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세틸화처리 낙엽송(Larix kaempferi) 소형 각재의 치수안정성 조사
Investigation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Acetylated Larch (Larix kaempferi) Small Square 원문보기

한국가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27 no.4, 2016년, pp.302 - 308  

이원희 (경북대학교 임산공학과) ,  강호양 (충남대학교 환경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known that acetylation improves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wood. Liquid phase acetylation is more popular than gas-phase acetylation for the effectiveness of weight gain of wood. In this study the specimens of domestic red and Korean pines are acetylated in liquid phase and their phy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 용재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낙엽송(Larix kaempferi)의 치수안정화를 위해 아세틸화처리가 밀도, 휨강도, 항흡습성 등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산재 친환경개질가공 연구(Lee et al. 2015)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용재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낙엽송(Larix kaempferi)을 선택하여 액상 아세틸화처리가 밀도, 휨강도, 치수안정성 등 물리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재의 아세틸화처리는 무엇이 있는가? 목재의 아세틸화처리는 액상반응과 기상반응 있는데 액상반응이 일반적이며 중량증가율과 치수안정 효과가 높으나(Kang and Lee 1997) 목재를 용액에 함침시켜 가열하여야 한다. 이에 반해 기상법은 목재가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중량증가율이 액상반응만큼 높지 않다(Futemma and Obataya 2012).
아세틸화처리 중 기상법의 한계점은? 목재의 아세틸화처리는 액상반응과 기상반응 있는데 액상반응이 일반적이며 중량증가율과 치수안정 효과가 높으나(Kang and Lee 1997) 목재를 용액에 함침시켜 가열하여야 한다. 이에 반해 기상법은 목재가 용액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중량증가율이 액상반응만큼 높지 않다(Futemma and Obataya 2012). 중량증가율을 높이기 위해 피리딘 등 촉매를 사용하거나 초임계이산화탄소법을 응용하기도 한다(HILL et al.
목재의 아세틸화반응이 확산반응으로서 반응 속도가 영향을 받는 것은? Dunningham (2012)은 목재를 여러 온도조건에서 아세틸화 반응속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여 목재의 아세틸화반응은 활성화반응이라기보다 확산반응이라고 결론지었다. 즉 반응속도는 온도 보다 목재 내 확산속도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Morozovs와 Buksans (2009)는 아세틸화처리 목재는 무처리 목재보다 태웠을 때 연기가 더 적게 발생하나 가열강도를 높이면 차이가 적어진다고 밝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dris, M. and E. Buksans. 2009. Fir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cetylated ash (Fraxinus excelsior L.) wood. Wood Material Science & Engineering 4(1-2): 76-79. 

  2. Bryne, L. E. and M. E. P. Waelinder. 2010. Ageing of modified wood. Part 1: Wetting properties of acetylated, furfurylated, and thermally modified wood. Holzforschung 64(3): 295-304. 

  3. Dunningham, E. A. 2012. Kinetic studies of the acetylation reaction of small Pinus radiata blocks. Eur. J. Wood Prod. 70(6): 857-863. 

  4. Dunningham, E. A., D. V. Plackett, and A. P. Singh. 1992. Weathering of chemically modified wood. Natural weathering of acetylated raidata pine: preliminary results. Holz als Roh und Werkstoff 50(11): 429-432. 

  5. Evans, P. D., A. F. A. Wallis, and N. L. Owen. 2000. Weathering of chemically modified wood surfaces. Natural weathering of Scots pine acetylated to different weight gains.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4(2): 151-165. 

  6. Feist, W. C., R. M. Rowell, and W. D. Ellis. 1991. Moisture sorption and accelerated weathering of acetylated and methacrylated aspen. Wood and Fiber Science 23(1): 128-136. 

  7. Futemma, Y. and E. Obataya. 2012. Non-uniform reaction of solid wood in vapor-phase acetylation. Journal of Wood Science 58(4): 336-341. 

  8. Han, G.-S. and N.-S. Cho. 1996. Dimensional change of acetylated softwood.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4(4): 4040-4046. 

  9. Hill, C. A. S. 2009. Why does acetylation protect wood from microbiological attack? Wood Material Science & Engineering 4(1-2): 37-45. 

  10. Hill, C. A. S., N. S. Cetin, and N. Ozmen. 2000. Potential Catalysts for the Acetylation of Wood. Holzforschung 54(3): 269-272. 

  11. Hill, C. A. S. and A. N. Papadopoulos. 2002. The Pyridine-Catalysed Acylation of Pine Sapwood and Phenolic Model Compounds with Carboxylic Acid Anhydrides. Determination of Activation Energies and Entropy of Activation. Holzforschung 56(2): 150-156. 

  12. Kang, H.-Y. and K.-Y. Lee. 1997. Effect of acetylation on ultrasonic velocity of bamboo.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5(3): 8-15. 

  13. Kang, H.-Y. and J. Lu. 2005. Comparison of Longitudinal Liquid Permeabilities of Sapwood Specimens Taken from Pinus koraiensis Boards Treated by Steaming and Various Drying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3(6): 17-24. 

  14. Kim, N.-H. and S.-M. Kwon. 2006. Appearance pattern of resin canals in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4(1): 1-6. 

  15. LEE, W.-H., S.-H. Hong, and H.-Y. Kang. 2015. Investigation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cetylated Domestic Softwood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3(4): 429-437. 

  16. Matsunaga, M., Y. Kataoka, H. Matsunaga, and H. Matsui. 2010. A novel method of acetylation of wood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Journal of Wood Science 56(4): 293-298. 

  17. Morozovs, A. and E. Buksans. 2009. Fir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cetylated ash (Fraxinus excelsior L.) wood. Wood Material Science & Engineering 4(1-2): 76-79. 

  18. Pandey, K. K. and K. Srinivas. 2015. Performance of polyurethane coatings on acetylated and benzoylated rubberwood. Eur. J. Wood Prod. 73(1): 111-120. 

  19. Papadopoulos, A. N. 2006a. Pyridine-catalyst acetylation of pinewood: influence of mature sapwood vs juvenile wood. Holz als Roh- und Werkstoff 64(2): 134-136. 

  20. Papadopoulos, A. N. 2012. Natural durability of acetylated OSB in ground stake test: total decay after 102 months of testing. Eur. J. Wood Prod. 70(1-3): 397. 

  21. Papadopoulos, A. N. and P. Tountziarakis. 2011. The effect of acetylation on the Janka hardness of pine wood. Eur. J. Wood Prod. 69(3): 499-500. 

  22. Papadopoulos, A. N. 2006b. Decay resistance in ground stake test of acetylated OSB. Holz als Rohund Werkstoff 64(3): 245-246. 

  23. Rowell, R. M., R. E. Ibach, J. Ibach, and T. Nilsson. 2009. Understanding decay resistance, dimensional stability and strength changes in heat-treated and acetylated wood. Wood Material Science & Engineering 4(1-2): 14-22. 

  24. Rowell, R. M., R. Simonson, S. Hess, D. V. Plackett, D. Cronshaw, and E. Dunningham. 1994. Acetyl distribution in acetylated whole wood and reactivity of isolated wood cell-wall components to acetic anhydride. Wood and Fiber Science 26(1): 11-18. 

  25. Stamm, A. J. 1964. Wood and Cellulose Science. The Ronald Press Company,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