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 사진측량을 이용한 산림훼손지역의 훼손 현황 분석
Application of Drone Photogrammetry for Current State Analysis of Damage in Forest Damage Areas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4 no.3, 2016년, pp.49 - 58  

이영승 (주식회사 지한) ,  이동국 (상지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유영걸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이현직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드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산림관리에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산림훼손지역에 대하여 드론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산림훼손지역은 인위적으로 발생된 훼손지역과 자연적으로 발생된 훼손지역으로 나뉘며, 사면 슬라이딩이나 사면붕괴, 산사태, 토사유출 등의 재해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훼손지역에 대하여 훼손 현황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드론 사진측량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드론사진측량의 기하처리 결과, 평면위치오차의 RMSE는 ${\pm}0.034m$로 나타났으며, 표고오차의 RMSE는 ${\pm}0.017m$로 나타났다. 드론사진측량으로 생성된 정사영상의 평면위치오차의 RMSE는 ${\pm}0.083m$, 수치표고모델의 수직위치오차의 RMSE는 ${\pm}0.085m$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훼손 전 데이터인 항공 레이저측량성과와 드론 사진측량성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산림훼손지역의 훼손 현황 분석 수행이 가능하였으며, 산림훼손지역의 복원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 생성에 드론사진측량의 활용이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pplications of drone in various fields have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Drone has great potential for forest management. Therefore this paper is using drone for forest damage areas. Forest damage areas is divided into caused by anthropogenic and occurs naturally, the possibility of disast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대상지역인 산림훼손지역의 훼손 전 데이터와 훼손 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림훼손지역의 표고분포, 잔차 수치표고모델 제작을 통한 성/절토량 분석, 단면도 생성을 통한 경사 기울기 변화 분석, 재해 위험지역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집중 호우 시 발생 가능성이 있는 사면 슬라이딩이나 사면붕괴 등의 재해 예방을 위한 배수 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ig.
  • 따라서, 드론 사진측량을 활용하여 산림훼손지역을 촬영한 항공사진을 처리하고, 정사영상과 수치표고모델을 생성하였으며, 산림훼손 전 데이터인 항공 LiDAR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수치적인 토량의 변화 등 훼손 현황 분석을 수행하고 복원 계획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 생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드론 사진측량을 이용하여 산림훼손지역에 대한 수치적 훼손 현황 분석을 수행하고, 훼손지역 복원 계획 및 설계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 생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무분별한 산림훼손에 따른 사면 슬라이딩이나 사면 붕괴 등의 재해 발생 가능성이 있는 인위적 산림훼손지역을 대상으로 산림훼손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지형공간정보를 생성하고 복원 계획 및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 생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사면 슬라이딩이나 사면 붕괴, 산사태 등의 발생 가능성으로 인하여 산림훼손지역의 접근성이 떨어지며, 측량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드론 사진측량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fM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 처리 소프트웨어인 Photoscan은 촬영된 중복 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 point cloud 데이터로 피사체를 재구성하는 기법인 SfM (structure from motion) 기법을 이용하여 사진에 저장된 태그로부터 초점거리, 카메라 종류, 영상크기 등의 정보를 취득해 초기 값으로 이용하며, 카메라의 위치와 자세를 추정하므로 표정요소를 입력하지 않아도 지형공간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다.
수치적 훼손 현황 분석 및 훼손지역 복원 계획 및 설계를 위한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드론 사진측량을 이용하여 산림 훼손지역에 대한 지형공간정보를 생성하고 정확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평면위치오차의 RMSE는 ±0.083m로 나타났으며, 표고오차의 RMSE는 ±0.085m로 나타났다. 둘째, 산림훼손지역의 성/절토량 분석을 수행하여 성토량은 41,038.960m3로 나타났고, 절토량은 31,413.700m3로 나타났으며, 성토지역과 절토지역을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산림훼손으로 절토된 흙을 성토한 계곡 지역에 대하여 단면도를 생성하고, 경사 기울기 변화 분석을 수행한 결과 산림훼손 전에는 완만한 경사였으나, 산림훼손으로 인하여 산림훼손 전에 비해 경사가 급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산림훼손 후 데이터를 이용하여 배수라인 추출을 통한 재해위험 지역 분석 결과 사면 슬라이딩이나 사면 붕괴, 산사태 등의 재해가 발생할 경우 산림훼손에 따른 피해예상지역을 예측할 수 있었다. 다섯째, 드론 사진측량을 이용할 경우 유인 항공측량 시스템보다 단시간, 저비용으로 산림훼손지역의 복원 계획 및 설계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의 생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훼손지역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산림훼손지역은 인위적 훼손지역과 자연적 훼손지역으로 분류되며, 사면 슬라이딩이나 사면붕괴, 산사태, 토사유출 등의 재해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산림훼손지역에 대한 다양한 분석 및 판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im, E. Y., Wie, G. J., Cho, H. M. and Yang, I. T., 2010, A study for forest research using airborne laser scan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8, No. 3, pp. 299-304. 

  2. Lee, D. G., Lee, H. J., You, J. H., Kim, S. Y. and Lim, J. S., 2015, Availability analysis of UAV for the monitoring of open-pit mines, Proc. of 2015 Conference on Geo-Spatial Information,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pp. 194-196. 

  3. Lee, H. J., Eom, J. S., Yu, Y. G. and Park, E. G., 2013, Application of smart geospatial information for modeling and analysis of city ri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4, pp. 135-142. 

  4. Lee, S. J. and Choi, Y. S., 2015, Topographic survey at small-scale open-pit mines using a popular rotary-wing unmanned areal vehicle(drone), Journal of Tunnel & Underground Space, Vol. 25, No. 5, pp. 462-469. 

  5. Lee, S. J. and Choi, Y. S., 2016, Comparison of topographic surveying results using a fixed-wing and a popular rotary-wing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Journal of Tunnel & Underground Space, Vol. 26, No. 1, pp. 24-31. 

  6. Lee, Y. S., 2016, The application of drone photogrammetry for restoration planning and design if forest damage areas, Master's degree, Sangji University. 

  7. Lian, P. K., and Serge, A., 2012, Dawn of drone ecology : low-cost autonomous aerial vehicles for conservation, Mongabay.com Open Access Journal, Tropical Conservation Science, Vol. 5, No. 2, pp. 121-132. 

  8. Noah. S., Steven. M. S. and Richard S., 2008, Modeling the world from internet photo coll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Vol. 80, Issue 2, pp. 189-210. 

  9. Park, E. G., You, J. H. and Lee, H. J., 2015, The planning and design of urban streams based on 3D terrain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3, No. 2, pp. 59-67. 

  10. Park, J. W. and Lee, J. S., 2013, Analysi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degraded forest area using high resolution remotely-sensed data - A case study of DMZ region in goseong-gun, Proc. of 2013 Conference on Forest Recreation Welfare,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pp. 923-924. 

  11. Remondino, F., Barazzetti, L., Nex, F., Scaioni, M. and Sarazzi, D., 2011, UAV Photogrammetry for mapping and 3D modeling -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nmanned Aerial Vehicle in Geomatics, ISPRS, Zurich, Switzerland, pp. 25-31. 

  12. Song, C. C., Lee, W. K., Kwak, D. A. and Kwak, H. B., 2008, A simulation model development to analyze effects on LiDAR acquisition parameters in forest inventory, Proc. of 2008 Conference on Geo-Spatial Information,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pp. 310-3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