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화가 1인당 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per capita CO2 emission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5 no.5, 2016년, pp.307 - 318  

황민섭 (고려대학교) ,  이응균 (고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화가 1인당 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화와 소득 수준 간의 교호 작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84개 국가에 대한 패널 자료고정효과 모형을 통해 회귀분석하고 동시에 Pooled LS 모형 및 패널 GLS 모형과도 비교하였다. 그 결과 1인당 탄소배출과 도시화는 비선형적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소득 국가에서 도시로의 인구 집중이 1인당 탄소 배출을 증가시키는 반면, 고소득 국가에서는 오히려 반대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의 압축성(compactness)과 에너지 소비 패턴에 대한 논의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연구와 정책 개발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amines the impacts of urban population growth on per capita $CO_2$ emissions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urbanization and income levels. Employing the Panel Fixed Effects model together with the Pooled LS and Panel GLS models, the research rep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동시에 주변 지역으로 도시가 점차 팽창됨에 따라 규모의 불경제가 집적을 통한 이익을 초과하는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도시화가 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본 연구는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의의를 갖는다.
  • 그러나 도시화 변수로 인구 30만 명 이상의 도시화율1)을 사용 하는 기존 연구는 도시화가 탄소 배출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명확하게 드러낼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화에 따른 집적의 경제성이나 도시 확장에 따른 비경제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인구 100만 명 이상의 거대도시(metropolis)2)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 첫째, 도시화가 해당 국가의 탄소 배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시화의 결과로 집적에 따른 규모의 경제와 규모의 불경제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소 배출 역시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구 100만 명 이상의 거대도시를 형성하고 있는 전 세계 84개 국가의 패널 데이터를 통해 도시화가 탄소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 위의 모형에 포함되지 않은 독립변수로 기존 연구들은 인구 요인에 해당하는 노동가능 인구의 비중, 기술 요인에서는 GDP에서 차지하는 서비스업의 비중,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하였으나 해당 연구에서 큰 의미가 발견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간소화를 위해 변수의 수를 최소화하였다.
  • 이렇게 소득 수준에 따라 거대도시 형성의 유형이 달라진다는 점은 본 연구 결과의 해석에 있어 일정한 제약점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득 수준이라는 변수를 매개로 도시화와 탄소 배출 사이에 역 U자형의 관계가 발생한다는 점을 밝혔다. 그러나 소득 수준이라는 변수 뒤에 도시화 유형이라는 잠재적 영향 요인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석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전 세계 84개국의 7년간의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1인당 탄소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고자 하였다. 변수에 대한 기초적인 통계량을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 본 연구는 환경 쿠즈네츠 곡선에 관한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도시화와 소득의 교호작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EKC 가설은 환경에 대한 소득 변수의 독립적인 비선형적 관계를 보는 것인데 비해, 본 연구는 도시화가 국가의 경제개발 단계, 즉 소득 수준에 따라 탄소 배출에 다른 양태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두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첫째, 도시화가 해당 국가의 탄소 배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시화의 결과로 집적에 따른 규모의 경제와 규모의 불경제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소 배출 역시 달라진다.
  • 이미 탄소 배출량에 대한 측정은 개별 기업 수준에서는 물론, 도시나 국가 단위에서도 에너지원의 형태, 에너지 사용 및 공급 형태 등을 고려하여 거의 정확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런 현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목적은 회귀방정식을 통해 개별 도시의 탄소배출량을 추정하고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거대도시화라는 거시적 현상 자체가 탄소배출과 맺고 있는 관계를 인과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도시화는 소득수준이 낮은 국가에서는 탄소배출을 증가시키지만, 어느 소득수준을 넘어설 경우 오히려 탄소 배출을 감소시킨다.
  • 본 연구는 환경 쿠즈네츠 곡선에 관한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도시화와 소득의 교호작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EKC 가설은 환경에 대한 소득 변수의 독립적인 비선형적 관계를 보는 것인데 비해, 본 연구는 도시화가 국가의 경제개발 단계, 즉 소득 수준에 따라 탄소 배출에 다른 양태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이는 탄소 배출에 대한 도시화의 영향이 기존 연구들처럼 양(+) 혹은 음(-)이라는 일방향으로만 작용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소득 변수와 상호작용하여 방향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2003; Dinda 2004). EKC는 1인당 소득과 환경 오염이 역 U자 형의 비선형적 관계에 있다는 가설인데, 경제 개발 초기에 소득이 증가할 때는 환경오염이 심해지다가 어느 정도 소득 수준을 넘어서게 되면 환경오염이 오히려 줄어든다는 것이다. York et al.
  • 둘째, 도시화와 탄소 배출 간의 관계는 국가의 소득 수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본 연구는 도시화가 국가의 소득 수준에 따라 탄소 배출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소득 수준이 낮은 국가에서는 탄소 배출을 증가시키지만, 일정 소득 수준 이상에서는 오히려 탄소 배출을 감소시킨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고자 한다.
  • 둘째, 도시화와 탄소 배출 간의 관계는 국가의 소득 수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본 연구는 도시화가 국가의 소득 수준에 따라 탄소 배출에 다른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소득 수준이 낮은 국가에서는 탄소 배출을 증가시키지만, 일정 소득 수준 이상에서는 오히려 탄소 배출을 감소시킨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고자 한다.
  • 이러한 본 연구의 가설은 도시로의 인구 집중, 즉 도시화와 탄소 배출 사이의 역 U자 형의 비선형적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소득 수준과 환경 영향 간의 비선형적인 관계를 의미하는 환경 쿠즈네츠 곡선의 가설과는 다른 것으로, 본 연구에서 소득 수준은 도시화 변수와의 교호 작용을 발생시키는 매개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 이에 대해 Commoner는 저서(1971)와 공동 연구(Commoner, Corr & Stamler 1971)를 통해 인구 증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며, 미국에서 나타나는 환경변화는 대부분 생산기술의 변화에서 기인한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두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첫째, 도시화가 해당 국가의 탄소 배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시화의 결과로 집적에 따른 규모의 경제와 규모의 불경제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탄소 배출 역시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구 100만 명 이상의 거대도시를 형성하고 있는 전 세계 84개 국가의 패널 데이터를 통해 도시화가 탄소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 도시화율 증가에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국가는 어디인가? 도시화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2050년에는 이보다 23억 명이 늘어난 63억 명의 인구가 도시에 살 것으로 예측된다(United Nations 2015). 전 세계 도시화율 증가에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국가는 인도(18%), 중국(13%), 미국(4%) 등으로 2050년까지 전 세계 도시화 증가의 35%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Centre for Liveable Cities 2014). 동시에 이 국가들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최상위 국가들이기도 하다.
도시화가 1인당 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화와 소득 수준으로 조사한 결과는? 이를 위해 84개 국가에 대한 패널 자료를 고정효과 모형을 통해 회귀분석하고 동시에 Pooled LS 모형 및 패널 GLS 모형과도 비교하였다. 그 결과 1인당 탄소배출과 도시화는 비선형적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저소득 국가에서 도시로의 인구 집중이 1인당 탄소 배출을 증가시키는 반면, 고소득 국가에서는 오히려 반대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의 압축성(compactness)과 에너지 소비 패턴에 대한 논의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연구와 정책 개발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화의 장단점은? 도시화는 자본의 축적에 따른 이익을 창출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과밀에 따른 비경제성(diseconomies)를 보여주기도 한다(Bertinelli & Black 2004).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적 자본이 집적하게 되면 이는 곧 혁신을 가속화시켜 경제개발에 기여하는 결과를 낳는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도시로의 인구 집중(agglomeration)이 정부 정책에 의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할 경우, 환경오염 등을 심화시켜 삶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특히 도시화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문제는 이의 가장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Centre for Liveable Cities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rtinelli L, Black D. 2004. Urbanization and growth. Journal of Urban Economics. 56: 80-96. 

  2. Centre for Liveable Cities. 2014. New Lenses on Future Cities: A New Lens Scenarios Supplement. Singapore: Shell International BV. 

  3. Chen H, Jia B, Lau SSY. 2008. Sustainable urban form for Chinese compact cities: Challenges of a rapid urbanized economy. Habitat International. 32: 28-40. 

  4. Cole MA, Neumayer E. 2004. Examining the impact of demographic factors on air pollution. Population and Environment. 26(1): 5-21. 

  5. Commoner B. 1971. The Closing Circle: Nature, Man, and Technology. New York: Knopf. 

  6. Commoner B, Corr M, Stamler PJ. 1971. The causes of pollution. Environment: Science and Poli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3(3): 2-19. 

  7. Dietz T, Rosa EA. 1994. Rethink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population, affluence, technology. Human Ecology Review. Summer/Autumn(1): 277-300. 

  8. Dietz T, Rosa EA. 1997. Effects of population and affluence on $CO_2$ emissio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94(1): 175-179. 

  9. Dinda S. 2004.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A Survey. Ecological Economics. 49: 431-455. 

  10. Ehrlich PR, Holdren JP. 1971. Impact of population growth. Science. 171(3977): 1212-1217. 

  11. Ehrlich PR, Holdren JP. 1972. A bulletin dialogue on the 'Closing Circle'. Critique: One dimensional ecology.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28(5): 16-27. 

  12. Fan Y, Liu LC, Wu G, Wei YM. 2006. Analyzing impact factors of $CO_2$ emissions using the STIRPAT mode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26: 377-395. 

  13. Hamilton C, Turton H. 2002. Determinants of emissions growth in OECD countries. Energy Policy. 30(1): 63-71. 

  14. Lee HJ, Kang MG. 2012. Relationship between urbanization and $CO_2$ emissions: A crosscountry panel data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4(5): 125-144. [Korean Literature] 

  15. Liddle B. 2004. Demographic dynamics and per capita environmental impact: Using panel regressions and household decompositions to examine population and transport. Population and Environment. 26(1): 23-39. 

  16. Martinez-Zarzoso I, Maruotti A. 2011.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CO_2$ emissions: Evidence from developing countries. Ecological Economics. 70: 1344-1353. 

  17. Parikh J, Shukla V. 1995. Urbanization, energy use and greenhouse effects in economic development: Results from a cross-national study of developing countrie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5(2): 87-103. 

  18. Poumanyvong P, Kaneko S. 2010. Does urbanization lead to less energy use and lower $CO_2$ emissions? A cross-country analysis. Ecological Economics. 70: 434-444. 

  19. Schulze PC. 2002. IPBAT. Ecological Economics. 40(2): 149-150. 

  20. Shi A. 2003. The impact of population pressure on global carbon dioxide emissions, 1975-1996: evidence from pooled cross-country data. Ecological Economics. 44(1): 29-42. 

  21. United Nations. 2015.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5 Revision. New York: UN Population Division. 

  22. United Nations-Habitat. 2015. Urban Planning for City Leaders. Nairobi: UN-Habitat. 

  23. Waggoner PE, Ausubel JH. 2002. A framework for sustainability science: A renovated IPAT identit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99(12): 7860-7865. 

  24. York R, Rosa EA, Dietz T. 2003. Footprints on the Earth: The environmental consequences of modern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8(2): 279-3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