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 매설배관 보수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pair Standards for Underground Pipelines Carrying Natural Gas 원문보기

한국가스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20 no.4, 2016년, pp.33 - 43  

류영돈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이진한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  조영도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국과 유럽의 가스회사에서는 배관의 보수방법으로 그라인딩, 육성용접, 슬리브덮개용접, 복합재료보수, 핫태핑, 클램프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배관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사용적합성 평가를 거쳐 배관보수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과 영국 등에서는 매설된 도시가스배관이 타공사 또는 부식으로 인해 손상을 입은 경우 손상형태별로 적용 가능한 배관보수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노후된 중압배관에 대하여 정밀안전진단을 하도록 하고 있으며, 정밀안전진단결과 발생된 결함의 종류 및 정도에 따라 배관을 보수, 교체 또는 신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보수 및 보강 방법에 대하여는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배관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주로 손상된 배관을 절단한 후 단관(短管)으로 교체하는 방법만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영국 등 국외의 보수방법 및 기준을 조사하고, 국내의 매설배관 검사 방법 등에 대해 조사하고, 보수방법 시험 결과를 분석한 후 국내 실정에 맞는 배관보수기준(안)을 제시하였다. 개발되는 기준에 따라 도시가스사업자가 정밀안전진단 결과의 후속조치로 배관보수를 하는 경우 가스공급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스의 안정적 공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inding, weld deposition, type A sleeve, type B sleeve, composite sleeve, hot tapping and clamp are used as the method to repair the buried pipelines in the United States, UK and Europe. In the event of defect to the pipeline, they have repaired the pipeline through the fitness-for-service assessm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과 유럽의 가스회사에서 배관의 보수방법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미국과 유럽의 가스회사에서는 배관의 보수방법으로 그라인딩, 육성용접, 슬리브덮개용접, 복합재료보수, 핫태핑, 클램프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배관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사용적합성 평가를 거쳐 배관보수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과 영국 등에서는 매설된 도시가스배관이 타공사 또는 부식으로 인해 손상을 입은 경우 손상형태별로 적용 가능한 배관보수방법을 규정하고 있다.
패치 보수란? 패치 보수는 Fig. 5와 같이 보수대상 강관과 동등 이상의 설계강도를 갖는 강판을 이용하여 배관에 필렛용접으로 보수하는 방법으로 국내 도시가스사업자가 긴급작업시 임시 보수 등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고압배관에는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3,9].
복합재 보수는 어떤 보수 방법인가? 배관의 손상된 부분을 금속대신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와 같은 복합재료로 여러겹으로 감싸 결함을 보수하는 방법이다.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Urban gas business enforcement regulation, (2013) 

  2. KGS, FS551 "Facility/Technical/Inspection/ Safety Diagnosis Code for Pipes Outside of Producing and Supplying Places of Urban Gas Business" (2016) 

  3. ASME B31.8, Ga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Pipiong Systems (2010) 

  4. API RP 1107, Pipeline Maintenance Welding Practices (1997) 

  5. ASME B31.8S, Managing System Integrity of Gas Pipelines (2004) 

  6. BS 6990, Code of practice for welding on steel pipes containing process fluids or their residuals(1989) 

  7. Simon Frost, "Codes and Standards for Composite Repair Systems", (2011) 

  8. Young-pyo Kim, Jong-hyun Baek, Woo-sik Kim, "Development of sleeve and direct deposit welding procedure for repair on pressurized gas pipeline", KWJS Conference (1998) 

  9. PRCI, Pipeline Repair Manual, (2006) 

  10. HSE, Temporary/permanent pipe repair Guidlines, (2001) 

  11. GL group, "Epoxy Repair Sleeve", (2009) 

  12. GL group, "Grouted Tee Connection", (2009) 

  13. Trade up, "Gas leak repair method for buried pipeline", SETEC exhibition (2016) 

  14. Sungho Park, Hansang Kim, "Structural Analysis of Gas Pipeline Repaired by Carbon Fiber Composite Materials", KIGAS Vol. 18 No. 2, pp62-68 (2014) 

  15. KOGAS, "Gas Pipeline Repair Method" Gas technology trend, (2006) 

  16. KGS, "A Development of External Corrosion Direct Examination Measures for Urban Gas Pipelines", (2011) 

  17. API 1104, Welding of Pipelines and Related Facilities (2001) 

  18. CSA Z662, Oil and gas pipeline systems (2007) 

  19. Young-Don Ryou, Jin-Han Lee, Yung-Ki Yoon, Ho-Seok Lim, "A Development of External Corrosion Direct Examination Measures for Urban Gas Pipelines", KIGAS Vol. 18 No. 5, pp12-19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