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누층군 셰일의 내구성 특성
Slaking Characteristics of shale in the Gyoungsang Super-group, Korea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6 no.3, 2016년, pp.315 - 324  

박성식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예성렬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교원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경상누층군 셰일에 대한 슬레이크 내구성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인자 즉, 시료형태, 시료개수, 회전속도, 총 회전수, 건조온도 및 수침용액의 산도 등을 제어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시료형태가 정육면체인 경우 가장 낮은 내구성 지수를 보였으며 부채꼴 시료가 가장 큰 내구성 지수를 보였고, 시료개수는 증가할수록 시료들 사이의 마찰이 증가하여 내구성지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회전속도는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내구성 지수는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시료 건조온도가 증가할수록, 수침용액의 산성도가 증가할수록 내구성 지수는 감소하였다. 대기 중에 노출되어 쉽게 풍화하는 특성 때문에 낮을 것으로 예상하였던 셰일의 내구성지수가 결정질 암석과 뚜렷한 차이가 없어서 기존의 실험법은 셰일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어 교결도가 양호한 경상누층군 셰일의 장기적인 내구성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새로운 내구성 실험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of a fissility characteristics of shale in the Gyoungsang super-group, it breaks down to debris when daylighted by construction work and causes a slope unstability. To assess the durability property of shale, a series of slake durability tests was conducted by controlling test conditions s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의 예에서 보듯이 셰일과 사암이 호층으로 분포하는 경우에는 셰일층의 빠른 풍화특성으로 인하여 상부에 놓인 사암층의 암괴를 낙석파괴(toppling failure) 시키는 사례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한 것으로 알려진 하양층군의 셰일을 대상으로 슬레이크 내구성 실험을 실시하여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의 경상누층군 셰일에 대하여 시료 형태, 시료 개수, 회전속도, 총 회전수, 건조온도 및 산성수 수침이 슬레이크 내구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드럼의 회전속도가 암석의 내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신선한 흑색 셰일에 대하여 총 회전수를 200회로 고정하고 회전속도를10, 20, 30rpm으로 변화하면서 각 4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셰일의 슬레이킹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ASTM에서 제안한 실험방법을 기준으로 실험관련 인자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연구방법에 정리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실험 인자를 변경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료의 모양, 개수, 그리고 드럼의 회전속도 및 건조온도가 셰일의 슬레이크 내구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ASTM에서 제안한 방법을 준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각각 5회까지 반복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실험 내용 중 회전속도, 총 회전수, 건조온도 및 산성용액 영향 평가를 위하여 수행한 실험에서는, 각 실험조의 10개의 시편을 10개의 코어에서 4등분한 시편을 하나씩 취하여 4조의 시편을 구성하여서 각 실험조사이의 시료오차를 최소화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gustawijaya, D.S., 2004, Modeled mechanisms in the slakedurability test for soft rocks, Civil Engineering Dimension, 5(2), 87-92. 

  2. ASTM., 2001, Procedures for testing soils (1964), Standard Test Method for Slake Durability of Shales and Similar Weak Rocks: D4644-87 (Reapproved 1992),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West Conshohocken, PA. 

  3. Baik, Y., Kim, G. W., and Koo, H. B., 2000, Construction Works and Slope Stability, Symposium on Assessment,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Geohazard, The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1-17. 

  4. Chang, K. H., 1977, Late mesozoic stratigraphy, sedimentation and tectonics of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3, 76-90. 

  5. Cho, H. J. and Park, J. H., 2016,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rocks in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 Unpublished B.Sc. thesis,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6. Deo, P., 1972, Shales as Embankment Materials, Unpublished Ph.D. Thesis, University of Purdue. 

  7. Franklin, J. A. and Chandra, R., 1972, The Slake-Durability Test,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 Geomechanics Abstracts, 9, 325-341. 

  8. Gamble, J. C., 1971, Durability-Plasticity Classification of Shales and other Argillaceous Rocks, Ph.D.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9. Kim, G. W., Paik, Y. S., and Park, D. K., 1999, Slope failures in sedimentary rocks in Kyoungsang basin, 11th Asian Regional Conference on SMGE, special publication, 135-140. 

  10. Kim, H. G., Kim, T. K., and Oh, K. H., 2010, Analysis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lake Durability of Fresh to Weathered Cretaceous Shal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0(3), 311-318. 

  11. Kim, J. H., Lee, M. S., Lee, M. H., Lee, J. M., and Park, S. M., 2011, A Study on Effects of Temperature for Physical Properties Change of rocks, Journal of Petrology Society of Korea, 20(3), 141-149. 

  12. Kim, J. S., 1988, Slake Durability Index of Weathered Rocks, M.Sc.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Kim, Y. S., Seo, I. S., Heo, N. Y., Lee, J. H., and Kim, B. T., 2001,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hales due to the Angle of Bedding Plane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17(1), 5-13. 

  14. Kwag, S. M., Jung, Y. W., and Kim, G. W., 2013, Engineering properties of red shale and black shale of Daegu area, Korea,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3(2), 341-352. 

  15. Kwon, O. I., Kim, G. W., and Park, D. G., 2000, Stability of a Natural Slope in Sedimentary Rocks,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0(3), 205-216. 

  16. Lee, H. W. and Lee, J. I., 1995, A Study on Thermal Shock, Thermal Expansion and Thermal Cracking of Rocks under High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5(1), 22-40. 

  17. Lee, J. Y., Kim, H. S., and Park, H. D., 2004, Assessment of Rock Mass Durability by the Slake Durability Test with Artificial Weathering Technology, Proceeding of 2004 Spring Conferenc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147-155. 

  18. Lee, S. J., No, S. I., and Yoon, J. S., 2001, A Study on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Pohang Area-Mudstone and Taegu Area-Black shal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38(4), 310-315. 

  19. Santi, P. M., 1998, Improving the Jar Slake, Slake Index, and Slake Durability Tests for Shales,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Geoscience, 4(3), 385-396. 

  20. Ulusay, R., 2014, SM for Determination of the Slake-Durability Index, The ISRM Suggested Methods for Rock Characterization, Testing and Monitoring; 2007-2014, Springer. 

  21. Wood, L. E. and Deo, P., 1975, A suggested system for classifying shale materials forembankments, 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ists, 12(1), 39-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