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미세먼지 농도가 호흡기계 및 심혈관계의 외래 방문 및 입원과 진료비에 미치는 영향
Hospital Visits, Admissions and Hospital Costs among Patients with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ccording to Particulate Matter in Seoul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2 no.5, 2016년, pp.324 - 332  

이형숙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nnual average of PM10 in Seoul was $45{\mu}/m^3$, which surpasses the WHO annual guidelines ($20{\mu}/m^3$). Most previous analyses of the effects of PM exposure have been retrospective studies using single hospital data, and fewer studies have attempted to ad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시를 대상으로 대기오염자료, 질환별 환자 수와 진료비 자료를 이용하여 미세먼지(PM10)의 환자 수 및 진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이차자료분석(Secondary analysis) 연구이다.
  • 서울시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2012년까지 꾸준히 감소하였으나, 2013년도부터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수도권 지역인 서울시의 상병자료와 대기오염 자료를 이용하여 미세먼지(PM10) 농도의 증가가 질환별 입원 및 외래 환자수와 진료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질환별 입원 및 외래 환자수와 진료비의 상병자료를 이용하여 미세먼지가 호흡기계 및 심혈관계 환자 수와 진료비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오염은 무엇인가? 대기오염은 인위적인 발생원에서 배출된 물질이인간이나 동식물에 직접적으로 해를 끼칠 정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우리나라는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이산화황,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등 가스상 물질과 먼지 등 입자상 물질을 포함한 총 61종의 물질로 정하고 있다.1) 지구의 온난화 영향으로 대기에 있는 오존, 아황산 가스, 질소 산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이 증가하고 있으며, 경제발전으로 인한 급격한 에너지 소비 증가 역시 대기오염물질의 양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미세먼지가 중요한 저감 대상 물질인 이유는 무엇인가? 1) 지구의 온난화 영향으로 대기에 있는 오존, 아황산 가스, 질소 산물, 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이 증가하고 있으며, 경제발전으로 인한 급격한 에너지 소비 증가 역시 대기오염물질의 양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2) 그 중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는 스모그, 시정장애, 지구 냉각화 등 여러 가지 위해영향뿐만 아니라 여러 대기 오염물질 가운데서 인체위해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중요한 저감 대상 물질이다.3)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2013년 서울의 연 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는 45 µg/m3으로 WHO의 연 평균 미세먼지 농도의 권고수준인 20 µg/m3의 2배 이상이며, 국외 주요도시인 미국 LA의 30 µg/m3, 프랑스 파리의 26µg/m3, 영국 런던의 18 µg/m3 보다 비교적 높은 수준이다.
대기오염물질과 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국내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대기오염물질과 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국내 연구들을 살펴보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으로 인해 관련 질환 유병률 증가 또는 대상자의 의료기관 방문과 입원, 총 사망, 심혈관계 사망이 유의하게 증가 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10-13,19)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일개 또는 몇 개 병원의 응급실 방문이나 입원을 후향적으로 분석하거나 관련 질환을 천식, 만성 폐색성 폐질환이나 알레르기 질환 등에 국한한 연구들이 많고, 미세먼지 농도 증가가 의료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 연구는 거의 없어 호흡기계, 심혈관계에의 미세먼지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evos S, Cox B, Dhondt S, Nawrot T, Putman K. Cost saving potential in cardiovascular hospital costs due to reduction in air pollution. Science of Total Environment. 2015; 527: 413-419. 

  2. Dominici F, Peng RD, Bell ML, Pham L, McDermott A, Zeger SL, et al.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hospital admission for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disease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6; 295(10): 1127-1134. 

  3.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ntegrated Science Assessment for Particulate Matter. Available: http://www.sinia.cl/1292/articles-51242_Integrated_-Science.pdf [accessed 13 July 2016] 

  4. Pope CA, Burnett RT, Thurston GD, Thun MJ, Calle EE, Krewski D, et al.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long-term exposure to particulate air pollution epidemiological evidence of general pathophysiological pathways of disease. Circulation. 2004; 109(1): 71-77. 

  5. Pope CA, Kalkstein LS. Synoptic weather modeling and estimates of the exposur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daily mortality and particulate air pollution.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996; 104(4), 414-420. 

  6. World Health Organization. Ambient (outdoor) air quality and health. Available: http://www.apia.ro/wp-content/uploads/2015/03/WHO-_-Ambient-outdoor-air-quality-and-health_martie2014.pdf [accessed 13 July 2016]. 

  7.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nforcement Decree of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Available: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67373&efYd20150721#0000 [accessed 13 July 2016]. 

  8. Kim, YP. Air pollution in Seoul caused by aeros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6; 22(5): 535-553. 

  9. Park RS, Han GM. Contribution of long-range transported air pollution from China to particulate matter over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4; 14(2): 26-36. 

  10. Park HJ, Woo KS, Chung EK, Kang TS, Kim GB, Yu SD, et al. A Time-series study of ambient air pollution in relation to daily mortality count in Yeosu.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15; 24(1): 66-77. 

  11. Bae, HJ.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PM10 and PM2.5 on mortality in Seou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4; 40(5): 346-354. 

  12. On IB, Kim YH, Sim CS, Lee JH. Prevalence of children's allergic diseases in Ulsan: local differences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2; 38(6): 472-481. 

  13. Jang AS, Kim BY, Lee CH, Park JS, Lee JH, Park SW, et al. Hospital visits and admissions in patients with asthma, COPD,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ccording to air pollutants. Korean Journal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6; 26(3): 233-238. 

  14. Korea Environment Coporation. International status of air pollution. Available: http://www.airkorea.or.kr/foreignState [accessed 13 July 2016]. 

  15. Kim BS. Air pollution expo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 Toxicological Research. 2014; 30(2): 71-75. 

  16. Perez L, Grize L, Infanger D, Kunzli N, Sommer H, Alt G M, et al. Associations of daily levels of PM10 and NO2 with emergency hospital admissions and mortality in Switzerland: trends and missed prevention potential over the last decade. Environmental Research. 2015; 140: 554-561. 

  17. Zanobetti A, Schwartz J, Samoli E, Gryparis A, Touloumi G, Peacock J, et al. The temporal pattern of respiratory and heart disease mortality in response to air pollution.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2003; 111(9): 1188-1193. 

  18. Oh IB, Sim CS, Lee JH. Prevalence of children's allergic diseases in Ulsan: local differences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2; 38(6): 472-4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