: Production technique of observation grid data of 1km resolutio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7(1), 55-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im, M. K., D. H. Lee, and J. Kim, 2013: Production and validation of daily grid data with 1km resolu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8(1), 13-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J. H., S. O. Kim, U. Chung, J. I. Yun, K. H. Hwang, J. B. Kim, and I. K. Yoon, 2009a: Geospatial assessment of frost and freeze risk in 'Changhowon Hwangdo' peach (Prunus persica) trees as affected by the projected winter warming in South Korea: II. Freezing risk index based on dormancy depth as a proxy for physiological tolerance to freezing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4), 213-2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S. O., J. H. Kim, U. Chung, S. H. Kim, G. H. Park, and J. I. Yun, 2009b: Quantification of temperature effects on flowering date determination in Niitaka pea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2), 6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Lee, K., H. J. Baek, S. Park, H. S. Kang, and C. H. Cho, 2012: Future projection of changes in extreme temperatures using high resolution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7(2), 208-2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 Preprint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aheim, CA, January 17-22, pp. 179-184. 

  8. Min, S. K., S. Legutke, A. Hense, U. Cubasch, W. T. Kwon, J. H. Oh, and U. Schlese, 2006: East Asian climate change in the 21st century as simulated by the coupled climate model ECHO-G under IPCC SRES scenarios.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84, 1-26. 

  9. Moon, J.-Y., M.-H. Kim, D.-H. Choi, K.-O. Boo, W.-T. Kwon, 2008: Change of East Asian summer monsoon by time slice experiment. Atmosphere 18, 55-70. 

  10. Palmer, W. 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No. 45. U.S. Weather Bureau. Washington, DC. 

  11. Yun, J. I., 2014: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a service infrastructure for climate-smart agricul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4), 403-4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 10.5532/KJAFM.2014.16.4.403 

  12. NIMS, 2011: IPCC 5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보고서 2011.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 79-81. (in Korean) 

  13. NIMS, 2012: IPCC 5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전 지구 기후변화 보고서 2012.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 59-89. (in Korean) 

  14. RDA, 2016: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ervice. http://www.nongsaro.go.kr/ (2016.08.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