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Nurses' Knowledge, Attitude Towards Palliative Care and Perception of Death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2 no.4, 2016년, pp.257 - 264  

위다희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강숙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palliative care and perception of death for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110 nurses who work in NICUs in South K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가 1점, ‘매우 동의한다’가 5점으로 구성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과 함께 완화간호를 수행할 때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참여 영역은 특정 상황이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가 완화간호에의 참여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참여 영역은 ‘전혀 중요하지 않다’가 1점, ‘매우 중요하다’ 5점으로 구성되며, 문항 당 평균이 높을수록 어떤 상황이 간호사의 완화간호에 많은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인식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두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정적 혹은 정서적 갈등 등을 다루고 있어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완화간호와 관련된 임상실무, 지식, 태도 등과 관련된 기초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완화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죽음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세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완화간호 교육 프로그램과 신생아 완화간호와 관련된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 완화간호란? 신생아 완화간호란 치유가 불가능한 상태의 환아가 사망에 이르기까지 환아와 가족에게 이루어지는 총체적이고 광범위한 간호를 의미한다[7]. 완화간호가 필요한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아의 부모들은 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완화간호가 생명 유지를 포기한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어 이를 거부하게 되어, 적절한 통증 및 증상 관리와 임종간호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8,9].
생명유지장치의 사용으로 고통스러운 임종의 과정을 지켜보는 고위험 신생아의 가족들이 경험하는 것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고위험 신생아들은 종종 살아날 가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생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치료를 지속하게 되는데[5], 특히 인공호흡기와 같은 생명 유지 장치의 사용은 신생아와 가족에게 고통스러운 임종의 과정을 연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5]. 또한, 이 과정에서 가족들은 환아의 생명을 계속 유지하도록 해야 할지에 대한 윤리적 갈등을 경험하기도 한다[6]. 따라서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하고 가족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환아의 가족들에게 완화간호의 필요성을 알리고[6], 의료인, 특히 간호사가 합리적인 완화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완화간호가 필요한 경우임에도 적절한 간호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이유는? 신생아 완화간호란 치유가 불가능한 상태의 환아가 사망에 이르기까지 환아와 가족에게 이루어지는 총체적이고 광범위한 간호를 의미한다[7]. 완화간호가 필요한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환아의 부모들은 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완화간호가 생명 유지를 포기한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어 이를 거부하게 되어, 적절한 통증 및 증상 관리와 임종간호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8,9]. 이러한 완화간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의료진에게서도 볼 수 있으며[10], 이로 인하여 환아와 가족의 신체적, 정신적, 영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적절한 완화간호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Birth certificate data 2014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January 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portal/korea/kor_nw/2/1/index.board? bmoderead&aSeq347963. 

  2. Kim SH, Im SJ, Kang HR, Choi EH, Kim ER, Kim AR. Study on improving pregnancy and delivery support. Research Repor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December. Report No.: 2015-1- 0008. 

  3. Kang HJ, Bang KS.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experience in caring for infants who are dying.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4):252-261. http://dx.doi. org/10.4094/chnr.2013.19.4.252. 

  4. Statistics Korea. Infant, maternal and perinatal mortality statistics 2014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6 March 2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5. Peng NH, Chen CH, Liu HL, Lee HY. To explore the conditions of dying infants in NICU in Taiw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2;27(1):102.e7-102.e13. http://dx.doi.org/10.1016/j.jcrc .2011.02.045. 

  6. Armstrong-Dailey A, Zarbock SF. Hospice care for children.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7. Mancini A, Kelly P, Bluebond-Langner M. Training neonatal staff for the future in neonatal palliative care. Seminars in Fetal and Neonatal Medicine. 2013;18(2):111-115. http://dx.doi.org/10.1016/j.siny.2012.10.009. 

  8. Kang KA, Kim SJ. The present and future of children’s hospice care in Kore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3;9(2):190-197. 

  9. Koo HY, Choi SH, Park HR. Cognition and needs for hospice care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9;15(3):325-333. http://dx.doi.org/10.4094/jkachn.2009.15.3.325. 

  10. Haut CM, Michael M. Moloney-Harmon P. Implementing a program to improve pediatric and pediatric ICU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alliative care.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2012;14(1):71-79. http://doi.org/10.1097/NJH.0b013e318236 df44. 

  11. Field MJ, Behrman RE. When children die: Improving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1st ed.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3. 

  12. Kang JH, Han SJ. A stud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3;16(2): 80-89. http://doi.org/10.14475/kjhpc.2013.16.2.080. 

  13. Couhen BA. "Sometimes I want to run": A nurse reflection on los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Loss & Trauma. 2002;7(1):35-45. 

  14. Yam BM, Rossiter JC, Cheung KY. Caring for dying infants: Experiences of neonatal intensive care nurses in Hong Ko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1;10(5):651-659. 

  15. Seo MJ, Kim JY, Kim SH, Lee TW.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coping with death and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regarding EOL care: Focus on nurses at ED, ICU and oncology department.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3;16(2):108-117. http://dx.doi.org/10.14475/kjhpc.2013.16.2.108. 

  16. Yi YH, Yang HM. Nurse's grief experience and attitudes toward bereavement/ End-of-life care of families of dying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5;17(2):1045-1060. 

  17. Basic Korean Dictionary [Interne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5 [cited 2016 January 9]. Available from;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18. Ross M, McDonald B, McGuinness J.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 (PCQ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nurses' knowledge of palliative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6;23(1):126-137. 

  19. Korea Hospice Association. Hospice introduction. Seoul: Korea Hospice Association Press; 2010. 

  20. Engler AJ, Cusson RM, Brockett RT, Cannon-Heinrich C, Goldberg, MA, West MG, et al. Neonatal staff and advanced practice nurses' perceptions of bereavement/end-of-life care of families of critically ill and/or dying infa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4;13(6): 489-498. 

  21. Kim MS. Philosophical studies on cognition and attitude of Koreans towards death. The Journal of Confucianism Research Institute. 2010; 22(1):73-108. 

  22. Kim BH, Kim HK, Tak YR. Measuring the effects of hospice program on death.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1997; 2:132-145. 

  23. Kim HS, Kim BH, Yu SJ, Kim S, Park SH, Choi S, et al. The effect of an End-of-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course on nurses'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Nursing. 2011;13(4):222-229. http://dx.doi.org/10.1097/ NJH.0b013e318210fdec. 

  24. Han MS. An analysis of cancer care unit nurses' perception of death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1998. p.1-71. 

  25. Kim MA. The perception of death to life style, quality of life, spiritual health in adult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6. p.1-95. 

  26. Cho YC.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ersity; 2011. p.1-40. 

  27. Nunnally J. Psychometric methods. New York: McGroaw-Hill; 1978. 

  28. Youn JH, Ha JY. Nurses' awareness of death and meaning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3;20(4): 381-388. http://dx.doi.org/10.7739/jkafn. 2013.20.4.381. 

  29. Lee JH, Lee HK. The mediating role of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coping styles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Christians.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2011;36:171-192. 

  30. Hong E, Jun M, Park ES, Ryu E.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2013; 13(4):265-272. http://dx.doi.org/10.5388 /aon.2013.13.4.2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