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과기온 양상에 따른 신고 배의 지역별 개화예측모델 평가
Evaluation of Regional Flowering Phenological Models in Niitaka Pear by Temperature Pattern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2 no.4, 2020년, pp.268 - 278  

김진희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윤은정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김대준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강대균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서보훈 (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심교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특히 민감한 농업분야에서 최근 겨울철 이상난동 현상으로 과실류의 개화시기는 앞당겨지고 있으며, 늦서리에 의한 꽃눈의 피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꽃눈이 늦가을부터 휴면에 진입하여 추운 겨울을 지나 싹이 트고 꽃이 피는 봄까지 경과 기온의 양상이 식물의 개화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한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개화예측모델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8개 지점에서 관측된 기온 자료를 확보하여 신고 배의 내생휴면 해제를 위해 필요한 냉각량과, 휴면타파 이후 개화까지 요구되는 가온량의 일정기간 누적값을 모델별로 각각 비교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관측 만개일 정보를 수집하여 지역별 모델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변동계수로 살펴본 냉각량 계산에 대한 모델별 성능은 mDVR 모델에서 8.4%로 가장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휴면해제 이후 개화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가온량에 대한 모델별 변동계수는 CD 모델이 17.5%로 낮은 편이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의 신고 배의 만개기 관측날짜로부터 평가한 DVR 모델, mDVR 모델, CD 모델의 만개기 예측력은 mDVR 모델의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DVR 모델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았다. 특히 울주나 사천 등 기온이 온난한 남부 해안지역에서 오차가 큰 경향이었으며, 예년에 비해 겨울철 기온이 유난히 따뜻했던 2019-2020년은 이천을 제외한 모든 지점에서 실제 개화일보다 빠르게 예측하는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owering time has been put forward due to the recent abnormally warm winter, which often caused damages of flower buds by late frosts persistently. In the present study, cumulative chill unit and cumulative heat unit of Niitaka pear, which are required for releasing the endogenous dormancy and for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화예측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에 앞서 그 해 기온은 어떠했는지 식물의 개화생리에 비춰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늦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신고 배의 내생휴면이 해제되기 위해 필요한 냉각량과, 이후 생장을 재개하여 발아가 되고 개화가 되기까지 필요한 가온량을 모델별로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 5). 중에서도 울산 해안가에 인접한 울주 지역은 -11일부터 -34 일까지 현실과 동떨어진 만개 시기를 모의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해보인다. CD 모델은 울주와 상주 지역의 예측 오차가 컸고(RMSE 8.
  • 따라서 모델의 전국적인 적용에 앞서 이러한 생물계절 관측자료의 내재적 오차요인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이 먼저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에서는 꽃눈이 늦가을부터 휴면에 진입하여 추운 겨울을 지나 싹이 트고 꽃이 피는 봄까지 경과 기온의 양상이 식물의 개화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한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개화예측모델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 8개지점에서 관측된 기온 자료를 확보하여 신고 배의 내생휴면 해제를 위해 필요한 냉각량과, 휴면타파 이후 개화까지 요구되는 가온량의 일정기간 누적값을 모델별로 각각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꽃눈이 늦가을 휴면에 진입 후 기온에 따라 계산되는 냉각량이 매일 쌓이게 되어 정해진 저온요구도(chilling requirement, Cr)에 도달하게 되면 내생휴면이 해제된 것으로 간주하며, 이후로는 GDD와 동일한 개념으로 가온량을 계산하여 누적하게 된다. 누적된 가온량이 저온요구량과 같아지면 강제휴면타파(발아)가 되고, 신고 배에 맞춰진 정해진 고온요구도(heating requirement, Hr)만큼 추가적인 가온량이 누적되면 만개기에 도달한 것으로 가정한다. 신고 배의 모수는 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esaraccio, C., D. Spano, R. L. Snyder, and P. Duce, 2004: Chilling and forcing model to predict bud-burst of crop and forest speci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6, 1-13. 

  2. Chandler, W. H., M. H. Kimball, G. L. Philp, W. P. Tufts, and G. P. Weldon, 1937: Chilling requirements for opening of buds on deciduous orchard trees and some other plants in California. Univ. Calif. Agr. Expt. Sta. Bull., 611. 

  3. Chuine, I., P. Cour, and D. D. Rousseau, 1999: Selecting models to predict the timing of flowering of temperate trees: implications for tree phenology modelling. Plant, Cell & Environment 22(1), 1-13. 

  4. Erez, A., 1994: Means to compensate for insufficient chilling to improve bloom and leafing. Dormancy and the related Problems of Deciduous Fruit Trees 395, 81-96. 

  5. Guo, L., J. Dai, M. Wang, J. Xu, and E. Luedeling, 2015: Responses of spring phenology in temperate zone trees to climate warming: a case study of apricot flowering in China.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1, 1-7. 

  6. Han, J. H., S. H. Lee, J. J. Choi, S. B. Jung, and H. I. Jang, 2008: Estimation of dormancy breaking time by development rate model in 'Niitaka' pear (Pyrus pirifolia Nakai).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2), 58-64. 

  7. Han, J. H., K. S. Cho, J. J. Choi, H. S. Hwang, C. G. Kim, and T. C. Kim, 2010: Estimation of changes in full bloom date of 'Niitaka' pear tree with global warming.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8(6), 937-941. 

  8. Kim, D. J., and J. H. Kim, 2018: An outlook of changes in the flowering dates and low temperature after flowering under the RCP8. 5 projected climate condi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4), 313-320. 

  9. Kim, J. H., S. O. Kim, U. Chung, K. H. Hwang, J. B. Kim, I. K. Yoon, and J. I. Yun, 2009a: Geospatial assessment of frost and freeze risk in 'Changhowon Hwangdo' peach (Prunus perica) trees as affected by the projected winter warming in South Korea: II. Freezing risk index based on dormancy depth as a proxy for physiological tolerance to freezing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4), 213-2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 H., E. J. Lee, and J. I. Yun, 2013: Prediction of blooming dates of spring flowers by using digital temperature forecasts and phenology model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1), 40-49. 

  11. Kim, J. H., D. J. Kim, S. O. Kim, E. J. Yun, O. Ju, J. S. Park, and Y. S. Shin, 2019: Estimation of freeze damage risk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of fruit flower buds in spring.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1), 55-64. 

  12. Kim, S. O., J. H. Kim, U. Chung, S. H. Kim, G. H. Park, and J. I. Yun, 2009b: Quantification of temperature effects on flowering date determination in Niitaka pea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2), 6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won, E. Y., G. C. Song, and J. I. Yun, 2005: Prediction of dormancy release and bud burst in Korean grapevine cultivars using daily temperature dat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3), 185-191. 

  14. Legave, J. M., Y. Guedon, G. Malagi, A. El Yaacoubi, and M. Bonhomme, 2015: Differentiated responses of apple tree floral phenology to global warming in contrasting climatic regions. Frontiers in Plant Science 6, 1054. 

  15. Muller, M., and P. Braun, 2007: Development of phenological models over time-a review. In: VIII International Symposium on Modelling in Fruit Research and Orchard Management 803, 111-116. 

  16. Sugiura, T., 1999: Prediction of full bloom date of pear using air temperature.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54(10), 146-149. 

  17. Sugiura T., and H. Honjo, 1997: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endodormancy completion in Japanese pear (Pyrus pyrifolia Nakai) and modeling the relationship. Journal of Agricultural Meteorology 53(4), 285-290. 

  18. 농촌진흥청 과수 생육.품질관리시스템: https://fruit.nihhs.go.kr 

  19. 농업기술연구소, 1990: 주요과수재배지역의 기후특성. 농촌진흥청, p157-1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