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antioxidant activity of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partitioned subfractions (n-hexane, 85% aqueous methanol, n-butanol, and water) obtained from Atriplex gmelinii was investigated using several different antioxidant assays. The tested samples possessed different antioxida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식물의 어린 잎과 줄기는 가축의 먹이로 이용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이 식물이 가지는 생리활성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 식물의 내염성에 대한 연구를 제외하고는 이 식물자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가는갯능쟁이의 유기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을 제조하여 DPPH 및 peroxynitrite 소거능, 세포내 ROS의 소거효과, DNA 산화 억제 등을 측정함으로써 가는갯능쟁이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여 항산화제 개발의 새로운 원천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는갯능쟁이는 무엇인가? 본 연구팀은 해양생물자원으로부터 항산화제를 탐색하는 과정중에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염생식물들중에 하나인 가는 갯능쟁이의 유기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가는갯능쟁이 (Atriplex gmelini)는 명아주과에 속하며 가는명아주라고도 부른다. 해안가 염분이 높은 지역인 조간대, 간척지, 해안사구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로서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그리고 북아메리카에도 분포한다. 이 식물의 어린 잎과 줄기는 가축의 먹이로 이용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이 식물이 가지는 생리활성에 대해서는 전혀 보고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이 식물의 내염성에 대한 연구를 제외하고는 이 식물자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9].
과량의 염분은 어떤 과정을 통해 산화 스트레스를 야기하는가? 과량의 염분이 산화 스트레스를 야기한다는 것은 현재 널리 받아 들여지고 있다 [4,5]. 염분은 식물의 기공의 열림을 방해하여 이산화탄소의 고정을 억제시키고 superoxide radical,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그리고 singlet oxygen과 같은 활성산소종을 발생시킨다 [1-3]. ROS의 과도한 축적은 막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효소억제, 그리고 DNA와 RNA를 손상시켜 결국 세포를 죽게 만든다 [6-8].
과도하게 축적된 ROS는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염분은 식물의 기공의 열림을 방해하여 이산화탄소의 고정을 억제시키고 superoxide radical,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그리고 singlet oxygen과 같은 활성산소종을 발생시킨다 [1-3]. ROS의 과도한 축적은 막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효소억제, 그리고 DNA와 RNA를 손상시켜 결국 세포를 죽게 만든다 [6-8]. 이러한 염분에 의해 과도하게 축적되는 ROS의 해로운 역할을 제거하기 위하여 염분의 농도가 높은 지역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은 효과적인 항산화 방어기작을 발전시켜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ernandez, J. A., A. Campillo, A. Jimenez, J. J. Alarcon, and F. Sevilla (1999) Response of antioxidant systems and leaf water relations to NaCl in pea plants. New Phytol. 141: 241-251. 

  2. Foyer, C. and G. Noctor (2005) Redox homeostasis and antioxidant signalling: a metabolic interface between stress percep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s. Plant Cell. 17: 1866-1875. 

  3. Ozgur, R., B. Uzilday, A. H. Sekmen, and I. Turkan (2013) Reactive oxygen species regulation and antioxidant defence in halophytes. Funct. Plant Biol. 40: 832-847. 

  4. Jithesh, M. N., S. R. Prashanth, K. R. Sivaprakash, and A. K. Parida (2006) Antioxidative response mechanisms in halophytes: their role in stress defence. J. Genet. 85: 237-324. 

  5. Sharma, S. S. and K. J. Dietz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l toxicity and cellular redox imbalance. Trends Plant Sci. 14: 43-50. 

  6. Yildiztugay, E., A. H. Sekmen, I. Turkan, and M. Kucukoduk (2011) Elucidation of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mechanisms of an endemic halophyte Centaurea tuzgoluensis under salt stress. Plant Physiol. Biochem. 49: 816-824. 

  7. Gratao, P. L., A. Polle, P. J. Lea, and R. A. Azevedo (2005) Making the life of heavy metalstressed plants a little easier. Funct. Plant Biol. 32: 481-494. 

  8. Moller, I. M., P. E. Jensen, and A. Hansson (2007) Oxidative modifications to cellular components in plants. Annu Rev. Plant Biol. 58: 459-481. 

  9. Bae, J.-J., H.-S. Yoon, Y.-S. Choo, and S.-D. Song (2003) The responses of antioxidative enzymes and salt tolerance of Atriplex gmelinii. Korean J. Ecol. 26: 273-280. 

  10. Folin, O. and W. Denis (1912) On phosphotungastic 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1. Blois, M. S. (199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2. Kooy, N. W., J. A. Royall, H. Ischiropoulos, and J. S. Beckman (1994) Peroxynitrite-mediated oxidation of dihydrorhodamine 123. Free Radic. Biol. Med. 16:149-156. 

  13. Hansen, M. B., S. E. Nielsen, and K. Berg (1989) Re-examin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a precise and rapid dye method for measuring cell growth/cell kill. J. Immunol. Meth. 119: 203-210. 

  14. Okimoto, Y., A. Watanabe, E. Niki, T. Yamashita, and N. Noguchi (2000) A novel fluorescent probe diphenyl-1-pyrenylphosphine to follow lipid peroxidation in cell membranes. FEBS Lett. 474: 137-140. 

  15. Milne, L., P. Nicotera, S. Orrenius, and M. Burkitt (1993) Effects of glutathione and chelating agents on copper-mediated DNA oxidation: Pro-oxida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glutathione. Arch. Biochem. Biophys. 304: 102-109. 

  16.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17. Hong, J.-H., J.-L. Jeon, J.-H. Lee, and I.-S. Lee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57-662. 

  18. Kim, Y. J., J.-A Jeong, S.-H. Kwon, and C. H. Lee (2008)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and solvent fractions in Cornus kousa Buerg. Korean J. Plant Res. 21: 28-35. 

  19. Lee, M. A, H. J. Choi, J. S. Kang, Y. W. Choi, and W. H. Joo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J. Life Sci. 18: 220-227. 

  20. Choi, S. J., E. Cho, E. Cho, Y. Jeong, C. S. Ku, B. Ha, and H. J. Chae (2011) Screening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solvent fractions of apple flower leaf extract. KSBB Journal 26: 165-171. 

  21. Jeon, S.-M., J.-Y. Lee, H.-W. Kim, Y.-M. Lee, H.-H. Jang, K.-A Hwang, H.-R. Kim, and D.-S. Park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Aster scab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197-1204. 

  22. Gulcin, I., V. Mshvildadze, A. Gepdiremen, and R. Elias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saponins isolated from ivy: ${\alpha}$ -hederin, hederasaponin-C, hederacolchiside-E and hederacolchiside-F. Planta Med. 70: 561-563. 

  23. Zhu, Y. Z., S. H. Huang, B. K. H. Tan, J. Sun, M. Whiteman, and Y.-C. Zhu (2004) Antioxidants in Chinese herbal medicines: a biochemical perspective. Nat. Prod. Rep. 21: 478-489. 

  24. Xi, M., C. Hai, H. Tang, M. Chen, K. Fang, and X. Liang (2008) Antioxidant and antiglycation properties of total saponins extracted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used to treat diabetes mellitus. Phytother. Res. 22: 228-237. 

  25. Brewer, M. S. (2011) Natural antioxidants: sources, compounds, mechanisms of action, and potential applications. Compr. Rev. Food Sci. Food Saf. 10: 221-247. 

  26. Oroian, M. and Escriche, I. (2015) Antioxidants: Characterization, natural sources, extraction and analysis. Food Res. Int. 74: 10-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