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체형인식과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 태도,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식행동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Body Weight Control,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y Self-perception on Body Image and Obesity Index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10, 2005년, pp.1559 - 1565  

진정희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장경자 (인하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터넷을 통해 체중조절에 관한 영양교육을 수강한 전국 규모의 대학생 871명(남 330명, 여 541명)을 대상으로 체형 인식과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 태도,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식행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인터넷상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들의 남녀 평균 신장은 한국인 체위기준치와 비교하여 남녀 모두 기준치와 거의 같았으나 체중은 기준치와 비교할 때 남학생이 약간 높았고 여학생은 기준치와 거의 같았다. 비만도에 따른 체중군의 분포는 남녀 학생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여서 남학생은 정상체중군이거나 과체중군이 많은 반면에 여학생은 정상체중군이거나 저체중군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형 인식, 체중 조절 필요성과 체증변화 노력 유무에 남녀 학생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여서 여학생이 자신을 뚱뚱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매우 높고 외모에 치중하여 체중변화에 대한 노력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생활습관 중 운동시간, 음주정도, 흡연정도에서 비만도에 따른 체중군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여서 저체중 이하나 과체중 이상의 학생군은 정상체중 학생군에 비하여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과체중 이상의 학생군에서 평소 음주량이 많았고, 흡연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조절 방법에 대한 인식으로 다이어트 전문회사의 체중관리 프로그램 참여를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병원의 비만클리닉 이용에 대해서는 체중군간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대학생 시기에 잘못된 체형인식, 생활습관이나 식행동으로 인한 건강문제를 인지하고 대학생에게 올바른 체중조절 태도,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식행동을 교육할 수 있는 제도적 노력이 요구된다.고,-77$^{\circ}C$ 저장온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성 있는 변화량을 나타내었다(p < 0.05). 실험군의 압착육즙 내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의 활성은 10분간 흡광도 변화량을 조사함으로써 계산되었다. 등심을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호소반응개시 3분 후에 -4$^{\circ}C$에서 동결우육을 제외하고 동결우육의 효소 활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5분 반응 후에는 그 효소의 활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냉장우육은 12분까지 활성을 측정할 수 있었다. 15일간 냉장우육 및 냉동우육을 저장 온도에 따라 저장하면서 그 활성을 측정하였는데, 저장 기간이 길어져도 그 효소활성의 차이는 유의적으로 변화하지 않고, 모든 실험군(사태, 등심, 양지, 우둔 부위 )에서 유의적으로 유사한 활성을 유지하였다(p < 0.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mitochondrial malate dehydrogenase의 활성을 이용하여 냉장우육과 냉동우육 유무를 판별하는데 유효한 지표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나타냈고 시료투여군인 SOL 및 SOH는 CMT보다 우수하지는 않았으나 약 $35\∼42\%$ 정도의 궤양억제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지유의 항위염 및 항궤양효과는 항산화물질에 의한 결과로 판단되어지며, 앞으로 위염 및 위궤양 개선을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개발이 기대된다$ (0.5000) and $TF^{F2}$ (0.4950) 대립유전자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D^{cgm(f)}$ (0.0196),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body weight control,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y their perception on body image and obesity index. The subjects were 871 nation- wide college students (330 male and 541 female students) participa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영양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초· 중· 고에서 끝나버리고 이후 올바른 영양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하는 것으로, 올바른 영양지식을 가진 대학생 일수록 식습관이 좋다는 연구결과(11)를 고려할 때 지속적인 영양교육을 통하여 스스로 올바른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어야 함이 시급한 과제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체중조절에 관한 영양교육을 수강하는 전국 규모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형 인식과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 태도, 건강 관련 생활습관 및 식행동에 관해 살펴보고 이들의 올바른 식문화 형성을 위하여 바람직한 식행동 연구 및 체계적인 대학생 영양교육의 기초를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hin AS, Kim KS. 1995. A study on the dietary culture practi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at campus town in Pusan. J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5: 339-358 

  2. Lee YJ, Song KH. 1996. A study on the body fat content and serum lipids i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Nutr 25: 11-20 

  3. Kim WK, Lee KA. 1998. Effect of food behaviors on nutrients and food intake habits of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85-1296 

  4. Lyu ES. 1993.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Pusan. Korean J Dietary Culture 8: 43-54 

  5. Choi MJ. 1999. Studies on nutrient intake food habit of college students on Taegu. J Korean Nutrition 32: 918-926 

  6. Kim KN, Kim YH. 2004. Factors related to eating disorder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 83-98 

  7. Kim BR, Han YB, Jang EJ. 1997. A study on the attitude toward control, diet behavior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Community Nutrition 2: 530-538 

  8. Won HR. 1998.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ting attitude influenced by eating disorder and body shape, nutritional knowledge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Won Ju province. J Korean Soc Community Nutrition 3: 308-316 

  9. Yonhapnews. 2004. 3. 14. http://www.yonhapnews.co.kr 

  10. Lee YW, Park YS, Hyun TS. 1995.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by type of residenc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0: 391-404 

  11. Kang NE, Song YS. 1991. Effects of un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n the nutrient intakes in college women and their mothers. Korean J Food & Nutrition 4: 35-44 

  12. Charney E, Goodman HC, McBride M, Lyon B, Pratt R. 1976. Childhood antecedents of adult obesity. N Engl J Med 295: 6-9 

  13. Pirie P, Jacobs D, Jeffery R, Hannan P. 1981. Distortion in self-reported height and weight data. J Am Diet Assoc 78: 601-606 

  14. Chang KJ. 2004. Information on Individualized Nutrition for Healthy Body Weight Control. Kyomunsa, Seoul. p 33 

  15.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7th ed 

  16. Lee YW, Park YS, Hyun TS. 1995.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by type of residence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0: 391-404 

  17. Lee YW. 1993. Dietary behaviors of local college students residing at dormitory, self-boarding and commuting from seoul. MS Thesis. Suncheonhyang University 

  18. Park YS, Lee YW, Choi KS. 1995. Objectivity of self-evaluated obesity and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0: 367-375 

  19. Yoo SJ 2004. The relationship of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status and behavioral factors to obesity in sample of Korean adult. MS Thesis. Yonsei University. p 1-87 

  20. Sekine M, Yamagami T, Handa K, Saito T, Nanri S, Kawaminami K, Tokui N, Yoshida K, Kagamimori S. 2002. A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short sleeping hours and childhood obesity: results of the Toyama Birth Cohort Study. Child Care Health Dev 28: 163-170 

  21. Goo JY. 2004. A study of correlation among serum lipid levels, nutrient intakes and health related factors in obese men.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 1-69 

  22. Sunquist J, Johansson SE. 1998.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ethnicity and lifestyle on body mass index in longitudinal study. Int J Epidemiology 27: 57-63 

  23. Kim HY. 2003.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obesity status and acknowledgement. Korean Sport Research 14: 1417-1434 

  24. Kang JH, Kim NS. 2002. Secular trend of obesity prevalence in Korea. J Korean Soc Study of Obesity 11: 329-336 

  25. Han JH.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men's smoking and BMI. MS Thesis. Yonsei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