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대학생의 인식체형, 식행동, 체질량지수 및 섭식장애 경향
Body Mass Index, Self-recognized Body-type, Eating Habits, and Eating Disorders of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7 no.3, 2016년, pp.495 - 508  

이승교 (수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송진 (수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gnize the need for diet and nutrition education to correct body-shape and eating habits that lead to eating disorders in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and obesity was confirmed. Approximately 405 (male 46.4%, female 53.6%) students were evaluated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의 올바른 인식체형과 식행동을 형성하는데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경기와 강원지역에 재학 중인 일부 대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인식체형, 체질량지수, 식행동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이런 요인이 섭식장애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경기와 강원지역에 재학 중인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성별, 전공에 따라 인식체형, 체질량지수, 식행동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 이런 요인이 섭식장애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결과로서 올바른 인식체형과 식행동을 형성하는데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경기와 강원지역에 재학 중인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성별, 전공에 따라 인식체형, 체질량지수, 식행동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 이런 요인이 섭식장애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결과로서 올바른 인식체형과 식행동을 형성하는데 대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녀대학생의 자신의 비만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그럼에도 신체상에 대한 기준이 마른체형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다(Lim 2010). Hwang et al.(2002)은 성에 따른 차이를 말하여 남학생은 자신의 비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여학생은 비만하지 않음에도 비만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으로 객관적인 체질량지수와 자기평가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으며, Lee(2013)는 남녀대학생에서 모두 자신의 체형에 대한 바른 인식이 부족하다고 주장하였다. 많은 여성들이 방송매 체나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과 비만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불필요한 체중조절을 시도하며 대상자의 대부분이 저체중군, 정상 체중군인데도 불구하고 대부분 자신을 과체중으로 인식하고 있으며(Sung 2005), 특히 여대생들은 체중이나 체형에 대한 정확한 인식 없이 주관적인 자신의 체형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객관적으로 비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기 자신이 비만이라고 잘못 판단하는 인식체형이 확산되고 있으며(Park et al.
여성들이 잘못된 체형에 대한 인식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2002)은 성에 따른 차이를 말하여 남학생은 자신의 비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여학생은 비만하지 않음에도 비만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으로 객관적인 체질량지수와 자기평가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으며, Lee(2013)는 남녀대학생에서 모두 자신의 체형에 대한 바른 인식이 부족하다고 주장하였다. 많은 여성들이 방송매 체나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과 비만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불필요한 체중조절을 시도하며 대상자의 대부분이 저체중군, 정상 체중군인데도 불구하고 대부분 자신을 과체중으로 인식하고 있으며(Sung 2005), 특히 여대생들은 체중이나 체형에 대한 정확한 인식 없이 주관적인 자신의 체형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객관적으로 비만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기 자신이 비만이라고 잘못 판단하는 인식체형이 확산되고 있으며(Park et al. 1995a; Kim 2002; Kim & Kim 2010), 체질량지수가 정상체중에 속함에도 더 날씬해지기 위해 잘못된 체중조절 방법을 사용한다고 한다(Kim et al.
식행동 점수에서 거주 형태에 따른 비교결과는 어떠한가? 01). 거주 형태에 따라서 비교한 결과는 자가 거주가 기타 형태보다 식생활에서는 모두 점수가 높아 자가에서 거주할 경우 식생활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G(2011) The effect of stress experiences on abnormal eating behavio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stress res 19(3) 213-220 

  2. Bang SY, Kim SY, Yang KM(2010) Influencing factors on eating disorders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emic Soc Nursing Educ 16(2), 265-271 

  3. Bridget DJ, Hubert L, Chris E(1990) Eating behavior and attitudes to weight and shape in British women from three ethnic groups. British J Psychiatry 157, 523-528 

  4. Buddeberg-Fischer B, Bernet R, Sieber M, Schmid J, Buddeberg C(1996) Epidemiology of eating behaviour and weight distribution in 14-to 19-year-old Swiss students.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93(4), 296-304 

  5. Choi H(2008) Eating disorder and dieting differently affect eating behavior in high school girls.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6. Garner DM, Olmsted MP, Bohr Y, Garfinkel PE(1982) The eating attitudes test; 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ologic Med 12(4), 871-878 

  7. Hwang JK, Kim HK, Kong HS, Yoon HJ, Hwang YH, Lee KY, Jung YS, Lee SK, Park HY, Kim KW, Choi WC(2002) The self-assessment of obesity in Korean Adults. J Korean Soc Obesity 11(4), 349-355 

  8. Hwang SH, Cho JH, Choi BI(2004) Effect of body mass index on eating disorder in college females. J Korean Physical Edu Asso Girls Women 18(4), 59-69 

  9. Jang JS, Hong MS(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habits, life habits, physical symptoms and body composition of university students by gender differences in Incheon city. Korean J Food Nutr 26(4), 928-935 

  10. Jung YJ(2009) A study of weight control,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education with different body image in female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11. Kim DH, Kim KH(2010) The study of satisfaction of somatotype for women in twenties on perceived somatotype, appreciated somatotype by other people, ideal somatotype -based on the obesity index- Seoul Design Forum Soc 16(2), 82-97 

  12. Kim HK, Kim JH, Jung HK(2012) A comparison of health related habi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blood composition according to gender and weight status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J Nutr Health 45(4), 336-346 

  13. Kim HS, Jang JH, Lee KM, Jung SP, Keum SH(2015) Association between actual or perceptional weight status and mental health issues in adolecents in Korea. Korean J Health Promot 15(3), 129-135 

  14. Kim KH(2006) Comparisons of Dietary, Living Habits and Blood Parameters in Underweight and Overweight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1(4), 366-374 

  15. Kim OS(2002) BMI, body attitude and dieting among college women. J Korean Acad Soc Adult Nurs 14(2), 256-264 

  16.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J Korean Soc Study Obes Seoul: Oriental Medicine Publishing Co. 7-11 

  17. Lee HJ(2013) Influence on in-dorm university students' body-shape perception, obesity, and weight control toward obesity stress. J Digital Convergence 11(11), 573-583 

  18. Lee JH, Kim JS, Lee MY, Chung SH, Chang KJ(2001) A study on weight-control experience, eating disorder and nutrient intake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via the internet. Korean J Community Nutr 6(4), 604-616 

  19. Lee KH, Kim SK, Chun KJ, Han SH(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disorder and self- esteem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9(4), 390-399 

  20. Lee SH(2010) Weight control state and related factors concerned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to female living in city.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21. Lim SH (2010) A study on type of body management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body perception in young women - centered on women in their 20s-30s -.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22. Lim HH (2015) A study on bakery consumption value as life style of single households - mainly with 20s and 30s -.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pp82 

  23. Park HS, Lee HO, Sung CJ(1997) Body image, eating problems and dietary intak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urban area of Korean. J Community Nutr 2(4), 505-514 

  24. Park KA(2009) Dietary habits, body weight 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yungnam province. East Asian Soc Diet Life 19(6), 891-908 

  25. Park SJ, Min HJ(2012) The impact of somatotype satisfaction on restrained eating and eating disorder in female dance majors. Korean J Dance 70(4), 27-45 

  26. Park YS, Lee YW, Choi KS(1995a) Objectivity of self-evaluated obesity and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among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Diet Culture 10(5) 367-375 

  27. Park YS, Lee YW, Hyun TS(1995b)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by type of residence among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Diet Culture 10(5). 391-404 

  28. Rhee MK, Go YT, Lee HK, Whang EJ, Lee YH(2001) A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Korean J psychosomatic medicine 9(2), 153-163 

  29. Rhie SG, Jung EH, Won HR, Kang HY (2009) The study on weight, food group intake and tendency of eating disorder of adolecents in Osan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 liv sci 20(2) 157-168 

  30. Ryu HK(1997) A survey of adolescents' concern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 at Miryang city -. Korean J Community Nutr 2(2), 197-205 

  31. Song GA, Park JS(2003) Eating habits, trend of disordered eating, weight reduction practice and body size evaluation of college sudents in Seoul. Korean J Women Health Nurs 9(4), 457-466 

  32. Song HJ, Moon HK (2014) Body image and nutrient intakes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by the risk of eating disorder. Korean Public Health Res 40(2), 13-29 

  33. Sung MH(2005) Relationship among eating disorders, physical symptoms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women. J Korean Soc Maternal Child Health 9(2), 155-166 

  34. Statistics Korea (2013) In 2012 more than return to Korea. Available from http://hikostat.kr/20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