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에 적합한 영상 기반 굴삭기 접근 감지 시스템
Image-based Proximity Warning System for Excavator of Construction Sit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0, 2016년, pp.588 - 597  

조병완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윤성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도근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정훈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최평호 ((주)영신디엔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용노동부에서 매년 조사하는 산업재해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중 건설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24.09%에서 2014년 27.56%로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구조물의 고층화 및 건설 공사의 대형화로 인해 건설장비의 사용이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재해 역시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건설장비에 의한 재해는 주로 트럭, 굴삭기 등의 중장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운전자가 주변의 작업자를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충돌 및 협착에 의한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건설 장비에 의한 사고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굴삭기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영상기반 굴삭기 접근 감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영상기반 굴삭기 접근 감지 시스템은 카메라와 초음파센서로 구성된 접근 감지 센서 모듈과 접근 감지 센서 모듈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AVM(Around view monitor)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시스템은 별도의 기반인프라(서버, 통신망 등)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소규모 건설 현장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건설장비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an annual industrial accident report from Ministry of Employment of Labor, among the various types of accidents, the number of accidents from construction industry increases every year with the percentage of 27.56% as of 2014. In fact, this number has risen almost 3% over the last fou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설장비에 의한 사고는 주로 트럭, 굴삭기 등의 중장비 운전자가 주변의 작업자를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충돌 및 협착에 의한 사고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4][8-11]. 본 논문에서는 건설장비에 의해 발생하는 재해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굴삭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영상기반 굴삭기 접근 감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굴삭기와 작업자가 근거리에서 작업하는 도중 발생하는 충돌 및 협착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영상기반 굴삭기 접근 감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굴삭기 주변에 접근하는 작업자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서 모듈과 AVM(Around View Monitor)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장비에 의한 사고는 주로 어떻게 일어나는가? 건설장비에 의한 사고는 주로 트럭, 굴삭기 등의 중장비 운전자가 주변의 작업자를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 하는 충돌 및 협착에 의한 사고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4][8-11]. 본 논문에서는 건설장비에 의해 발생 하는 재해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굴삭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영상기반 굴삭기 접근 감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건설 산업은 어떠한 산업인가? 건설 산업은 과거 인력위주로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최근 건설 기술과 공법의 발달로 구조물이 고층화・대형화되는 추세로 건설 공사에서 다양한 건설장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1]. 일반적으로 건설 산업은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며, 또한 제조업을 비롯한 다양한 업종에서 가장 위험한 산업에 포함된다[2][3]. 최근 신기술 도입과 최첨단 건설장비의 개발 등 건설 환경이 변화하고, 건설공사에서 건설장비의 활용범위가 확대되면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산업재해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4].
VHF 주파수대역의 무선 통신 장비를 이용한 실시간 안전 경보 시스템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가? Teizer 등[6]은 VHF(Very-High Frequency) 주파수대역의 무선 통신 장비를 이용하여 건설 장비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실시간 안전 경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건설 장비에 EPU(Equipment Protection Unit)를 설치하고, 작업자에게 PPU(Personal Protection Unit)를 제공하여 일정거리에 도달하면 경보음을 울리는 방식이다. Teizer는 다양한 조건하에 실험을 수행하여 건설 공사에서 사고 예방을 위해 활용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조남석, 첨단센서 기반의 건설장비 관리시스템 개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2. J. Hinze and J. Teizer, "Visibility-Related Fatalities Related to Construction Equipment," Journal of Safety Science, Vol.49, pp.709-718, 2011. 

  3. 박희성, "외국인 건설 근로자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9호, pp.555-561, 2015. 

  4. 박용규, "건설기계로 인한 재해특성 분석을 통한 예방 방안,"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6권, 제3호, pp.71-79, 2014. 

  5. 고용노동부, "2010-2014 산업재해현황분석," http://www.kosha.or.kr/board.do?menuId554 

  6. J. Teizer, B. Allread, C. Fullerton, and J. Hinze, "Autonomous Pro-Active Real-Time Construction Worker and Equipment Operator Proximity Safety Aletr System," Journal of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19, pp.630-640, 2010. 

  7. E. Marks and J. Teizer, "Method for Testing Proximity Detection and Alert Technology for Safe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Journal of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Vol.31, No.6, pp.636-646, 2013. 

  8. 나종철, 이성욱, 김창민, 손효주, 김창완, "건설장비 안전성 향상을 위한 실시간 영상 센서 기반 작업자 근접 탐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5권, 제2호, pp.31-32, 2015. 

  9. Z. Zhu, M. W. Park, C. Koch, M. Soltani, A. Hammad, and K. Davari, "Predicting Movements of Onsite Workers and Mobile Equipment for Enhancing Construction Site Safety," Journal of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68, pp.95-101, 2016. 

  10. 서종민, 김선국, "굴삭기 안전사고 저감방안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8권, 제3호, pp.127-133, 2008. 

  11. 최창훈, 소지윤, 이준복, 한충희, "굴삭기의 장애물 탐지용 틸트 모듈 개발," 한국건축시공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76-282, 2011. 

  12. 국토교통부 "건설기계 현황 통계," 2016.3.31. http://stat.molit.go.kr/portal/cate/statFileView.do 

  13. 이용수, 강용탁, 김진수, 김창은, "굴삭기로 인한 재해분석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제12권, 제3호, pp.81-91, 2010. 

  14. 소지윤, 이준복, 한충희, "굴삭기 작업영역의 전방위 탐지기술 개발,"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10권, 제4호, pp.105-112, 2010. 

  15. T. M. Ruff, "Recommendations for Evaluating and Implementing Proximity Warning Systems on Surface Mining Equip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Public Health Servic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pokane Research Laboratory 2007. 

  16. T. M. Ruff, "Monitoring blind spots," Engineering and Mining Journal, Vol.202, No.12, pp.17-26, 2007. 

  17. 김성호,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굴삭기용 장애물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8. R. Hefner and P. J. Breen, "Construction Vehicle and Equipment Blind Area Diagram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port 200-2002: 00563,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