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민 만족도 분석을 통한 대중교통전용지구 도입 평가 연구
Analysis on Effectiveness of Transit Mall by Visitor Perception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4 no.4, 2016년, pp.330 - 340  

정헌영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상용 (부산광역시청 대중교통과) ,  임성범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중교통전용지구 도입 목적 달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현재 운영중인 3개 도시의 대중교통전용지구에 대한 운영상황을 비교 검토하고, 2015년 가장 최근에 도입된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방문객의 만족과 불만족을 판별하는 요소들을 도출하는 판별모형식을 제안하였다. 국내 도입된 3개 도시를 비교 검토한 결과 도시별로 운영방식이 다르며, 서울의 경우는 교통수요관리, 부산의 경우는 보행환경, 대구의 경우는 대중교통 이용 접근성이 타도시 보다 높은 수준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부산의 대중교통전용지구 도입 목적 달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판별모형식을 통해 상권 활성화 여부가 만족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유용한 변수이고, 버스 이용편의 증대 여부, 교통위험성 증가 여부, 보행자 수 증가 여부, 상가방문자 증가 여부의 순으로 판별력이 높은 변수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각종 event 행사와 상가 주민과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의 상권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일반차량의 통행제한 시간 확대, 도시철도와 연계하는 방안 마련 등 교통여건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objective of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ransit mall.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operational status of transit malls in operation (Daegu, Seoul and Busan). For the city of Busan where the latest transit mall became operational in 2015, a discriminant model was propo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가장 최근에 대중교통전용지구가 도입된 부산을 대상으로 대중교통전용지구 만족도를 조사하여 목적 달성 여부를 판단하고 문제점 도출과 향후 발전 과제를 제시하는 것으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중인 대중교통전용지구에 대해 보행환경, 교통환경, 상권 변화 등 다양한 부분에서 대중교통전용지구 목적을 달성하였는지를 판단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대중교통전용지구 운영 만족과 불만족을 판별하는데 유요한 요소들을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통해 추출하고자 한다. 또한 추출된 요소들의 만족과 불만족의 원인을 규명하여 대중교통전용지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에 개통하여 운영중인 부산의 대중교통전용지구를 대상으로 시민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전용지구의 만족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보행환경 변화, 교통여건 변화, 상권 변화 여부에 대한 항목을 설정하였는데, 이에 대한 개념의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 중에 있는 대중교통전용지구에 대한 도입 목적 달성 여부를 진단하고 향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중인 대중교통전용지구에 대해 보행환경, 교통환경, 상권 변화 등 다양한 부분에서 대중교통전용지구 목적을 달성하였는지를 판단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교통전용지구 정책이란? 이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대중교통전용지구(Transit Mall)를 언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도심지에 승용차를 포함한 일반 차량의 진입을 억제하는 교통수요관리 정책과 노선버스 증설, 승하차 시설 정비 등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정책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다. 또한 그 동안 자가용 승용차에게 할애된 공간을 보행자에게 돌려줘 보행자들이 쾌적한 도심환경을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상권 활성화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정책이다.
대중교통전용지구를 통해 추진할 수 있는 것은? 이 같은 노력의 일환으로 대중교통전용지구(Transit Mall)를 언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도심지에 승용차를 포함한 일반 차량의 진입을 억제하는 교통수요관리 정책과 노선버스 증설, 승하차 시설 정비 등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정책을 동시에 추진할 수 있다. 또한 그 동안 자가용 승용차에게 할애된 공간을 보행자에게 돌려줘 보행자들이 쾌적한 도심환경을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상권 활성화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정책이다.
대구의 대중교통전용지구 운영 사례는? 대구의 경우 일반차량 통행을 24시간 제한하고 있으며, 택시의 경우 야간 21시부터 익일 오전 10시까지 통행을 허가하고 있다. 또한, 조업차량에 대해서는 사전에 통행을 허가받아 09시부터 11시, 15시부터 17시까지 2회에 거처 허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n Y. S., Oh S. Y. (2015),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Pedestrian Accessibility by Constructing the Transit Mall around Sinchon Subway Station,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50(3), 243-256. 

  2. Ji O. S. (2009), Development of Methods to Evaluate Pedestrian Environments, J. Korean Soc. Transp., 27(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7-14. 

  3. Kim S. E., Lee J. S. (2015), Analysis of the Impacts of the Transit Mall Project on the Street Environment and the Degree of the Pedestrian Satisfaction,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6(2), 45-60. 

  4. Kim T. H., Shin Y. C, Sung H. G. (2013), The Relationship of Distance-based TOD Planning Elements to Public Transit Ridership in Seoul Subway Station Areas,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2), 51-64. 

  5. Lee H. Y. (1997), A Study of Land Use Changes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urrounding Area of KonKuk Subway St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Accessibility, Journal of Korea Geographical Society, 32(1), 69-90. 

  6. Lee S. H. (2012), Improvement of Analysis Method for Pedestrian LOS on Sidewalk in Seoul, J. Korean Soc. Transp., 30(3),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7-15. 

  7. Moon Y. I., Rho J. H. (2012), A Develop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Model on Seoul Subway Station Area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47(1), 149-160. 

  8. Park J. I., Chang J. S. (2014), Weights of Attributes in Creating Transit Malls, J. Korean Soc. Transp., 32(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30-138. 

  9. Sung H. G., Hwang B. H., Park J. H. (2012), Empirical Analysis of Travel Behavior Change by TOD Planning Elements Through Applying Multi-level Regression Modeling,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47(3), 265-278. 

  10. Yi C. J., Jang S. M., Lee S. I. (2013), Defining the Spatial Range of a Subway Catchment Area by Walking in Consideration in Moving Distance Within Station Building,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3), 235-248. 

  11. Yun N. Y., Choi C. G. (2013),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Pedestrian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mmercial Streets in Seoul,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4), 1-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