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화문 월대 부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석재공급지 추정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used in the Woldae of Gwanghwamu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0 no.1, 2019년, pp.46 - 55  

박성철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박상구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김성태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김재환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  좌용주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광화문 월대로 사용된 석재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를 활용한 석재공급지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월대는 2010년에 일부 구간이 다시 복원된 것으로 원부재인 담홍색 화강암과 신석재인 회백색 화강암이 사용되었다. 석재공급지 추정을 위해 북한산과 수락산의 지질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채취한 시료는 모두 담홍색 화강암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전암대자율은 북한산에 비해 수락산의 값이 크고 암석의 색에서 부분적인 차이를 보이지만 수락산이 상대적으로 선명한 담홍색을 띤다. 수락산은 월대에 사용된 원부재와 비슷한 암석기재적 특징, 전암대자율, 역사적 사료 그리고 야외조사 시 발견된 채석흔적 등을 통해 최종 복원용 석재공급지로 판단된다. 물성시험 결과, 월대 원부재는 풍화로 인해 147 MPa로 다소 낮은 수치를 보이며 석재공급지로 생각되는 수락산은 244 MPa 높은 값을 보여 안정성까지 확보되어 양질의 석재로 사용 가능하다. 수락산 일대는 주거지역이 일부 포함 되어 있어 행정적인 문제, 자연파괴, 인근 주민 생활권 침해가 발생하여 채석활동은 어렵다. 또 다른 대안으로 QAP조성, 광물조직, 암색 등의 암석학적특징 및 물리적 특성까지 유사한 중-조립질 담홍색화강암의 포천 창수석과 영중석을 제안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tone materials used in the Woldae of Kwanghwamun gate to estimate their provenances. The Woldae was partly reconstructed in 2010 using red-colored original stone and greyish new stone. We carried out geological survey in Mt. Bukhan (Bukhansan) and Mt. Surak (Sura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자는 청사 정문의 신축 년도(1926년)를 고려하기 전 1915년 개최된 조선물산공진회의 전경도에서 광화문 정면 월대 대신 다른 구조물이 세워진 것으로 묘사 되었으며, 최소 1915년 이전 월대가 파괴된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고종 2년(1865)년, 광화문이 중건되었을 시기를 월대의 최종 정비(혹은 복원) 시점 으로 보고자 한다.
  • 이 과정에서 대량의 석재가 필요한 것은 당연한 일이며 월대의 본래 가치를 살리기 위해서는 조선시대에 사용했던 석재의 공급지를 찾고 그곳의 암석을 조달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월대 부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주변지역의 지질조사를 통해 당시의 석재공급지를 추정하는 것이며 추가적으로 물성시험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사용가능한 석재의 재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 비록 경복궁의 발굴시료와 월대 원부재의 연관성에 대한 사료적인 명확한 연결고리는 아쉬움이 남지만 최종적으로 경복궁과 월대(광화문) 모두 조선시대, 특히 고종 후기에 이루어진 경복궁의 마지막 중건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과거 어디서 석재를 공급했는지에 관한 충분한 개연 성이 있는 자료를 완성하게 된 좋은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뿐만 아니라 관련 절차와 환경보호로 채석이 곤란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면 포천의 석재를 대체 석재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분명히 알릴 수 있어 그것 역시 월대 복원을 위한 석재공급지의 대안이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접적인 파괴가 발생할 수 있는 사건인 두 가지는 무엇인가요? 여기서 월대가 광화문의 변천사에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가정했을 때 두 번의 직접적인 파괴가 발생할 수 있는 사건이 있다. 바로 임진왜란(1592년)과 조선총독 부청사 정문의 신축(1926년)이다. 전자의 경우 광화 문의 중건이 1865년에 이루어졌으며 조선고적도보의 경복궁배치도에 광화문 월대를 나타낸 것을 보면 당시에 월대가 형태를 갖추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광화문 월대는 어떤 형태인가요? 광화문 월대(Fig. 1A)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57에 건설된 광화문(사적 제117호)의 앞에 이어진 길이 약 10.4 m, 너비 29.7 m에 달하는 넓은 단(壇) 형태이다. 월대(月臺)란, 궁궐 내 일반적인 건물과는 격이 다른 건물로서 주요 궁중행사를 할 수 있도록 건물 앞에 넓게 마련된 대(臺)라고 할 수 있다(Lee and Son, 2017).
월대(月臺)는 무엇인가요? 7 m에 달하는 넓은 단(壇) 형태이다. 월대(月臺)란, 궁궐 내 일반적인 건물과는 격이 다른 건물로서 주요 궁중행사를 할 수 있도록 건물 앞에 넓게 마련된 대(臺)라고 할 수 있다(Lee and Son, 2017). 광화문 월대의 제작 시기에 대해서는 광화문이 1395년(태조 4년)에 경복궁의 정문으로 축조되었다는 것과 달리 명확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다소 불분명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10.1016/j.culher.2004.01.006 Capedri, S. and Venturelli, G. , 2005, Provenance determination of trachytic lavas, employed as blocks in the Romanesque cathedral of Modena (Northern Italy), using magnetic susceptibility and petrographic and chemical parameters ,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6, 7-19. 

  2. CH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991, Stone quality analysis experiment of Gyeongbokgung Palace , Korea, p. 710(in Korean). 

  3. CH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1, Reconstruction report of Gwanghwamun Gate area of Gyeongbokgung Palace , Korea, p. 710(in Korean). 

  4. Eom, T.U. , 2007, The Weathering Index and Prediction of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for Chung-Ju Granite ,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p. 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ong, S.H. , Lee, B.J. and Hwang, S.K. , 1982,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Seoul Sheet(1:50,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p. 19 (in Korean). 

  6. Iliiev, I.G , 1966, An attempt to estimate the degree of weathering of intrusive rocks from their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16, 135-140. 

  7. Ishihara, S. , 1977, The magnetite-series and ilmenite-series granitic rocks . Mining Geology, 27, 293-305. 

  8. 10.7854/JPSK.2015.24.3.193 Jo, Y.H. and Lee, C.H. , 2015, Analysis of Ancient Document and Establishment of Petrological Database for Presumption of Stone Source Area of the Seoul City Wall, Korea ,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193-20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wa, Y.J. , Lee, S.W. , Kim, J.S. and Sohn, D.W. , 2000, Source area of stones used for the stone buildings of Bulguksa Temple and Seokguram Grotto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36, 335-34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B.J. , Kim, Y.B. , Lee, S.R. , Km, J.C. , Kang, P.J. , Choi, H.Y. and Jin, M.S. , 1999, Explanatory note of the Seoul-Namchonjeom Sheet (1:250,000),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p. 64(in Korean). 

  11. Lee, C.H. , Kim, Y.T. and Lee, M.S. , 2007,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Five Storied S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43, 183-19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H.J. and Son, S.Y. , 2017, The Palaces Weoldae (月臺) structure,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and related rituals. the study of the eastern classic, 67, 379-4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S.G. and Lee, S. , 1995, A Suggested Method to Predict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Korean Granites by Schmidt Hammer Value ,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5, 1015-102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Y.J. , 2012, Assessment and Calibration of Ultrasonic Measurement Errors in Estimating Weathering Index of Stone Cultural Heritage ,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p. 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10.5467/JKESS.2012.33.2.126 Lee, Y.J. , Kim, Y.S. , Lee, M.H. , Han, J.H. and Kiim, M.S. , 2012, Assessment and Calibration of Ultrasonic VelocityMeasurement for Estimating the Weathering Index of Stone Cultural Heritage ,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126-13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10.7854/JPSK.2014.23.4.367 Moon, S.W. , Kim, M.J. , Kim, J.J. and Jwa, Y.J. , 2014,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the Rampart of the Yeongsaneupseong ,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3, 367-37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Park, S.G. , Park, S.C. , Kim, J.W. and Jwa, Y.J. , 2017,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Outer Rampart of the Namhansanseong Fortress, Korea ,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6, 353-36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10.5467/JKESS.2018.39.3.250 Park, S.G. , Kim, S.T. , Kim, J.H. , Kim, S.H. , Baek, Y.R. , Kim, J.W. and Jwa, Y.J. , 2018,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the Jeolla Usuyeong Rampart, the Republic of Korea ,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9, 250-25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Š astná, A., Přikryl, R., Jehlička, J., 2009, Methodology of analytical study for provenance determination of calcitic, calcite-dolomitic and impure marbles from historical quarries in the Czech Republic,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10, 82-93. 

  20. 10.2465/ganko.93.411 Uchida, E. , Ogawa, Y. and Nakagawa, T. , 1998, The Stone materials of the Angkor monuments, Cambodia: the magnetic susceptibility and the orientation of the bedding along of the sandstone , Journal of Mineralogy Petrology and Economic Geology, 93, 411-426. 

  21. Yang, H.J. , Lee, C.H. , Choi, S.W. and Lee, M.S. , 2006,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 for Rock Properties of the Stone Pagoda in Mireuksaji Temple Site, Iksan, Korea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 293-30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