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부대 시설 및 지하철 역사 주변 지하상가의 측정농도와 노출시간을 이용한 실내에서의 라돈 위해성 평가
Indoor Radon Risk Assessment by Applying Measurement Concentrations and Exposure Times for Military Facilities and Underground Shopping Malls near Subway station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2 no.5, 2016년, pp.345 - 351  

공진석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융합공학과) ,  김영희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융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risk assessment us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d exposure times. Methods: The target facilities were military facilitie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radon reduction processes and underground commercial facilities in major subway s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의미한 농도의 라돈 노출에 대한 제어방법 중의 하나인 환기는 실내공간에서는 제약이 많이 따를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군부대와 지하상가에서의 실내 라돈농도 측정자료와 노출시간 적용에 따른 위해성 평가를 그 목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런데, 암석 표면의 공극내에서 물에 용해된 라돈은 붕괴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1) 이렇게 용해된 상당량의 라돈은 실내 공기 내로 방출하면서 주변으로 확산하게 된다. 의학적으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을 마시거나 호흡했을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폐암을 유발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 의학적으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을 마시거나 호흡했을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폐암을 유발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2,3) 라돈은 인체의 감각기관으로는 인지할 수 없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전 세계 폐암의 3~14%가 이 라돈 노출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돈이 유발하는 질환은 무엇인가? 1) 이렇게 용해된 상당량의 라돈은 실내 공기 내로 방출하면서 주변으로 확산하게 된다. 의학적으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을 마시거나 호흡했을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폐암을 유발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2,3) 라돈은 인체의 감각기관으로는 인지할 수 없다.
지하 공간 환경기준 권고치 설정의 라돈 권고기준은 얼마인가? 라돈 노출에 의한 법규는 1989년에 “지하 공간 환경기준 권고치 설정”으로 라돈의 권고기준을 148Bq/m3(4 pci/L)로 정하였고, 1996년 “지하 생활 공간 공기질 관리법”에서는 라돈을 오염물질로 규정하였으나 자연 방사능이라 해서 기준설정을 하지 않았 지만, 2003년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제정으로 라돈의 권고기준이 148 Bq/m3(4 pci/L)로 마련되었다.7)
라돈이 기관기 및 폐에 달라붙은 후 붕괴되면 무엇이 나오는가? 호흡을 할 때, 라돈과 그 자핵종들이 호흡기 속으로 들어가서 대부분은 내쉬는 숨에 의해서 다시 나오지만, 일부는 기관지 및 폐에 달라붙은 후 붕괴를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알파선이란 방사선이 나오게 되는데 이것이 폐 조직에 손상을 주기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폐조직이 지속적으로 손상되면 폐암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wis C, Hopke P, Stukel J. The solubility of radon in selected perflurocarbon compounds and water. Industrial Engineering and Chemical Research 1987; 26: 356-359. 

  2. Doull J. Risk assessment of radon in drinking water,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99. 

  3. Wilkening M. Radon in the environment, Elsevier; 1987: p 137. 

  4. WHO. Handbook of indoor radon; 2009. 

  5.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door radon reduction guideline; 2010. 

  6. Kim KS, Lee HS, Kong SY, Koo HJ. National survey and policy study on indoor air pollu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1. 

  7.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ct, such as multi-use facility; 2003. 

  8. The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Radon contamination; 2014. 

  9. Lee CM, Kim YS, Roh YM, Kim KY, Jeon HJ, Kim JC. Radon concentration in various indoor environment and effective dose by inhabitants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07; 33(4): 264-275. 

  10. Lee CM, Kim YS, Kim JC, Jeon HJ.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 at subway station in Seoul.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04; 30(5): 469-480. 

  11. Zoo DH, Park KH, Jeong HW, Lim HJ, Bok DS, Yun DW, et al. A study on indoor radon concentration among vulnerable households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5; 41(2): 61-70. 

  12. Kim SA, Park NW. A Study on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urban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02; 28(2) 89-98. 

  13. Kim YS. The Study of Radon concentration according to building of star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05; 31(1): 94-98. 

  14. Lee SK, Lee YM, Park JH, Kim SS, Hong GY, Ahn HG, et al. Radon concentration assessment of studio apartments surrounding a university.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13; 39(2): 138-143. 

  15. Kim YS.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the Seoul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1989; 15(1): 11-18. 

  16. Kim YS, Lee CM, Kim HT. A survey of indoor and outdoor radon concentrations by alpha track detector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2002; 28(5): 71-76. 

  17. Kim YS. Indoor Radon levels in four different areas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1990; 16(1): 1-7. 

  18. Choi IC, Shin SH, Jo WK. Evaluation of radon levels in various public-acess buildings or underground facilities, and their temporal variation in underground facilities.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2009; 23(3): 203-211. 

  19. Jeon JS, Lee JY, Eom SW, Chae YZ.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from buildings with different environment,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11; 27(6): 692-702. 

  20. Baek SA, Lee TJ, Kim SD, Kim DS. Studies on the spatial analysis for distribution estimation of radon concentration at the Seoul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008; 24(5): 538-550. 

  21. Woo KS, Oh SJ, Park HJ, Seo SY, Lee WS, Chung EK, et al.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of radon for house, government office and school in Chungnam area.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14; 13(1): 73-79. 

  22. Kotrappa P, Dempsey J, Hickey J, Stieff L. An electret passive environmental 222Rn monitor based on ionization measurement, Health Phys. 1988; 54(1): 47-56. 

  23. US EPA. Indoor radon and radon decay product measurement device protocols available, 2013. 

  24. Effective Dose, wikipedia. Available: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D%9A%A8%EC%84%A0%EB%9F%89 [accessed 14 October 2016]. 

  25. Lee GS, Kim JS, Kim JD. Absorbed and effective dose in direct and indirect digital panoramic radiography.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2010; 40(1): 9-14. 

  26.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Nationwide surveillance on the environmental radiation; 2012. 

  27.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2007 ICRP recommendation, ICRP document 103;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