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subtilis에 의해 발효된 다양한 콩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rious Bean Varieties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5, 2016년, pp.541 - 548  

김기혁 (우송대학교 외식조리학부) ,  이규희 (우송대학교 조리과학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For dissecting the possible benefits and usages of Cheonggukjang, five different beans, soybean, black soybean, red bean, chickpea, and lentil bean, underwent the fermentation process along with Bacillus subtilis. Methods: Resultant Cheonggukjang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su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두 이외에 4가지 종류의 콩을 사용하여 청국장균주로 발효시켰다. 발효된 여러 가지 콩들의 활용범위를 넓히며 가치를 상승시키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콩을 이용한 청국장을 제조하여 물리 화학적 특성과 관능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3) Mean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sam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3) Mean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same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 발효에 주로 이용되는 균은? 청국장은 주로 대두에 Bacillus subtilis 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제품으로 발효와 숙성과정 중에 여러 효소와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대두에 존재하지 않았던 caffeic acid와 ferulic acid 등의 유리된 형태의 phenolic acid 등의 함량이 증가된다(Coward L 등 1993). Hwang CE 등 (2013)은 발효와 숙성과정 중 유리된 형태의 생리활성물질 형성 등으로 인하여 발효된 식품이 발효되지 않은 식품보다 기능성이 증진될 것이라고 하였다.
대두, 팥, 검정콩, 병아리콩, 렌틸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중, 청국장의 pH 값이 7 이하로 나타나는 것은? 다양한 종류의 콩으로 청국장을 제조하여 청국장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특징을 활용하여 청국장의 사용범위를 넓히고 상품가치를 상승시키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대두, 팥, 검정콩, 병아리콩, 렌틸콩 등 5가지 종류의 콩에 Bacillus subtilis 균을 발효시켜 발효특성, 물리 화학적 특성 및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청국장의 pH 값은 대두를 사용하여 제조한 청국장(SC)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병아리콩을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 (CBC)과 렌틸콩을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LBC)은 pH는 7 이하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SC가 394.
대두, 팥, 검정콩, 병아리콩, 렌틸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중 아미노태 질소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은? 다양한 종류의 콩으로 청국장을 제조하여 청국장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특징을 활용하여 청국장의 사용범위를 넓히고 상품가치를 상승시키는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대두, 팥, 검정콩, 병아리콩, 렌틸콩 등 5가지 종류의 콩에 Bacillus subtilis 균을 발효시켜 발효특성, 물리 화학적 특성 및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청국장의 pH 값은 대두를 사용하여 제조한 청국장(SC)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병아리콩을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 (CBC)과 렌틸콩을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LBC)은 pH는 7 이하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SC가 3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n YG. 2011. Changes in components and peptides during fermentation of Cheonggukjang. Korea J Food Nutr 24(1):124-131.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35. 

  3. Baek LM, Park LY, Park KS, Lee SH. 2008. Effect of starter cultures on the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4):400-405. 

  4. Caragay AB. 1992. Cancer-preventive foods and ingredients. Food Technol 46(4):65-68. 

  5. Chae SG. 2007. Food chemistry. 5th ed. Hyoil Press, Seoul, Korea. p 563. 

  6. Chou ST, Chao WW, Chung YC. 2008. Effect of ferment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d beans (Phaseolus radiatus L. var. Aurea) ethanolic extract. Int J Food Sci Technol 43(8):1371-1378. 

  7. Coward L, Barnes NC, Setchell KDR, Barnes S. 1993. Genistein, diadzein, and their beta-glycoside conjugates antitumor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from American and Asian diets. J Agric Food Chem 41(11):1961-1967. 

  8. George S, Sivasankar B, Jayaraman K, Vijayalakshmi MA. 1997. Production and separation of the methionine rich fraction from chick pea protein hydrolysate generated by proteases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Process Biochem 32(5):401-404. 

  9. Han JH, Lee CH, 1997. Determining isoelectric points of model proteins and Bacillus subtilis neutral protease by the cross partitioning using poly (ethylene glycol)/dextran aqueous two-phase systems. Colloids Surf B: Biointerfaces 9(3-4):131-137. 

  10. Hu Y, Ge C, Yuan W, Zhu R, Zhang W, Du L, Xue J. 2010. Characterization of fermented black soybean natto inoculated with Bacillus natto during fermentation. J Sci Food Agric 90(7):1194-1202. 

  11. Hur SJ, Lee SY, Kim YC, Choi IW, Kim GB. 2014. Effect of fermentatio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in plant-based foods. Food Chem 160:346-356. 

  12. Hwang CE, Seo WT, Cho KM. 2013. Enhanced antioxidant effect of black soybean by Cheonggukjang with potential probiotic Bacillus subtilis CSY191. Korean J Microbiol 49(4):391-397. 

  13. Hwang JH. 2010. The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by starter culture of Bacillus spp. with fibrinolytic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2):1832-1838. 

  14. Jeong TL, Shih YJ, Wu MT, Sung JM. 2010. Comparisons of flavonoi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seed coat, embryonicaxis and cotyledon of black soybeans. Food Chem 123(4):1112-1116. 

  15. Jhan JK, Chang WF, Wang PM, Chou ST, Chung YC. 2015. Production of fermented red beans with multiple bioactivities using co-cultures of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LWT-Food Sci Technol 63(2):1281-1287. 

  16. Kim DM, Kim SH, Lee JM, Dung NT, Kang SC. 2005. Monitoring of color changes and organoleptics properties of Cheonggukjang products during storage for shelf-life establishmen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2):140-149. 

  17. Kim HG, Kim GW, Oh H, Yoo SY, Kim YO, Oh MS. 2011. Influence of roast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mall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LWT-Food Sci Technol 44(4):992-998. 

  18. Kim JS, Yoo SM, Choe JS, Park HJ, Hong SP, Chang CM. 199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honggugja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Agric Chem Biotechnol 41(5):377-383. 

  19. Kim MH, Han SY, Ko JM, Kim YS. 2012.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Cheonggoukjang (fermented unsalted soybean paste) prepared with various soybean cultivars. Food Sci Biotechnol 21(1):9-18. 

  20. Lee GY, Kim SI, Jung MG, Seong JH, Lee YG, Kim HS, Chung HS, Lee BW, Kim DS. 2014.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that enhance the flavor and GABA content in a mixed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MC31 and Lactobacillus sakei 383. J Life Sci 24(10):1102-1109. 

  21. Lee JH, Cho KM. 2012. Changes occurring in compositional components of black soybeans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for different storage periods. Food Chem 131(1):161-169. 

  22. Lee MY, No HK, Kim SD, Prinyawiwatkul W. 2007. Quality of Chungkukjangs prepared with various Bacillus strains. Int J Food Sci Technol 42(5):587-592. 

  23. Lee NR, Go TH, Lee SM, Hong CO, Park KM, Park GT, Hwang DY, Son HJ. 2013a. Characteristics of Chongkookjang prepar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with different soybean and fermentation temperatures. Korean J Microbiol 49(1):71-77. 

  24. Lee NR, Park SB, Lee SM, Go TH, Hwang DY, Kim DS, Jeong SU, Son HJ. 2013b. Characteristics of white soybean Chungkookjang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D7. J Life Sci 23(4):529-536. 

  25. Lee NR, Lee SM, Go TH, Jeong SY, Hong CH, Kim KK, Park HC, Lee SM, Kim YG, Son HJ. 2013c.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using different soybean. J Environ Sci Int 22(6):723-732. 

  26. Min MJ, Shin HJ. 2015.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lentils (Lens culinaris), and their application in the food industry: A review. Korean J Food Sci Technol 47(3):273-280. 

  27. Nagar V, Hajare SN, Saroj SD, Bandekar JR. 2012. Radiation processing of minimally processed sprouts (dew gram and chick pea): Effect on sensory, nutritional and microbiological quality. Int J Food Sci Technol 47(3):620-626. 

  28. Thorsen L, Abdelgadi WS, Ronsbo MH, Abban S, Hamad SH, Nielsen DS, Jakobsen M. 2011. Identification and safety evaluation of Bacillus species occurring in high numbers during spontaneous fermentations to produce Gergoush, a traditional Sudanese bread snack. Int J Food Microbiol 146(3):244-252. 

  29. Woo SM, Kwon JH, Jeong YJ. 2006. Sele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eongkukjang strains. Korean J Food Preserv 13(1):77-82. 

  30. Yoo KM. 2011. Effect of soybean varieties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fu. Korean J Food Nutr 24(3):451-457. 

  31. Yoon KH, Chang YI, Lee GH. 2013. Characteristic aroma compounds of cooked and fermented soybean (Chungkook-Jang) inoculated with various Bacilli. J Sci Food Agric 93(1):85-92. 

  32. Youn HK, Choi HS, Hur SH, Hong JH. 2001.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iscous substance from Chungkukjang fermented with different Bacillus spp. J Food Hyg Saf 16(3):188-193. 

  33. Youn KC, Kim DH, Kim JO, Park BJ, Yook HS, Cho JM, Byun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eonggu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2):204-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