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극식물 Ranunculus hyperboreus의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apacity of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Arctic Terrestrial Plant Ranunculus heperporeus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8 no.3, 2016년, pp.185 - 193  

이정임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  김호준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  서효원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  공창숙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서영완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북극 육상식물인 R. hyperboreus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내 ROS와 peroxynitrite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유의적인 소거활성을 확인한 후에 구성성분의 극성에 따른 소거효과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n-hexane, 85% aq.MeOH, n-BuOH, water 분획물을 얻었다. 각 용매분획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n-hexane, water, 85% aq.MeOH, n-BuOH 분획의 순서대로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다. 각 용매분획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검색한 결과 n-hexane 분획의 경우에는 세포생존율에 기인한 어느 정도의 활성변화는 있었으나 대체적으로 소거 활성은 폴리페놀 함량에 비례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n-BuOH 분획물이 가장 좋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 번째로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85% aq.MeOH 분획물이 두 번째로 좋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tioxidative potentials of the crude extract and its four solvent fractions from the Arctic terrestrial plant Ranunculus heperporeus were evaluated by using four different activity tests, including the inhibi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lipid peroxidatio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7). 따라서 극지 육상식물인 R. hyperboreus의 추출물과 이 추출물을 용매 분획한 분획층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활성성분을 추적하 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28.
  • hyperboreus는 북미 인디언과 에스키모인들이 화살독 제조에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 식물의 생리활성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된 바가 없다(Gjoerevoll 199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극 육상식물 R. hyperboreus의 유기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여 세포내 ROS의 소거 효과, peroxynitrite 소거능, DNA 산화 억제 등을 측정함으로써 R. hyperboreus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 항산화제 개발의 새로운 원천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극지 생물종을 대상으로 인체 내에서 과도하게 생성되는 산화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고 생체 방어시스템을 지속시키는 항산화 물질을 탐색하였다. 북극의 환경은 연평균 기온 및 수온이 매우 낮으며 빙하의 해빙으로 인한 염분의 변화가 심하고, 자외선에 많이 노출되는 극한 지역이므로 여기에 서식하는 생물종은 이러한 극한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산화방어체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에서는 북극 육상식물인 R. hyperboreus를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내 ROS와 peroxynitrite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유의적인 소거활성을 확인한 후에 구성성분의 극성에 따른 소거효과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n-hexane, 85% aq.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OS와 RNS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서 BHA와 BHT를 장기간 복용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활성 산소종과 활성 질소종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합성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anisole(BHA)과 Butylated Hydroxytoluene(BHT)이 개발되었지만 장기적으로 복용할 경우, 간, 신장, 위장, 순환계 등에 독성을 초래하여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보고되면서 합성 항산화제의 사용량이 법적으로 제한되었다(Choe and Yang 1982; Williams 1990). 따라서 좀 더 안전한 항산 화제를 찾기 위한 노력으로 천연으로부터 항산화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며 그 결과, tocopherol, gossypol, sesamol, oryzanol, polyphenol, phenolic acid, flavonoids 등과 같은 다수의 항산화 물질이 분리되었다 (Azuma et al.
과도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무엇을 야기하는가? 과도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인체 내의 superoxide anion (O2-·), hydroxyl(HO·), alkoxyl(RO·), hydroperoxyl radical (HOO·) 등과 같은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나 nitric oxide(NO·)와 peroxynitrite(ONOO- ) 같은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의 생성을 야기한다(Fang et al. 2002).
ROS와 RNS는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2002). 생산된 ROS와 RNS는 자유라디칼 형태로서 세포 조직과 쉽게 반응하여 막지지질 과산화물을 생성하고 이러한 물질의 축적은 고혈압, 당뇨, 백내장, 동맥경화 등과 같은 질병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단백질 및 DNA 등을 손상시켜 돌연변이를 일으킴으로써 각종 암을 발생시킨다(Aruoma 1998; Diplock et al. 1998; Halliwell 1996; Ichiniose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ruoma OI (1998)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 Am Oil Chem Soc 75:199-212 

  2. Azuma K, Nakayama M, Koshika M, L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guchi Y, Ito H, Higashio H (1999)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3963-3966 

  3.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283-288 

  4. Choi JS, Chung HY, Kang SS, Jung MJ, Kim JW, No JK, Jung HA (2002) Th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of flavonoids as scavengers of peroxynitrite. Phytother Res 16:232-235 

  5. Diplock AT, Charleus JL, Crozier-willi G, Kok FJ, Rice-Evans C, Roberfroid M, Stahl W, Vina-Ribes J (1998) Functional food science and defence against reactive oxidative species. Brit J Nutr 80:77-112 

  6. Fang YZ, Yang S, Wu G (200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nutrition. Nutrition 18:872-879 

  7. Frankel EN, Waterhous AI, Kinsella JE (1993) Inhibition of human LDL oxidation by reveratrol. Lancet 341:1103-1104 

  8. Frankel EN, Meyer AS (2000) The problem of using onedimensional methods to evaluate multifunctional food and biological antioxidants. J Sci Food Agric 80:1925-941 

  9. Giese J (1996) Antioxidants tolls for preventing lipid foods and their on food quality. Food Chem 57:51-55 

  10. Girard-Lalancette K, Pichette A, Legault J (2009) Sensitive cell-based assay using DCFH oxid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pro-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pounds and mixtures: analysis of fruit and vegetable juices. Food Chem 115:720-726 

  11. Gjoerevoll O (1995) Flowers of Svalbard. Fagbokforlaget, Bergen, 37 p 

  12. Ha TY, Kang SH, Kwon TY, Ahn JY, Kim SR, Kim DS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ents of bioactive components in Polar Microalgae. Ocean Polar Res 28:37-43 

  13.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33-50 

  14. Halliwell B, Aeschbach R, Loliger J, Aruoma OI (1995)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33:601-617 

  15. Hansen MB, Nielsen SE, Berg K (1989) Re-examin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a precise and rapid dye method for measuring cell growth/cell kill. J Immunol Methods 119:203-210 

  16. Heath RL, Packer L (1968) Photoperoxidation in isolated chloroplasts. I Kinetics and stoichiometry of fatty acid peroxidation. Arch Biochem Biophys 125:189-198 

  17. Ichiniose M (2003) Inflammatory mechanisms in bronchial asthma and COPD. Tohuku J Exper Med 200:1-6 

  18. Julkunen-Titto R (1985) Phenolic constituents in the leaves of northern willows: methods for the analysis of certain phenolics. J Agric Food Chem 33:213-217 

  19. Kim EJ, Choi JY, Yu MR, Kim MY, Lee SH, Lee B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44:337-342 

  20. Kooy NW, Royall JA, Ischiropoulos H, Beckman JS (1994) Peroxynitrite-mediated oxidation of dihydrorhodamine 123. Free Radic Biol Med 16:149-156 

  21. Lee JI, Kim YA, Kong CS, Yea SS, Han TJ, Kang SH, Kim JH, Seo YW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from Kongsfjorden, an inlet in the Arctic's Svalbard Archipelago. Ocean Polar Res 31:213-218 

  22. Lee JI, Kong CS, Baek SO, Seo Y (2014) Isol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yl aconitates from Arctic red alga Polysiphonia stricta. Ocean Polar Res 36:247-254 

  23. Li H, Hao Z, Wang X, Huang L, Li J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Lysimachia foenum-graecum Hance. Bioresour Technol 100:970-974 

  24. Milne L, Nicotera P, Orrenius S, Burkitt M (1993) Effects of glutathione and chelating agents on copper-mediated DNA oxidation: pro-oxidant and antioxidant propertise of glutathione. Arch Biochem Biophys 304:102-109 

  25. Negro C, Tommasi L, Miceli A, (2003)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red grape marc extracts. Bioresour Technol 87:41-44 

  26. Okimoto Y, Watanabe A, Niki E, Yamashita T, Noguchi N (2000) A novel fluorescent probe diphenyl-1-pyrenylphosphine to follow lipid peroxidation in cell membranes. FEBS Lett 474:137-140 

  27. Pereira BK, Rosa RM, Silva JD, Guecheva TN, Oliveira IMD, Ianistcki M, Benvegnu VC, Furtado GV, Ferraz A, Richter MF, Schroder N, Pereira AB, Henriques JAP (2009) Protective effects of three extracts from Antarctic plants against ultraviolet radiation in several biological models. J Photoch Photobio B 96:117-129 

  28. Ramandeep KT, Geoffrey PS (2005) Antioxidant activity in different fractions of tomatoes. Food Res Int 38:487-494 

  29. Rein D, Paglieroni TG, Wun T, Oearson DA, Schmitz HH, Gosselin R, Keen CL (2000) Cocoa inhibits platelet activation and function. Am J Clin Nutr 72:30-35 

  30. Regoli F, Nigro M, Bompadre S, Winston G (2000) Total oxidant scavenging capacity (TOSC) of microsomal and cytosolic fractions from Antarctic, Arctic and Mediterranean scallops: differentiation between three potent oxidants. Aquat Toxicol 49:13-25 

  31. Rice-Evans CA, Miller HJ, Oaganga G (1996) Structure antioxidant activity relationship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Free Radical Biol Med 20:933-956 

  32.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152-159 

  33. Seo Y, Lee HJ, Kim YA, Lee JI, Kim JH, Chung H, Kang SH (2007) In vitro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arctic seaweed extracts. Ocean Polar Res 29:187-191 

  34. Williams GM, Wang CX, Iayropoulos MJ (1990) Toxicity studies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II. chronic feeding studies. Food Chem Toxicol 28:799-806 

  35.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5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