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견갑 - 골반 동시 사용 패턴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요소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Using Scapular-Pelvic Patterns Simultaneously to Improve the Components of Gait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v.14 no.2, 2016년, pp.75 - 81  

김승지 (대구 보훈 노인센타) ,  최재원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정현애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used a comparative analysis to propose the effectiveness of using scapular and pelvic pattern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simultaneously (USPS) on the components of gait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Subjects who signed a written consent form to particip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런 긍정적인 효과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뇌졸중 환자에게 PNF패턴의 USPS을 적용하였을 때에 대한 연구결과는 많지 않기에 본 실험을 통해 뇌졸중 환자에게 USPS 훈련이 보행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발생이 점점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뇌졸중은 서구화된 생활과 함께 식습관의 변화, 스트레스 증가로 인해 발생이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발병하는 연령대도 점차 낮아져 청⋅장년층에도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뇌졸중 후유증세로 인해 가정에서의 생활에 대한 불편과 사회적인 참여부분에서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되고 있다 (Kim et al, 2002)
뇌졸중 환자가 느끼는 보행의 이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독립적인 일상생활의 기본이 되는 보행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균형능력과 근력의 저하로 인해 생활에 어려움을 나타낸다(Wall & Turnbull, 1986). 뇌졸중 환자에게서 큰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되는 보행의 이상은 일반적으로 보행속도의 감소, 보행주기의 단축, 양측 하지 근력과 협응력의 불균형, 활보장의 차이, 짧아진 환 측의 입각기 시간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Mauritz, 2002). 뇌졸중 환자의 낙상은 이런 보행의 여러 문제점들로 인한 뇌졸중 환자들의 2차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Holt et al, 2000).
뇌졸중은 환자에게 어떤 어려움을 일으키는가? 독립적인 일상생활의 기본이 되는 보행에서도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균형능력과 근력의 저하로 인해 생활에 어려움을 나타낸다(Wall & Turnbull, 1986). 뇌졸중 환자에게서 큰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되는 보행의 이상은 일반적으로 보행속도의 감소, 보행주기의 단축, 양측 하지 근력과 협응력의 불균형, 활보장의 차이, 짧아진 환 측의 입각기 시간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Mauritz,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Gill-Body KM, Beninato M, Krebs DE. Relationship among balance impairments, functional performance, and disability in people with peripheral vestibular hypofunction. Physical Therapy. 2000;80(8):748-758. 

  2. Bohannon Rw, Mortom MG, Wikholm JB. Importance of four variables of walking to patients with stroke.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991;14(3):246-250. 

  3. Choi JW, Chung HA, Bae SS, et al. Biomechanical analysis of scapular pattern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1999;11(3):65-69. 

  4. Choi JW, Bae SS, Chung HA, et al. Biomechanical analysis of pelvic pattern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1999;11(1):137-141. 

  5. Choi JW. The influence of different types of trunk rotation exercise on posture and gait in the individuals with malalignment syndrome.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9. 

  6. Choi JH, Kim JS.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s on the gait for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1999;11(1):121-127. 

  7. Dickstein R, Nissan M, Pillar T, et al. Foot-ground perssure pattern of standing hemiplegic patients:Major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improvement. Physical Therapy. 1984;64(1);19-23. 

  8. Dietz B. Let's sprint, Let's Skate. Innovation im PNF-Konzept. New York. Springer. 2009. 

  9. Eng JJ, Chu KS, Kim CM, et al. A community-based group exercise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strok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Exercise. 2003;35(8);1271-1278. 

  10. Harris JJ, Eng JJ, Marigold DS, et al. Relationship of balance and mobility to fall incidencein people with chronic stoke. Physical Therapy. 2005;85(2):150-158. 

  11. Hatch J, Gill-Body KM, Portney LG. Deteminants of balance confide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Physical Therapy. 2003;83(12);1072-1079. 

  12. Holt RR, Simpson D, Jenner JR, et al. Ground reaction force after a sideways push as measure of balance in recovery from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000;14(1):88-95. 

  13. Kawahira, K, Simodozone, M, Ogata A, et al. Addition of intensive repetition of facilitation exercise to multidiscipliplinary rehabilitation promotes motor functional recovery of the hemiplegic lower limb.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4;36(4):159-164. 

  14. Keenan MA, Perry J, Jordan C. Factors affecting balance and ambulation following stroke. Clinic orthopaedic & Related Reserch. 1984;182:165-171. 

  15. Kim BJ, Koo BO, Kim CS, et al. The necessity of skilled nursing facilities for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2;14(4):75-86. 

  16. Kim YH.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the balance and gait in the patients with stroke.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0. 

  17. Kim JP. The effect of balance exercise on postural control and shooting record in archers.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2008;18(2):65-74. 

  18. Kim TY. The effect of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the sprinter/skater patterns. The Journal of Korea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2006;4(1):71-79. 

  19.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3rd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1996. 

  20. Klein DA, Stone WJ, Phillips WT, et al. PNF training and physical function in assisted-living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2002;10(4):476-488. 

  21. Koo BO, Kwon MJ, Kim GT, et al.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Seoul. Dahak seorim. 2009. 

  22. Lipert J, Brouder H, Miltner WHR, et al. Treatment-induced cortical reorganization after stroke in humans. Stroke. 2003;31(6):1210-1216. 

  23. Lord SE, McPherson K, McNaughton HK, et a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 ableis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2004;85(2);234-239. 

  24. Mauritz KH. Gait training in hemiplegia.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002;9(S1):23-29. 

  25. Munn J, Herbert RD, Gandevia SC. Contra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04;96(5):1861-1866. 

  26. Na SH. The difference of foot pressure distributions and muscle activity during the coordinated movement patterns. Korea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10. 

  27. O'Sullivan S, Schmitz T.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1988. 

  28. Wall JC, Turnbull GI. Gait asymmetries in residual hemiplegi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1986;67(8):550-553. 

  29. Wang RY. Effect of propr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the gait of patients with hemiplegia of long and short duration. Physical Therapy. 1994;74(12):1108-11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