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L.)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7, 2009년, pp.902 - 908  

박인배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박정욱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이영재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신궁원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김해섭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  조영철 (전라남도해양바이오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부원료로 미강 및 대두 혼합비에 따라 3개의 실험구, 즉 1:1:0(이하, 실험구 A), 2:1:1(이하, 실험구 B) 및 1:0:1(이하, 실험구 C)의 실험구로 하고 B. subtilis KCCM 12247을 접종하여, 멸균수를 가하여 수분을 조절하여 $37^{\circ}C$항온기에서 48시간 발효시켰으며, 발효 전후의 성분특성과 발효물의 품질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발효 후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은 실험구 C가 각각 60.44%, 30.18%(건중량), 19.26% (건중량) 및 25.56%(건중량)로 가장 높았으며, 탄수화물은 실험구 A가 59.10%(건중량)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모든 실험구에서 발효 전보다 발효후에 증가하였는데, 실험구 A는 발효 전에 459.11 mg/100 g에서 발효 후에 668.89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실험구 B가 각각 358.00 mg/100 g과 561.34 mg/100 g이었고, 실험구 C는 304.02 mg/100 g과 447.57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는 aspartic acid, asparagine,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beta$-aminoisobutyric acid, lysine 및 arginine 등이었다. 발효물의 색은 L값이 약 62, a값이 약 4.5, b값이 약 18로서 황갈색 계통이었다. 한편 적색도는 발효 전보다 발효 후에 모든 실험구에서 높아졌다. ACE 저해활성은 모든 실험구에서 발효 전($84.91{\pm}1.12{\sim}88.33{\pm}1.34%$)에 비해 발효 후($96.77{\pm}1.23{\sim}97.56{\pm}1.23%$)에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발효 후의 경우 실험구 C가 $97.56{\pm}1.23%$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실험구 A($97.22{\pm}2.10%$)와 B($96.77{\pm}1.23%$)이었으나 실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전자공여능은 대체로 발효 전보다 발효 후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하지만 실험구 C가 가장 높은 값으로 발효 전에 $49.54{\pm}1.77%$와 발효후에 $450.87{\pm}1.84%$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at $37^{\circ}C$ for 48 hours. We determined the changes in temperature,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carbohydrate, solid content, pH, Brix, 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의 이용성 증진과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개발을 목적으로 퉁퉁마디에 부원료로 미강과 대두를 혼합비율에 따라 배합하고 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발효시켰으며, 발효 전후의 성분특성과 발효물의 품질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퉁퉁마디의 이화학적 특성은 어떠하며 어디에 사용되어 왔는가? 한편 퉁퉁마디는 해안가 염 농도가 높은 곳에서 자라기 때문에 삼투압을 견디기 위해 식물체 내에 육상식물보다 다량의 염분을 저장 및 축적하고 있으며(2), 고농도의 염스트레스에 내성을 가지기 위해 betaine과 같은 양쪽성 물질(zwitterionic compound)을 함유하여 높은 삼투압 환경에 적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또한, 퉁퉁마디는 마그네슘, 칼슘, 철 그리고 칼륨 등의 미네랄과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과 지방산이 풍부하여 숙변, 변비, 소화불량, 위장병, 간염 및 신장병의 치료제로 한방 및 민간에서 널리 사용하여 왔다(6). 퉁퉁마디에 관한 연구로는 채취 시기 및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7,8), 빨간 함초의 지질 과산화 및 라디칼 형성에 대한 항산화 활성(9), 생리활성기능 탐색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에서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10,11), 항산화 작용(12-14), 항당뇨(15,16), 항고지혈증(16), 효소적 가수분해물의 혈당 강하 및 혈청 지질 개선에 관한 연구(17)와 분말의 혼합비율 최적화를 통한 식품개발(18), 발효액의 기능성 연구(19) 및 약리효과에 관한 연구(20)가 이루어졌고, 최근에는 함초 분획물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암 예방물질 탐색에 사용되는 quinone reductase 활성 유도 효과(21)에 대한 연구 등이 보고되었다.
퉁퉁마디는 국내 어디에서 서식하는가?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서식하는 퉁퉁마디는 최근 전남 신안, 영광, 전북 부안, 충남 태안 등을 중심으로 인공재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염생식물로서, 중국의 옛 의학책인 ‘신농본초경’에서는 맛이 몹시 짜다 하여 함초(鹹草), 또는 염초(鹽草)라고 하였고, 몹시 희귀하고 신령스러운 풀이라 하여 신초(神草)라고도 하였으며, 퉁퉁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라고 하였다(1).
퉁퉁마디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서식하는 퉁퉁마디는 최근 전남 신안, 영광, 전북 부안, 충남 태안 등을 중심으로 인공재배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염생식물로서, 중국의 옛 의학책인 ‘신농본초경’에서는 맛이 몹시 짜다 하여 함초(鹹草), 또는 염초(鹽草)라고 하였고, 몹시 희귀하고 신령스러운 풀이라 하여 신초(神草)라고도 하였으며, 퉁퉁하고 마디마디 튀어나온 풀이라 하여 ‘퉁퉁마디’라고 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oi JK. 2001. Korean herbs, flowers, and trees as traditional medicine 1. Hanmunhwa, Seoul, Korea. p 63-74 

  2. Kim CS, Song TG. 1993.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e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Korea. Korean J Ecol 6: 167-176 

  3. Park S. 1995. Effects of glycine betaine and related osmolytes on growth of osmotically stressed Yersinia enterocolitica. Agric Chem Biochem 38: 218-223 

  4. Graham J, Wilkinson B. 1992. Staphylococcus aureus osmoregulation: Roles for choline, glycine betaine, proline, and taurine. J Bacteriol 174: 2711-2716 

  5. Lee CH, Kim IH, Kim YE, Oh SW, Lee HJ. 2004. Determination of betaine from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4-1587 

  6. Lee YS, Lee HS, Shin KH, Kim BK, Lee BK. 2004. Constituents of the halophyte Salicornia herbacea. Arch Pharm Res 27: 1034-1036 

  7. Cha JY, Jeong JJ, Kim YT, Seo WS, Yang HJ, Kim JS, Lee YS. 2006. Detec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i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J Life Sci 16: 683-690 

  8. Shin KS, Boo HO, Jeon MW, Ko JY. 2002. Chemical components of native plan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Plant Res 15: 216-220 

  9. Song HS, Kim DP, Jung YH, Lee MK.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against lipid peroxidation and the formation of radicals. Korean J Food & Nutr 20: 150-157 

  10. Lee JT, An BJ. 2002. Detection of phys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Kor J Herbology 17: 61-69 

  11. Kim KR, Choi JH, Lee SK, Woo NH, Choi SW. 2006. Effect of enzymatic hydrolysate of hamcho (Salicornia herbacea)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56-1362 

  12. Han SK, Kim SM. 2003. Antioxidative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grown in closed sea bea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07-210 

  13. Kim JB, Choe SM, Choe KH, Lim SH, Chai SJ. 2007. Functional components of halophyte: antioxidant substances in Salicornia herbacea L. J Fish Mar Sci Edu 19: 197-205 

  14. Jeon SM, Kim SI, Ahn JY, Park SM. 2007.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xtract/fractions of Suaeda asparagoides and Salicornia herbacea extracts (I).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3: 145-152 

  15. Bang MA, Kim HA, Cho YJ. 2002.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dietary hamcho powder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40-846 

  16. Park SH, Ko SK, Choi JG, Chung SH. 2006. Salicornia herbacea prevents high fat diet-induces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in ICR mice. Arch Pharm Res 29: 256-264 

  17. Kim KR, Choi JH, Woo MH, Kim YH, Choi SW. 2008. Effects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on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mposi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70-176 

  18. Jang MS, Park JE. 2006.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sulgidduk with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41-648 

  19. Song TC, Lee CH, Kim YE, Kim IH, Han DS, Yang DH. 2007. The functionality of the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fermented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95-399 

  20. Jo YC, Ahn JH, Chon SM, Lee KS, Bae TJ, Kang DS. 2002. Studies of pharm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 93-99 

  21. Jung BM, Park JA, Bae SJ. 2008.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ctivities of Salicornia herbacea L.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8-153 

  22.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23.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24. Choi HS, Joo SJ, Yoon HS, Kim KS, Song IG, Min KB. 2007. Quality characteristic of Hwangki (Astragalus membranaceus) Chungku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4: 356-363 

  25. Choi UK, Ji WD, Chung YG. 1998. Characteristics of Chunggugjang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DC-2.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46-851 

  26. Ryu MJ, Kim HI, Lee SP.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fortified with soymilk cake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GT-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070-1076 

  27. Kim HJ, Lee SG, Ji YJ, Hwangbo MH, Lee EJ, Lee SP, Lee I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fatted soybean grits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NUC1.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79-1484 

  28. Kim JS, Yoo SM, Choe JS, Park HJ, Hong SP, Hang CM. 199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Chonggugjang produced in different regions. Agric Chem Biotechnol 41: 377-383 

  29. Cho YJ, Cha WS, Bok SK, Kim MU, Chun SS, Choi UK. 2000. Production and separation of anti-hypertensive peptide during chungkukjang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CH-1023.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247-252 

  30. Suh HJ, Suh DB, Chung SH, Whang JH, Sung HJ, Yang HC. 1994. Purification of ACE inhibitor from soybean paste. Agric Chem Biotechnol 37: 441-446 

  31. Yeum DM, Lee TG, Byum HS, Kim SB, Park TH. 1992.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enzymatic hydrolysates of mackedrel muscle protein. J Korean Fish Soc 25: 229-235 

  32. Moon YG, Lee KJ, Heo MS. 2007. Characteristic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using Bacillus subtilis as starter extract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 142-1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