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균근 형성과 소나무 유묘 생장이 우수한 송이 균주의 선발
Korean Tricholoma matsutake Strains that Promote Mycorrhization and Growth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4 no.3, 2016년, pp.155 - 165  

전성민 (상명대학교 생명과학과) ,  가강현 (국립산림과학원 화학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송이산의 방치, 기주식물의 질병, 산불, 기후변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국내외 송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어 송이균의 생태적 특성을 이용한 인공재배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송이 접종묘 생산에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무균 배양병 내에서 소나무 유묘와 송이균 간의 외생균근 합성을 시도하였다. 송이 균근 형성률은 총 19개 균주 중 5개 균주(NIFoS 421, 434, 1681, 1984, 2001)가 80% 이상을 나타냈다. 7개 송이 균주(NIFoS 434, 441, 561, 562, 1016, 1807, 1812)는 평균 3.0 이하의 S/R ratio를 나타내었고, 소나무 유묘 지상부의 생물량이 지하부보다 2.0~4.8배 정도 높았다. 8개 균주(NIFoS 441, 561, 562, 1016, 1807, 1812, 1984, 2001)는 유묘의 지상부 부피 생장에, 3개 균주(NIFoS 441, 562, 1812)는 균근을 형성하면서 지하부 부피 생장을 돕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시험균을 접종한 지 6개월 후, 총 19개 시험균 중 4 균주 (NIFoS 434, 561, 1984, 2001)는 타 균주들에 비해 송이균의 균근 형성력과 소나무 유묘 생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송이 접종묘 제작에 있어 이들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duction of Tricholoma matsutake has decreased owing to matsutake forests being left alone, host plant disease, forest fires, climate change, and so on. In order to identify strains that ar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T. matsutake-inoculated seedlings, Pinus densif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송이산의 방치, 기주식물의 질병, 산불, 기후변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국내외 송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어 송이균의 생태적 특성을 이용한 인공재배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송이 접종묘 생산에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무균 배양병 내에서 소나무 유묘와 송이균 간의 외생균근 합성을 시도하였다. 송이 균근 형성률은 총 19개 균주 중 5개 균주(NIFoS 421, 434, 1681, 1984, 2001)가 80% 이상을 나타냈다.
  • 따라서 야외 임지에서 생존하여 자실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송이 접종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주식물인 소나무와의 균근 형성력도 중요하지만 송이균을 접종함으로써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나 생장 가능성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균 배양병 내에서 소나무 유묘와 송이균 간의 외생균근 합성을 시도하여 송이균의 균근 형성력과 소나무 유묘 생장력을 조사함으로써 송이 접종묘 생산에 적합한 송이 균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송이 인공재배 방법 중 유일하게 버섯 발생에 성공한 방법은 무엇인가? 현재까지 송이 인공재배 연구를 통해 버섯 발생에 성공한 예는 송이 감염묘 법뿐이다[14]. 이 방법을 통해 송이 감염묘를 이식한 지 6년째인 1983년 일본 히로시마 임업시험 장에서 1개의 버섯이 발생했다[14].
국내외 송이 생산량이 감소하는 이유는? 송이산의 방치, 기주식물의 질병, 산불, 기후변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국내외 송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어 송이균의 생태적 특성을 이용한 인공재배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송이 접종묘 생산에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무균 배양병 내에서 소나무 유묘와 송이균 간의 외생균근 합성을 시도하였다.
송이는 예부터 어떻게 사용됐는가? 예부터 송이(Tricholoma matsutake)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귀중한 산림자원으로 취급되어 왔다. 조선시대에는 임금님 진상품이나 사신 선물로[1], 중국 에서는 수 천년 동안 질병 치료나 예방을 위한 전통 약재로 사용해 왔다[2]. 또한 송이 자실체나 균사체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들이 밝혀지면서 의약품[3-5]이나 기능성 식 품의 소재[6, 7], 산림 생태계 복원[8]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넓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a KH, Koo CD. Research questions for artificial cultivation of Tricholoma matsutake. Trends Agric Life Sci 2002;2:1-6. 

  2. Zeng YW, Yang JZ, Pu XY, Du J, Yang T, Yang SM, Zhu WH. Strategies of functional food for cancer prevention in human beings. Asian Pac J Cancer Prev 2013;14:1585-92. 

  3. Kim YE, Yang JW, Lee CH, Kwon EK. ABTS radical scavenging and anti-tumor effects of Tricholoma matsutake Sing. (Pine mushroo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38: 555-60. 

  4. Lim HW, Yoon JH, Kim YS, Lee MW, Park SY, Choi HK. Free radical-scavenging and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by four grades of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Food Chem 2007;103:1337-42. 

  5. Kim JY, Byeon SE, Lee YG, Lee JY, Park J, Hong EK, Cho JY. Immunostim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s from liquid culture of pine-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J Microbiol Biotechnol 2008;18:95-103. 

  6. Choi SY, Kim NN, Kim YE, Lee Y, Kim SJ, Kim JH. Inhibitory effects of cultured Tricholoma matsutake mycelia on melanin biosynthe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1;43:240-2. 

  7. Kim JS, Park JB, Jang SW, Kwon DH, Jang MH, Lee MO, Ha SJ. Determin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from Tricholoma matsutake extract and its application to low salted Jeot-gal.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015;30:253-6. 

  8. Guerin-Laguette A, Shindo K, Matsushita N, Suzuki K, Lapeyrie F. The mycorrhizal fungus Tricholoma matsutake stimulates Pinus densiflora seedling growth in vitro. Mycorrhiza 2004; 14:397-400. 

  9. Islam F, Ohga S. The response of fruit body formation on Tricholoma matsutake in situ condition by applying electric pulse stimulator. Int Sch Res Notices 2012. http://dx.doi.org/10.5402/2012/462724. 

  10. Yamanaka T. Researches for development of the cultivation of 'matsutake', a prized mushroom produced by the ectomycorrhizal basidiomycete Tricholoma matsutake. Bull For For Prod Res Inst 2012;11:85-95. 

  11. Ka KH, Park H, Bak WC, Kim HS, Hur TC, Yoon KH, Ryu SR, Lee BH, Koo CD, Lee SI, et al. Artificial production of pinemushroom using transplanted pine trees infected by Tricholoma matsutake. Seoul: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12. Korea Forest Service.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Daejeon: Korea Forest Service; 2015. 

  13. National Indicator System of the Statics Korea. Forest damage occurrence and prevention by forest pest insect and diseas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 _cd1310. 

  14. Ka KH, Kim HS, Hur TC, Park H, Bak WC. Artificial cultivation of Tricholoma matsutake using matsutake-infected pine tree. Seoul: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9. 

  15. Ka KH, Jeon SM, Park H, Lee WY, Oh DS, Choi JW. Development of mushroom cultivation technology on coniferous resources as a medium. Seoul: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16. Marx DH. The influence of ectotrophic mycorrhizal fungi on the resistance of pine roots to pathogenic infections. I. Antagonism of mycorrhizal fungi to root pathogenic fungi and soil bacteria. Phytopathology 1969;59:153-63. 

  17. Ka KH, Park H, Hur TC, Bak WC. Selection of ectomycorrhizal isolates of Tricholoma matsutake and Tricholoma magnivelare for inoculation on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in vitro. Kor J Mycol 2008;36:148-52. 

  18. Yamada A, Maeda K, Kobayashi H, Murata H. Ectomycorrhizal symbiosis in vitro between Tricholoma matsutake and Pinus densiflora seedlings that resembles naturally occurring 'shiro'. Mycorrhiza 2006;16:111-6. 

  19. Palmen J. Matsutake: mushroom of the year - or millennium? Fungi 2016;8:40-8. 

  20. Yamada A, Endo N, Murata H, Ohta A, Fukuda M. Tricholoma matsutake Y1 strain associated with Pinus densiflora shows a gradient of in vitro ectomycorrhizal specificity with Pinaceae and oak hosts. Mycoscience 2014;55:27-34. 

  21. Haasse DL. Understanding forest seedling quality: measurements and interpretation. Tree Planters' Notes 2008;52:24-30. 

  22. Instructions for forest seedling business: Established Rule No. 599 of Korea Forest Service. 2011. 

  23. Bernier PY, Lamhamedi MS, Simpson DG. Shoot:Root ratio is of limited use in evaluating the quality of container conifer stock. Tree Planter's Notes 1995;46:10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