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권형 모듈을 이용한 압력지연삼투 공정의 에너지생산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Power Generation by Pressure Retarded Osmosis Process from Spiral-Wound Membrane Pilot-Plant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8 no.9, 2016년, pp.476 - 481  

고길현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태신 (GS건설) ,  강임석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압력지연삼투삼투압을 구동력으로 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새로운 막 기술이다. 압력지연삼투는 반투과성 막을 사이에 두고 삼투압으로 인해 저농도의 유입원수가 고농도의 유도용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역삼투 공정농축수를 유도용액으로, 역삼투 공정의 생산수를 유입원수로 하여 8인치 나권형 막모듈의 성능을 평가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유입원수와 유도용액의 유량은 2.4 L/min, 5.0 L/min, 10.0 L/min, 압력범위는 5 bar에서 30 bar이다. 유입원수와 유도용액의 농도, 유입유량, 유입비에 따른 공정 성능의 영향을 본 연구에서 확인 하였다. 중요 결과로 유도용액의 농도의 증가는 압력지연삼투 공정의 전력밀도, 투과수량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유입유량의 증가 또한 전력밀도와 투과수량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최대 전력밀도를 형성하는 유입원수와 유도용액의 최적 유입비는 1:1의 비에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ssure retarded osmosis (PRO) is a quite new technique for power generation using an osmotically driven membrane process. In the PRO process, water permeates through a semipermeable membrane from a low concentration feed solution to a high concentration draw solution due to osmotic pressure. Th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또한 PRO 막의 성능은 유도용액과 유입원수의 농도, 유량,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19,20) 따라서 유도용액의 압력을 저압(5 bar)에서 고압(30 bar)으로 변화시키면서 유도용액의 염분 농도와 유도용액 및 유입원수의 유량 변화에 따른 PRO 막의 성능 변화를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론상 최대전력밀도 형성 압력에서 최대 전력밀도를 얻기 위해 PRO 전용 막으로 제작된 8 in 나권형 모듈을 이용하였다. 또한 PRO 막의 성능은 유도용액과 유입원수의 농도, 유량,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 본 연구는 중공사막이 가지는 내압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나권형 모듈을 사용하였으며, 유도용액의 염분농도 및 유량, 유도용액과 유입원수의 유입 비에 따른 압력지연삼투 공정의 투과수량 및 전력밀도를 조사하였다. 중요 결과로 나권형 모듈의 사용 시 중공사 막을 이용한 기존의 연구결과 보다 6~10 bar 높은 압력에서 최대전력밀도를 형성하였으며, 유도용액의 염분농도가 높을수록, 유도용액과 유입원수의 유량이 높을수록 유효삼투압차의 증가로 높은 투과수량 및 전력밀도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압력지연삼투 공정은 20 m3/day 규모의 파일럿 플랜트를 통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
  • 유도용액과 유입원수의 유량 유입비에 따른 투과수량 및 전력밀도의 비교하였다. 유도용액의 염분농도는 70,000 mg/L이며, Table 3에 각각의 비에 대한 유도용액과 유입원수의 유량을 나타내었다.
  • 유도용액과 유입원수의 유입유량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두 용액의 유입 비를 1:1로 하여 유입 유량변화에 따른 투과수량 및 전력밀도를 비교하였다. Fig.
  • 두 용액 모두 컨트롤 밸브와 리턴 밸브에 의해 유량을 조절하며, 유도용액의 경우 backpressure 밸브에 의해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투과수량 및 전력밀도는 유도용액의 유량 변화를 통해 30초 단위로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 사용된 PRO 모듈은 Toray Chemical 사에서 제공한 CSM-PRO 2 모듈을 사용하였다. 막의 제원은 Table 2에 나타내었으며 막 모듈의 구조는 Fig.
  • 1과 같다. 실험에 사용된 용액은 염분농도 35,000 mg/L (0.6 M NaCl)을 제조하여 RO 공정을 거친 후 농축수는 유도용액(염분농도 50,000 or 70,000 mg/L)으로 생산수(RO 투과수)는 유입원수(염분농도 400 mg/L)로 사용하였다.15,16)
  • 이러한 내압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국·내외 연구결과에 비교하여 내압성이 높은 8 in 나권형 모듈을 사용하였으며, 보다 실제 규모에 가까운 20 m3/d 규모의 파일럿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도차 발전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 중 하나로 두 용액의 염분농도차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새로운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은 염도차 발전이라 불린다.
압력지연 삼투공정에서 전력밀도는 어떠한 지표로 사용되는가? 최근에는 에너지 생산의 목적만이 아니라 다양한 수처리 및 담수화 공정에 결합하여 전체 에너지 사용감소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압력지연삼투 공정에서 에너지 생산량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되는 전력밀도는 노르웨이의 Statkraft사에서9) 3 W/m2, 일본의 ‘메가톤 물 시스템’에서10) 4.4 W/m2로 보고된바 있으며, Kim 등11)의 나권형 막 모듈을 이용한 연구에서 1.
압력지연삼투는 어떠한 방식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가? 이 기술은 염도차 발전이라 불린다. 이러한 염도차 발전 기술 중 하나인 압력지연삼투(Pressure retarded osmosis, PRO)는 저농도의 feed solution과 고농도의 draw solution사이에 반투과 막을 놓아 저농도의 용액이 삼투압 차에 의해 반투막을 통과하여 고농도 용액으로 투과되며, 이 때 증가한 유량이 터빈을 회전시켜 에너지를 생산한다.3,4) 즉, 두 용액간의 농도차에 의해 발생한 삼투압이 수압의 형태로 바뀌어 이 수압이 터빈을 회전시켜 에너지를 얻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Y. G., "National policy to foster renewable energy industry," News Information Chem. Eng., 26(5), 502-505(2008). 

  2. REN21, "Renewables 2014 Global Status Report," pp. 1-216(2014). 

  3. Loeb, S. "Production of energy from concentrated brines by pressure retarded osmosis I. Preliminary technical and economic correlations," J. Membr. Sci., 1(1), 49-63(1976). 

  4. Loeb, S., "Large-scale power production by pressure-retarded osmosis, using river water and sea water passing through spiral modules," Desalination, 355, 108-115(2002). 

  5. Logan, B. E. and Elimelech, M., "Membrane-based processes for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using water," Nature, 488 (16), 313-319(2012). 

  6. Han, G., Zhang, S., Li, X. and Chung, T. S., "High performance thin film composite pressure rtarded osmosis (PRO) membranes for renewable salinity gradient energy generation," J. Membr. Sci. 440, 108-121(2013). 

  7. Altaee, A. and Sharif, A., "Pressure retarded osmosis: advancement in the process applications for power generation and desalination," Desalination, 356, 31-46(2015). 

  8. Lee, S. H., Choi, J. S. and Hwang, T. M. "What Can We Expect on the Next Generation Desalination Technology in the Future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SCE J. Civil Eng., 61(5), 102-107(2013). 

  9. Kim, J. H., Kim, S. H., Kim, J. H., "Pressure Retarded Osmosis: Current Status and Future," J. Korean Soc. Environ. Eng., 36(11), 791-802(2014). 

  10. Kurihara, M. and Hanakawa, M., "Mega-ton water system: Japanes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on seawater desalination and wastewater reclamation," Desalination, 308, 131-137(2013). 

  11. Kim, Y. C., Kim, Y., Oh, D. and Lee, K. H.,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 spiral-wound pressure-retarded osmosis membrane module for osmotic power generation," Environ. Sci. Technol., 47, 2966-2973(2013). 

  12. Wang, R., Tang, C. and Fane, A. G., "Development of pressure retarded osmosis (PRO) membranes with high power density for osmotic power harvesting," In: Proceedings of the 3rd Osmosis Mebrane Summit, Statkraft, Barcelona(2012). 

  13. Chou, S., Wang, R., Shi, L., She, Q., Tang, C. and Fane, A. G., "Thin film composite hollow fiver membranes for pressure retarded osmosis (PRO) process with high power density," J. Membr. Sci., 389, 25-33(2012) 

  14. Achilli, A., Cath, T. Y. and Amy, E. Childress, "Power generation with pressure retarded osmosis: An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J. Membr. Sci., 343, 42-52(2009). 

  15. Qianhong, S., Xue, J. and Chuyang, T. Y., "Osmotic power production from salinity gradient resource by pressure retarded osmosis: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s and reverse solute diffusion," J. Membr. Sci., 401-402, 262-273(2012). 

  16. Efraty, A., "Pressure retarded osmosis in closed circuit without need of energy recovery," in: Proceedings of the 3rd Osmosis Mebrane Summit, Statkraft, Barcelona(2012). 

  17. Lee, K. L., Baker, R. W., Lonsdale, H. K., "Membranes for power generation by pressure-retarded osmosis," J. Membr. Sci., 8, 141-171(1981). 

  18. Geankoplis, C. J., "Principles of Mass Transfer, Transport Processes and Separation Process Principles," Pren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pp. 410-456(2003). 

  19. Touati, K., Hanel, C., Tadeo, F. and Schiestel, T., "Effect of the feed and draw solution temperatures on PRO performanc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Desalination, 365, 182-195(2015). 

  20. Yip, N. Y., Tiraferri, A., Phillip, W. A., Schiffman, J. D., Hoover, L. A., Kim, Y. C. and Elimelech, M., "Thin-film composite pressure retarded osmosis membranes for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from salinity gradients," Environ. Sci. Technol., 45, 4360-4369(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