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 인력의 수요추계 방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1991~2014년간의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f Nurse Demand Forecasting Methods in Empirical Studies 1991~2014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3 no.2, 2016년, pp.81 - 87  

정수용 (서울대학교 간호대학원) ,  김진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nurse demand forecasting methods in empirical studies published during 1991~2014 and suggest ideas to improve the validity in nurse demand forecasting. Methods: Previous studies on nurse demand forecasting methodology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과거 간호사 수급추계 연구를 대상으로 수요추계에 사용된 방법론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서술적 고찰(narrative review)이다. 서술적 고찰은 양적 근거 합성의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과는 대비되는 방법론으로서, 저자의 주관적 기준에 의거하여 광범위한 영역과 주제를 다루는 데 유용한 문헌연구방법이다.
  • 그러나 기존 연구는 간호사 인력에 대한 추계결과를 보고하는 데만 치우쳐져 있고, 추계방법을 학술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1년부터 2014년에 걸쳐 국내에서 발표된 간호사 수급추계 연구를 대상으로 하여 간호사의 수요 예측에 적용된 추계방법론을 확인하여 비교 분석하고, 나아가 간호사 수급추계 연구를 위한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에서는 미래의 질병억제 시나리오가 비관적이냐 낙관적이냐에 따라 국민건강의 개선 정도가 달라지는 것을 고려하여 질병변화 요인을 간호사 수요추계에 포함시켰으며, 네덜란드에서는 역학적 추이, 사회문화적 발달과 미충족 필요(needs)에 관한 전문가 의견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국민건강의 변화 요인을 포함시키려는 ACMMP(Advisory Committee on Medical Manpower Planning) 모형을 개발하였다. 노르웨이, 핀란드, 이스라엘, 영국은 GDP 성장률과 의료비 지출 규모를 고려하여 간호사의 생산성과 고용수준을 가정하였다. 이처럼 국내 간호사 인력수요 추계는 인구규모, 현재 의료이용 양상뿐 아니라 의료이용 양상의 변화, 보건의료전달체계의 변화, 국내 경제상황 변화 등의 요인을 포괄적으로 포함시켜야 하며, 나아가 노동시장 불균형, 탄력적 은퇴 양상, 생산성 기준, 필요 기반의 접근, 전문직 간의 통합 요인을 활발히 연구할 필요가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추계란 무엇인가? 추계는 추계자가 의식적 추론체계를 통해 도달한 미래상태에 대한 진술로 정의된다. 1) 보건의료인력의 수급추계는 장래 보건의료인력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여 수급 불균형을 확인하는 작업으로서, 보건의료인력계획에 대한 의사결정 시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된다.
간호사의 보건의료인력의 수급추계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는 양적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보건의료인력이고, 간호인력의 공급수준, 교육수준, 간호인력의 구성이 환자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면서,2-5) 보건의료체계에서 중요한 전문인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병원 감염관리와 환자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면서 국민의 건강 증진과 질병부담 완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간호사를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 추세에 있는데, 그 대표적 예가 간호간병통합 서비스 사업이다.
보건의료인력의 수급추계란 무엇인가? 추계는 추계자가 의식적 추론체계를 통해 도달한 미래상태에 대한 진술로 정의된다. 1) 보건의료인력의 수급추계는 장래 보건의료인력의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여 수급 불균형을 확인하는 작업으로서, 보건의료인력계획에 대한 의사결정 시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된다. 정확한 보건의료인력의 수급추계는 인력계획의 합리성과 자원의 효율성을 도모하나, 추계가 부정확할 경우 보건의료인력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사회적 자원의 낭비를 발생시키거나 공급부족에 따른 사회적 편익의 감소를 발생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ight JR. Practical technology forecasting: concepts and exercises. Austin: Industrial Management Center; 1978. 

  2. Aiken LH, Sloane DM, Bruyneel L, Van den Heede K, Griffiths P, Busse R, et al. Nurse staffing and education and hospital mortality in nine European countrie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Lancet. 2014;383(9931):1824-30. http://dx.doi.org/10.1016/s0140-6736(13)62631-8 

  3. Needleman J, Buerhaus PI, Pankratz VS, Leibson CL, Stevens SR, Harris M. Nurse staffing and inpatient hospital mortality. N Engl J Med. 2011;364(11):1037-45. http://dx.doi.org/10.1056/nejmsa1001025. 

  4. Cho SH, Ketefian S, Barkauskas VH, Smith DG. The effects of nurse staffing on adverse events, morbidity, mortality, and medical costs. Nurs Res. 2003;52(2):71-9. http://dx.doi.org/10.1097/00006199-200303000-00003. 

  5.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Sochalski J, Silber JH.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JAMA. 2002;288(16):1987-93. http://dx.doi.org/10.1001/jama.288.16.1987. 

  6. Spetz J. Too many, too few, or just right? making sense of conflicting RN supply and demand forecasts. Nurs Econ. 2015;33(3):176-85. 

  7. Spetz J, Kovner CT. How can we obtain data on the demand for nurses? Nurs Econ. 2013;31(4):203-7. 

  8. Jang CW, Lee SD, Yoon YI. Current state and projections of manpower demands [Internet].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004. Available from: http://www.krivet.re.kr/ku/ca/prg_kuAABvwVw.jsp?gnE1-E120140256#// 

  9. Hichliffe K, Youdi RV. Forecasting skilled-manpower needs: the experience of eleven countries. Paris: Unesco; 1985. 

  10. Leanring CCo. Is it possible to accurately forecast labour market needs? Ottawa: Canadian Council on Learning; 2007. 

  11. Wong J, Chan A, Chiang YH. A critical review of forecasting models to predict manpower demand. Australas J Constr Econ Build. 2012;4(2):43-56. 

  12. Wong J. Forecasting manpower deman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of Hong Kong [dissertation]. Hong Kong: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2006. 

  13. Park YC. Forecasting labor on administra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J Policy Dev. 2005;5(1):89-113. 

  14. Devine C, McClean S, Reid N. Nurse manpower demand: a review of United Kingdom methodologies. J Adv Nurs. 1993;18(11):1833-9. http://dx.doi.org/10.1046/j.1365-2648.1993.18111833.x. 

  15. Ono T, Lafortune G, Schoenstein M. Health workforce planning in OECD Countries: a review of 26 projection models from 18 countries. Paris: OECD Publishing; 2013. 

  16. Kim ES, Cho WJ, Cho WH, Lee CY, Ko IS, Jee SH, et al. Long term and short term public health manpower planningII: nurses, nurse aides, pharmacists, medical technician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1. 

  17. Park HA, Choi YH, Ko IS, Lee SJ, Chang HS, Jeon CY. The supply and demand projection of nurses in Korea. Korean Nurs. 1993;32(3):52-67. 

  18. Park HA, Choi EY. Study of nurses manpower planning in Korea: its implication for policy making. J Korean Acad Nurs. 2001;31(7):1160-5. 

  19. Park HA, Hyun SK, Han KJ, Park JH, Park SA. Analysis and projection of supply and demand for nursing workforce in Korea. Korean Nurse. 2002;41(1):51-68. 

  20. Kim JS, Choi EY, Park HA, Lee WB. The supply and demand projection of nurses in Korea. Korean J Health Policy Adm. 1999;9(3):33-52. 

  21. Jo JG, Lee SY, Kim EJ, Song HJ, Yoon KJ. A study on the demand for and supply of nurse manpower.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22. Oh Y. The demand and supply of registered nurses in Korea and policy recommendations. Health Soc Welf Rev. 2008;28(1):68-86. 

  23. Oh Y. The future requirements and supply of registered nurses in Korea.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0;16(3):139-61. 

  24. Oh Y. Long-term supply and demand projections for health workforce: 2015-2030.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25. Labor Standards Act [Internet]. Sejong: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4 Jan [cited 2016 July 26].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main.html 

  26.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Medical Service Act [Internet]. Sejong: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6 Jun [cited 2016 July 26].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main.html 

  27. Armstrong JS. Principles of forecasting: a handbook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New York: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1. 

  28. Hirsch BT, Schumacher EJ. Underpaid or overpaid? wage analysis for nurses using job and worker attributes. South Econ J. 2012;78(4):1096-119. http://dx.doi.org/10.4284/0038-4038-78.4.1096 

  29. Elliott G, Timmermann A. Economic forecasting. J Econ Lit. 2008;46(1):3-56. http://dx.doi.org/10.1257/jel.46.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