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화장품산업 가치사슬의 공간적 분포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s of Value Chain in Korean Cosmetic Industry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9 no.3, 2016년, pp.550 - 565  

구지영 (전남대학교 지리학과) ,  안영진 (전남대학교 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외 화장품의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4년 국내 화장품 산업의 총생산 증가율은 국내 총생산 및 제조업총생산의 증가율보다 높은 수준이다. 또한 해당 산업의 고용유발계수와 고용탄력성 역시 전체 제조업 평균보다 높아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산업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와 함께 최근 들어 점차 강화되는 한류 열풍으로 화장품 수출액과, 면세점 판매량 그리고 관광객의 한국화장품 구매량 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성장동력의 하나인 화장품산업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치사슬' 개념을 활용하였다. 화장품산업의 가치사슬을 구축하기 위해 포터의 가치사슬 개념, 가치사슬 단계별 지역적 분화를 표현한 무담비의 스마일곡선, ISO의 화장품 GMP, 화장품 사업체의 생산공정 등을 통합하여 연구개발, 원료제조, 용기제조, 화장품제조, 화장품판매로 이어지는 화장품 가치사슬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등록된 화장품 제조업 및 제조판매업 등록업체를 재분류하여 각 마디(node)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ize of Korean and global cosmetic industry market are consistently growing and the domestic cosmetic industry's rate of total production increase is higher than GDP in Korea. In addition, the Korean Wave has strengthened not only this phenomenon but also the increase of exports. For these rea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화장품산업의 변화를 포함하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틀인 화장품산업의 가치사슬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기존 화장품산업의 조사 분류를 검토하고, 국내외 화장품 사업체의 생산공정 분석 등을 행하였다. 이어서 이 연구는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제정된 화장품 생산관리공정(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과 가치사슬 이론을 적용하여 국내 화장품 산업의 가치사슬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두 번째로는 국내외 화장품 업체들의 생산과정 및 유통 체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화장품법에 의거하여 규정된 화장품 제조업체 및 제조판매업체중 무작위로 약 500여개 업체의 홈페이지 상에 공개된 생산과정을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관계자들과의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 각 단계는 하나의 마디(node)가 되며, 이를 기준으로 기업체들 간의 연계에 초점을 맞추어 분업과 가치의 산출 및 분배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가치사슬 개념은 급변하는 세계경제의 상황에서 OEM, ODM 등의 형태로 분업화되어있는 국내 화장품산업을 분석하고 그 역동적인 변화를 파악하는데 적합하므로, 국내 화장품산업의 가치사슬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이다. 이와 더불어 가치사슬을 활용한 산업의 공간적 분석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촉진제로서 화장품산업을 유치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 2012). 또한 이 개념은 상품의 생산에서 소비로 이어지는 가치사슬의 마디들과 기업들 간의 연계를 연구하여 세계경제에서의 국제적 분업과 가치 산출 및 분배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변화와 거버넌스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가치사슬 이론 및 국내 화장품산업과 관련된 자료를 종합하여 국내 화장품산업의 가치사슬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화장품 사업체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내 화장품산업의 가치사슬은 연구개발, 원료 제조, 용기 제조, 화장품 제조, 화장품 판매 노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간적 분석을 진행한 결과 지역별로 가치사슬 노드의 구성이 상이하며, 가치사슬 노드별 공간적 분포 역시 상이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급성장하고 있는 신성장 동력 산업의 하나인 화장품산업의 가치사슬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화장품 사업체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미래 유망 산업인 화장품산업에 대한 국내 현황을 효과적으로 조사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는데, 이를 통해 화장품산업에 대한 현황 파악 및 관련 후속연구에 기대할 수 있다.
  • 이상에서 파악된 화장품산업의 공정에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정한 GMP의 관리 범위를 적용해 보았다. GMP란 식품·의약품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품질 면에서 보증하기 위해 ISO(국제표준화기구)에 의해 인증된 제조·관리 기준으로, 제품을 제조·생산하는 전 공정을 관리 감독하는 제도이다.
  • 국내 화장품산업의 변화를 포함하는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틀인 화장품산업의 가치사슬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기존 화장품산업의 조사 분류를 검토하고, 국내외 화장품 사업체의 생산공정 분석 등을 행하였다. 이어서 이 연구는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제정된 화장품 생산관리공정(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과 가치사슬 이론을 적용하여 국내 화장품 산업의 가치사슬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이 밖에도 산업의 가치사슬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공간적 분포와 산업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연구가 다양한 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박경숙·이철우, 2010; 이경진, 2013; 이상욱·김경민,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정리된 가치사슬의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 화장품산업의 가치사슬 구조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화장품산업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앞서 살펴본 시도별 화장품 사업체 분포에 따르면, 화장품 판매업체는 주로 광역시급의 대도시지역에, 원료제조업체는 도 단위 지역에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지역의 규모(특히 인구)에 따른 화장품 가치사슬별 사업체의 분포를 분석해 보았다. 명확하고 통일된 구분기준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역의 규모(인구, 경제)를 가늠할 수 있는 읍·면·동 행정단위를 기준으로 화장품 사업체 현황을 비교해 보았다.
  • 화장품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며 각 지자체들도 화장품산업에 대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하여 경쟁을 벌이고 있으나,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은 수도권에 밀집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그 밖의 지역의 경우에는 화장품 사업체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은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가치사슬별 공간 분석을 통하여 지역적 분포를 검토하고, 각 노드별 공간분포상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ilière란? , 2014: 122). ‘filière’는 구리와 면 그리고 커피 등과 같은 농수산 수출품에 대한 연구에서 시작된 개념으로, 생산에서 수출 및 판매로 이어지는 느슨한 조직을 의미한다. 반면 ‘supply chains’는 최초의 원재료부터 최종 상품까지의 가치를 더하는 투입-산출 구조를 뜻하는 개념이다.
본원적 활동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특정 기업은 전략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활동들로 구성된 가치사슬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는 지원활동과 본원적 활동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본원적 활동은 다시 물류투입, 운영, 물류산출, 마케팅과 판매, 서비스 등으로 구성되며, 지원활동은 본원적 활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활동을 말한다. 각각의 활동은 산업의 특성에 따라 다시 여러 가지 형태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가치사슬은 경로(유통) 가치사슬, 구매자 가치사슬과 함께 하나의 가치체계를 구성한다.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어떤 지표인가? 이에 통계청에서 분류한 제9차 한국표준산업분류(Korea Standard Industry Code: KSIC)를 활용하였다. 이 분류법은 각 업체가 수행하는 주된 산업 활동(판매 또는 제공되는 재화 및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데, 주된 산업 활동은 산출물의 부가가치1) 에 따라 결정되므로 국내 사업체의 업종을 분류하는데 적절한 객관적 지표라고 할 수 있다(통계청, 2014). 따라서 국내 화장품 사업체의 한국표준산업분류를 화장품산업 가치사슬에 따라 재분류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그림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권재중.주경식, 2009, "바이오산업의 공간분포와 입지요인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1), pp.115-137. 

  2. 박경숙.이철우, 2010, "클러스터의 가치사슬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구문화콘텐츠산업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4), pp.601-622. 

  3. 방서윤, 2015, "온라인 패션산업의 가치사슬 구조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입지 특성", 서울대학교대학원, 서울. 

  4. 보건복지부, 2013, "화장품 수출 명품 브랜드 창출을 위한 화장품산업 글로벌화 강화 전략(요약본)", 세종. 

  5. 이경진, 2013, "글로벌생산네트워크 상에서의 산업경쟁력 강화 프로세스: 한국화장품산업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4), pp.597-612. 

  6. 이상욱.김경민, 2014, "서울 구로 가산동 의류패션산업의 가치사슬과 네트워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3), pp.465-481. 

  7. 이승철, 2007, "전환경제하의 해외직접투자기업의 가치사슬과 네트워크: 대베트남 한국섬유.의류산업 해외직접투자 사례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0(2), pp.93-115. 

  8. 통계청, 2014, 한국표준산업분류 실무 적용을 위한 분류 설명서, 대전. 

  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5a, "2015년 화장품산업 분석 보고서", 청주. 

  1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5b, "보건산업 인력수급 통계개발 및 동향분석", 청주. 

  11. 홍보영.김경민, 2015, "음악산업의 공간적 분포 연구: 서울시 음악산업 가치사슬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3), pp.335-347. 

  12. Dannenberg, P. and Kulke, E., 2014, "Editorial: Dynamics in agricultural value chains", Die Erde 145(3), pp. 121-126. 

  13. Gereffi, G. and Kaplinsky, R., 2001, "Introduction: Globalisation, Value Chains and Development", IDS Bulletin 32(3), pp.1-8. 

  14. Gereffi, G. and Lee, J., 2012, "Why the World Suddenly Cares About Global Supply Chains", Journal of Supply Chain Management 48(3), pp.24-32. 

  15. Gereffi, G., Humphrey, J. and Sturgeon, T., 2005, "The governance of global value chains",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12(1), pp.78-104. 

  16. Henderson, J., Dicken, P., Hess, M., Coe, N. and Wai-Chung Yeung, H., 2002, "Global production networks and the analysis of economic development",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9(3), pp. 436-464. 

  17. Kulke, E., 2007, "The commodity chain approach in Economic Geography", Die Erde 138(2), pp.117-126. 

  18. Lenz, B., 1997, "Das Filiere-Konzept als Analyseinstrument der organisatorischen und raumlichen Anordnung von Produktions- und Distributionsprozessen", Geographische Zeitschrift 85(1), pp.20-33. 

  19. Mudambi, R., 2008, "Location, control and innovation in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8(5), pp.699-725. 

  20. Porter, M. E., 1985, Competitive Advantage: Creating and Sustaining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The Free Press. 

  21. Raikes, P., Jensen, M.F. and Ponte, S., 2000, "Global commodity chain analysis and the French filiere approach: comparison and critique", Economy and Society 29(3), pp.390-417. 

  22. Womack, J.P. and Jones, D.T., 2003, Lean Thinking: Banish Waste and Create Wealth in Your Corporation, Productiv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