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아프리카 자원식물을 활용하여 개발된 지속가능한 영양보충식품의 영양성분 분석
Nutrient Analyses of Sustainable Ready-to-Use-Supplemental Food (RUSF) developed with East African Ethnic Plant Resourc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6 no.5, 2016년, pp.466 - 472  

이경애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예정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광오 (순천향대학교 화학과) ,  김희선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various nutrient contents of ready-to-use-supplemental-food (RUSF) developed with Eastern African ethnic plants and compare them with commercially available supplemental food (CASF) for infants. RUSF was made with three African plants, including Ficu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지화가 가능한 식량지원과 식량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동아프리카 자생식물 중 식량자원으로의 개발이 가능한 식물을 이용하여 식량부족 및 영양불량 개선을 위한 영양보충식품(ready to use supplemental food; RUSF)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동아프리카 자생식물 중 현지인에 의해 식량대용으로 사용되어 온 영양성분이 뛰어난 자원식물들을 스크린한 후(Kim YJ 등 2011), Ficus sur, Amaranthus caudatus, Prosopis juliflorafa 등을 현지화된 RUSF 개발을 위한 자원식물로 선정하여 현지형 유아보충식품 혹은 이유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 국제기구나 정부기관에서 아프리카 지역으로의 구호식량을 원조하는 정책은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가? 이에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orld Food Programme(WFP),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hildren's Emergency Fund(UNICEF),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FAO) 등의 국제기구 및 각국의 정부기관에서는 아프리카 지역으로의 구호식량을 원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식량지원 정책은 국제적, 정치․경제적 상황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공급되지 못하고 단기간의 원조에 그치거나, 장기지원 중에도 예고 없이 지원이 중단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갑작스런 예고 없는 원조 중단은 부족한 식량물자를 자체적으로 조달하기가 어려운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지속적인 영양문제 개선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식량 안보란? 식량 안보는 각 개인과 사회에게 활동적이고 건강한 삶을 위한 에너지와 영양을 충족시키는 적절한 식품을 육체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항상 충분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한다(Maxwell S 1996). 세계적으로 2000년대에 들어서며, 기아로 고통 받는 사람들의 수와 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지만(Chen S & Ravallion M 2007), 여전히10억 명 이상의 인구가 영양실조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FAO2010).
실제로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기아와 영양실조 문제에 직면헀는데 그 이유는? 실제로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은 오랜 기간 지속되어온 빈곤, 고갈된 천연자원, 불평등한 세계무역관계, 인구증가, 내전으로 인한 불안정한 정치체제 및 미비한 행정기관과 인프라 등으로 기아와 영양실조가 큰 건강 문제로 직면하고 있다(Von Grebmer KV 등 2008; Brown ME 2009; Wheeler T &von Braun J 2013). 특히 성장기 아동들과 가임기 여성 등 취약계층의 영양결핍 문제의 해결이 가장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가적으로 적절한 영양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Daelmans B & Saadeh R 2003; Anigo KM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bbey BW, Nkanga UB (1988) Production of high quality weaning products from Maize-Cowpea-Crayfish mixtures. Nutr Rep Int 37(5): 951-957. 

  2. Ali Aberoumand S, Deokule S (2009) Determination of elements profile of some wild edible plants. Food Analytical Methods 2(2): 116-119. 

  3. Anigo KM, Ameh DA, Ibrahim S, Danbauchi S (2009) Infant feeding practices and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in North Western Nigeria. Asian J Clin Nutr 1: 12-22. 

  4. Brown ME (2009) Markets, climate change, and food security in West Africa. Environ Sci Technol 43: 8016-8020. 

  5. Chen S, Ravallion M (2007) Absolute Poverty Measures for the Developing World 1981-2004.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No. 4211. World Bank, Washington, DC. p 24. 

  6. Choi HM, Kim JH, Kim CI, Jang KJ, Min HS, Yim KS, Byun KW, Lee HM, Kim KW, Kim HS, Kim HA (2012) Esseintials of Nutrition. 3rd ed. Kyomunsa, Korea. pp 109-135. 

  7. Daelmans B, Saadeh R (2003) Global initiatives to improve complementary feeding. SCN News 27: 10-18. 

  8. Delang CO (2006) The role of wild food plants in poverty allevia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tropical countries. Progress in Development Studies 6(4): 275-286. 

  9. FAO (2010)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Addressing Food Insecurity in protracted crises. Report,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Italy. p 62. 

  10. FAO (2011) The State of the World's Land and Water Resources for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1. Hurrell RF (2003) Influence of vegetable protein sources on trace element and mineral bioavailability. J Nutr 133(9): 2973S-2977S. 

  12. Kim YJ, Kim DH, Kim JA, Park E, Shin I, Yihunie AT, Kim HS, Koh K (2011) Screening Ethiopian ethnic plants for possible nutritional values to develop RUSF (Ready to Use Supplemental Food). Proceedings of 2011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Busan. pp 260-261. 

  13. Leo MLN (1992) Food Analysis by HPLC. Marcel Dekker Inc., USA. 

  14. Maxwell S (1996) Food security: A post-modern perspective. Food Policy 21(2): 155-170. 

  15. Mbithi-Mwikya S, Van Camp J, Mamiro PR, Ooghe W, Kolsteren P, Huyghebaert A (2002) Evaluation of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a finger millet based complementary food. J Agric Food Chem 50(10): 3030-3036. 

  16. Molina AB, Eusebio JE, Rao VN, Van Den Bergh I, Maghuyop MAG, Borromeo KH (2003) Advancing Banana and Plantain R&D in Asia and the Pacific. Proceedings of the 2st BAP Net Steering Committee Meeting, Bangkok. pp 37-50. 

  17. Mosha TCE, Laswai HS, Tetens I (2000) Nutritional composition and micronutrient status of home made and commercial weaning foods consumed in Tanzania. Plant Foods Hum Nutr 55(3): 185-205. 

  18.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NAP) (2006) Lost Crops of Africa: Volume II: Vegetables. http://books.nap.edu/catalog.php?record_id11763 (accessed on 15.02.2014) 

  19. Von Grebmer KV, Fritschel H, Nestorova B, Olofinbiyi T, Pandya-Lorch R, Yohannes YM (2008) Global Hunger Index The Challenge of Hunger 2008.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Washington DC. 

  20. Wheeler T, von Braun J (2013) Climate change impacts on global food security. Science 341: 508-513. 

  21. World Bank (2008) Agriculture for Development. Agriculture World Bank, Washington D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